1. 개요
Неманићи중세 세르비아의 왕조. 중세 세르비아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왕조이며, 두클랴의 왕조였던 보이슬라블례비치 왕조(Војслављевићи)의 방계 가문이다.[1]
2. 설명
이 왕조의 왕위 계승은 안정적으로 이어지지 못했는데, 형제 간의 왕위계승분쟁이야 동시대 다른 나라에서도 흔했지만, 이 왕조는 부자 간에도 왕위를 두고 분쟁이 일어나곤 했다. 당장 세르비아 제국의 초대 황제인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부터 아버지 스테판 우로시 3세 데찬스키를 폐위시키고 왕위에 등극한 인물이다. 왕위가 안정적으로 승계된 사례는 스테판 네마냐-스테판 네마니치, 스테판 네마니치-스테판 라도슬라브,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과 스테판 우로시 5세의 사례 뿐.세르비아 정교회의 역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왕조이기도 한데, 세르비아의 독립 대주교가 설립된 시기가 네마니치 왕조 시기이기 때문. 네마니치 왕조의 세르비아의 군주들과 그 친족들은 전국 각지에 성당 및 수도원을 대거 설립했는데, 수도원은 왕실의 묘지이자 귀족 자제들을 가르치는 학교 역할을 했다. 이 성당과 수도원들은 세르비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에 남아 있는데, 그 안에 그려진 프레스코화에는 네마니치 왕실 인물들의 모습 및 네마니치 왕조 시기 세르비아의 복식이 그려져 있어 네마니치 왕조 중세 세르비아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귀중한 자료 역할을 한다.
이 왕조의 군주들은 공통적으로 스테판(Стефан)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스테판은 그리스어로 왕관을 의미하는 단어 스테파노스(Στέφανος)에서 따온 것이다. 네마니치 왕조의 군주들이 스테판을 이름으로 사용한 이유는 왕실의 위엄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3. 역대 군주
- 역대 대공
대수 | 이름 | 즉위 | 퇴위 | 기타 |
1 | 스테판 네마냐 | 1166/1167 | 1196 | 왕조 창립자 |
2 | 스테판 네마니치 | 1196 | 1202 | 초대 국왕 |
3 | 부칸 2세 네마니치 | 1202 | 1204 | |
2 (복위) | 스테판 네마니치 | 1204 | 1217 | 초대 국왕 |
- 역대 국왕
대수 | 이름 | 즉위 | 퇴위 | 기타 |
1 | 스테판 네마니치 | 1217 | 1227 | 제2대 대공 |
2 | 스테판 라도슬라브 | 1227 | 1234 | |
3 | 스테판 블라디슬라브 | 1234 | 1243 | |
4 | 스테판 우로시 1세 | 1243 | 1276 | |
5 | 스테판 드라구틴 | 1276 | 1282 | |
6 |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 | 1282 | 1321 | |
7 | 스테판 우로시 3세 데찬스키 | 1322 | 1331 | [2] |
8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1331 | 1346 | 초대 황제 |
- 역대 황제
대수 | 이름 | 즉위 | 퇴위 | 기타 |
1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1346 | 1355 | 제8대 국왕 |
2 | 스테판 우로시 5세 | 1355 | 1371 |
4.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b7f, #ffeb7f 20%, #ffeb7f 80%, #ffeb7f); color: #f02222;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카노비치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복위 | |
부칸 1세 | 우로시 1세 | 우로시 2세 | 데사 | 우로시 2세 | |
부카노비치 왕조 | 네마니치 왕조 | ||||
제5대 | 복위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벨로시 | 데사 | 티호미르 | 스테판 네마냐 | 스테판 네마니치 | |
네마니치 왕조 | |||||
제9대 | 복위 | ||||
부칸 2세 네마니치 | 스테판 네마니치 | ||||
세르비아 공국(중세 초기) · 두클랴 군주 중세 세르비아 왕국 · 세르비아 제국 모라비아 세르비아 공국 · 세르비아 전제군주국 세르비아 공국 · 세르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공화국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b7f, #ffeb7f 20%, #ffeb7f 80%, #ffeb7f); color: #f02222;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네마니치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스테판 네마니치 | 스테판 라도슬라브 | 스테판 블라디슬라브 | 스테판 우로시 1세 | 스테판 드라구틴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 | 스테판 우로시 3세 데찬스키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
세르비아 공국(중세 초기) · 두클랴 세르비아 대공국 · 세르비아 제국 모라비아 세르비아 공국 · 세르비아 전제군주국 세르비아 공국 · 세르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공화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CF64 0%, #ffeb7f 20%, #ffeb7f 80%, #E1CF6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022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 스테판 우로시 5세 | ||||
세르비아 공국(중세 초기) · 두클랴 세르비아 대공국 · 중세 세르비아 왕국 모라비아 세르비아 공국 · 세르비아 전제군주국 세르비아 공국 · 세르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세르비아 공화국 | }}}}}}}}}}}} |
[1] 네마니치 왕조의 시조 스테판 네마냐는 라쉬카(Рашка) 부카노비치 왕조(Вукановићи)의 초대 군주 부칸 1세 혹은 제2대 군주 우로시 1세의 손자이며, 부칸 1세는 두클랴 보이슬라블례비치 왕조의 초대 국왕 미하일로 1세의 손자다. 즉, 스테판 네마냐는 미하일로 1세의 현손 혹은 내손이다.[2] 밀루틴의 사망부터 데찬스키의 즉위까지 몇 개월의 공백이 있는데, 데찬스키의 형제(콘스탄틴의 출생 연도 및 데찬스키와의 관계를 알려주는 명확한 기록이 없음)인 콘스탄틴이 왕위에 오르려 하자 데찬스키가 지지자들을 규합해 대관식을 치르는 선수를 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