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05:29:30

노스페라투(2024)

로버트 에거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00> 파일:The Witch Logo_ver 2.png ||<width=200> 파일:The Lighthouse Logo_ver 2.png ||<width=200> 파일:The Northman Logo_ver 2.png ||
더 위치 (2015) 라이트하우스 (2019) 노스맨 (2022)
파일:Nosferatu 2024 Logo.png
노스페라투 (2024)

상세정보 링크 열기
<colbgcolor=#2d3542><colcolor=#fff> 노스페라투 (2024)
Nosferatu
<nopad> 파일:노스페라투 한국 메인 포스터.jpg
장르 공포, 다크 판타지, 미스터리
감독 로버트 에거스
각본
원작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 - 영화 《노스페라투
브램 스토커 - 소설 《드라큘라
제작 제프 로비노프
존 그레이엄
로버트 에거스
크리스 콜럼버스[1]
엘리너 콜럼버스
출연 빌 스카스가드
니콜라스 홀트
릴리로즈 뎁
에런 테일러존슨
엠마 코린
윌렘 대포
촬영 자린 블리슈크
편집 루이스 포드
음악 로빈 칼로안
촬영 기간 2023년 2월 23일 ~ 2023년 5월 18일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스튜디오 8
파일:미국 국기.svg 메이든 보이지 픽처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포커스 피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12월 2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1월 15일
화면비 1.66:1
상영 타입 2D[2]
상영 시간 132분 (2시간 12분 24초) (극장판)
제작비 5,0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56,436,000 (2025년 1월 20일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 $86,300,560 (2025년 1월 19일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0,003명 (2025년 1월 23일 기준)
스트리밍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
8.1. 평론가 평
9. 흥행
9.1. 한국9.2. 북미 (미국·캐나다)
10. 수상 및 후보 이력11. 기타12.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로버트 에거스가 연출과 각본을 맡고 빌 스카스가드, 릴리로즈 뎁이 주연을 맡은 고딕 호러 영화.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가 연출한 1922년작 공포 영화 〈노스페라투〉의 두 번째 리메이크 영화이다.

==# 개봉 전 정보 #==
  • 2015년 7월 28일, 〈노스페라투〉의 리메이크 영화가 제작된다는 기사가 발표됐다. 로버트 에거스가 연출과 각본을 맡고, 영화 제작사 스튜디오 8이 참여한다는 소식이었다. 당시 에거스는 이 작품을 자신의 두 번째 장편 영화로 만들 계획이었으나, 프로덕션이 연기되어 무산되었다.
  • 촬영은 2023년 2월 말부터 프라하에서 3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2023년 5월 19일에 마무리되었다. 또한 루마니아에서도 촬영을 했다고 한다.
  • 배급사 포커스 피처스는 이 작품에 대해 "19세기 독일의 귀신에 홀린 젊은 여성과 그녀를 스토킹하는 고대 트란실바니아 뱀파이어 사이에서 벌어지는 집착에 관한 고딕 이야기로, 말할 수 없는 공포를 불러온다"라고 설명했다. #
  • 2023년 11월 21일, 첫 번째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2023년 11월 25일, 추가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2023년 12월 21일,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
  • 2024년 4월 10일, 시네마콘(CinemaCon)에서 예고편을 선보였다. #
  • 2024년 6월 20일, 첫 번째 예고편이 북미 극장에서 공개되었다. #

2. 포스터

파일:노스페라투 2024 티저 포스터.jpg
파일:노스페라투(2024) 올록.jpg
파일:노스페라투(2024) imdb.jpg
티저 포스터 35mm 포스터 메인 포스터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노스페라투 한국 메인 포스터.jpg
메인 포스터 }}}}}}}}}
파일:노스페라투(2024) 캐릭터 포스터(1).jpg
파일:노스페라투(2024) 캐릭터 포스터(2).jpg
파일:노스페라투(2024) 캐릭터 포스터(3).jpg
파일:노스페라투(2024) 캐릭터 포스터(4).jpg
파일:노스페라투(2024) 캐릭터 포스터(5).jpg
엘렌
토마스
프리드리히
알빈
안나
캐릭터 포스터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노스페라투 한국 캐릭터 포스터 엘렌.jpg
파일:노스페라투 한국 캐릭터 포스터 토마스.jpg
파일:노스페라투 한국 캐릭터 포스터 프리드리히.jpg
파일:노스페라투 한국 캐릭터 포스터 알빈.jpg
파일:노스페라투 한국 캐릭터 포스터 안나.jpg
엘렌
토마스
프리드리히
알빈
안나
캐릭터 포스터 }}}}}}}}}
파일:Nosferatu IMAX 포스터.jpg
파일:Nosferatu 돌비 시네마.jpg
IMAX 포스터 Dolby Cinema 포스터

3. 예고편

<colcolor=#fff>
한국 메인 예고편
<colcolor=#fff>
북미 메인 예고편

===# 기타 영상 #===
<colcolor=#fff>
노스페라투에 대한 감독, 배우의 진심 100% 인터뷰

4. 시놉시스

오랜 시간 통제할 수 없는 강력한 힘에 이끌려 악몽과 괴로움에 시달려 온 ‘엘렌’.
남편 ‘토마스’가 거액의 부동산 계약을 위해 머나먼 ‘올록성’으로 떠난 후부터
엘렌은 불안 증세가 심해지고 알 수 없는 말을 되뇌인다.

“그가 오고 있어…”

기이한 현상들이 일어나며 마을로 점점 짙게 번져오는 그림자.
영원한 어둠 속에서 깨어난 올록 백작이 찾아오는데…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5040012, IMDb_user=7.6,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nosferatu_2024, 로튼토마토_tomato=84, 로튼토마토_popcorn=73,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nosferatu-2024, 메타크리틱_critic=78, 메타크리틱_user=7.0,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nosferatu-2024, 레터박스_user=3.8,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39839, 알로시네_presse=3.3, 알로시네_spectateurs=3.5,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117407, Filmarks_user=3.8,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26596871, 도우반_user=5.7,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WJoebQ, 왓챠_user=3.1,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26217, 키노라이츠_light=87.72, 키노라이츠_star=3.5,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CGV=89380, CGV_egg=77, ## CGV_highlight=display,
MRQE=nosferatu-m100150519, MRQE_user=78, ## MRQE_highlight=display,
시네마스코어=B-,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TMDB=426063-nosferatu, TMDB_user=67,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nosferatu, 무비파일럿_user=7,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nosferatu, RogerEbertcom_user=4,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씨네21=61943, 씨네21_expert=6.57,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nosferatu-2024, 엠파이어_user=4,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nosferatu-review-robert-eggers-lily-rose-depp-1235071494, 인디와이어_user=A-,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뛰어난 미장센과 연출로 고전적인 분위기를 잘 살리며 오랜만에 등장한 걸작 고딕 호러 영화라고 평가 받는다.

한편으로는 영화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분위기가 달라진다고 평가 받는다. 올록 백작의 성을 찾아가는 전반부는 로버트 에거스 감독의 특기인 미스터리 하면서도 기괴한 연출을 통해 미지의 존재에 대한 공포를 표현하며 <더 위치>나 <라이트하우스>와 유사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반면에 지퍼스 박사가 합류한 이후부터는 노스페라투의 저주를 풀기 위해 분투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며 전형적인 퇴마 판타지 영화 같은 느낌으로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달라진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후반부로 갈수록 전반부에서 보여준 미지의 존재에 대한 공포감이 줄어들어서 아쉽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특징 덕분에 로버트 에거스 감독의 전작들과 비교하면 난해함이 덜하고, 상업적인 성격이 강해서 비교적 가볍게 즐기기 좋으며, 실제로도 흥행에 성공하였다.

8.1. 평론가 평

Marvelously orchestrated by director Robert Eggers, Nosferatu is a behemoth of a horror film that is equal parts repulsive and seductive.
로버트 에거스 감독에 의해 훌륭하게 조율된, <노스페라투>는 불쾌함과 매혹스러움이 동등한 정도로 분배된 공포 영화계의 거물급 작품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팬데믹의 공포

영화사상 최초의 뱀파이어 영화인 <노스페라투>(1922)와 브람 스토커의 소설 『드라큘라』(1897)의 스토리를 토대로, 팬데믹 상황을 결합했다. 이 장르의 가장 위대한 원전들을 영리하게 활용하며, 강렬한 사운드와 이미지를 결합했으며 에로틱한 느낌도 있다. 영화 내내 고딕 호러의 톤을 놓치지 않는 가운데, 엑소시즘이나 재난 영화의 요소도 가미된다. 배우들의 인상적인 클로즈업과 유려한 트랜지션으로 휘몰아치듯 진행되는, 웰메이드 장르 영화.
- 김형석 (★★★☆)
코로나 시대의 뱀파이어

1922년작 <노스페라투>는 이후 등장하는 뱀파이어 영화뿐만 아니라 공포영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품. 100여 년이 넘어 당도한 두 번째 리메이크 <노스페라투>는 최대한 원작에 충실하고자 했다. 영화는 19세기 사람들이 가졌던 공포와 금기를 뱀파이어를 통해 구현한다. 대중매체에서 익숙한 창백한 미남 뱀파이어 대신 오히려 좀비에 가깝게 묘사된 노스페라투는 죽음과 욕망을 동시에 상징한다. 그가 등장할 때마다 동반되는 쥐떼는 당시 유행했던 흑사병을 떠올리게 하고, 엘렌(릴리 로즈 뎁)의 성적 욕망을 자극하는 올록 백작(빌 스카스가드)은 금기되었던 여성의 욕망을 드러낸다. 21세기에 맞춘 새로운 재해석보다는 진보된 비주얼이 강점이나 팬데믹을 겪었던 관객들의 경험으로 인해 동시대성을 일정 부분 획득한다.
- 이지혜 (★★★)
고딕 호러의 정수

뱀파이어 영화의 고전 <노스페라투>(1922)를 현대적 감각으로 리메이크했다. 공포영화의 새로운 거장으로 평가받는 로버트 에거스 감독의 특징과 장기를 실컷 확인할 수 있다. 단순히 원작을 취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대 배경, 여성 캐릭터, 주제를 확장한다. 장르적으로는 고어 요소를 더하는 등 공포 효과를 극대화했다. 빌 스카스가드, 니콜라스 홀트, 릴리 로즈 뎁 등 젊은 배우들이 작품에 불어 넣는 활력도 신선하게 다가온다. 고딕 호러 스타일을 완성한 촬영, 음악, 미술, 의상, 분장을 보는 재미도 상당하다. 공포영화 역사에 독보적인 뱀파이어 캐릭터로 자리한 올록 백작 캐릭터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호불호가 나뉠 것으로 보인다.
- 정유미 (★★★☆)
영화의 신전에 엎드려 불어넣은 호러의 한기.
- 이동진 (★★★☆)
에로스가 호러를 눕히려니
- 박평식 (★★★)
전염병 공포와 에로티시즘의 매혹적 결합
- 임수연 (★★★☆)
초중반까지 압도되나 심드렁한 결말
- 배동미 (★★★)
이 영화의 매혹을 전파할 수밖에 없는 저주에 걸리다
- 김철홍 (★★★☆)
화면의 아름다움에 피 빨린 공포의 근원
- 이우빈 (★★★)
고딕의 탈을 쓴 채 영육을 마비시키는 관능의 난반사.
- 최현수 (★★★★)
육체성, 기어코, 지독하게
- 이용철 (★★★)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개봉 10일 만에 전세계 박스오피스 1억 달러를 돌파하며, 로버트 에거스의 최고 흥행작에 등극했다. #

9.1. 한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9.2. 북미 (미국·캐나다)

원래는 크리스마스 개봉 5일간 약 2,5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기대 이상의 흥행을 선보이며 5일 예상치는 4,200만 달러로 올랐다. # 그리고 개봉 주말에 2,170만 달러, 5일간 총 4,08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수퍼 소닉3무파사: 라이온 킹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북아메리카 언론들도 박스오피스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했다. #

10. 수상 및 후보 이력

11. 기타

  • 로버트 에거스는 어린 시절부터 1922년작 〈노스페라투〉의 엄청난 팬이었다. 17살 때 학교에서 〈노스페라투〉 연극판[7]을 연출하기도 했다. 에거스는 2016년 인터뷰에서 "그때 저는 이 작품이 제가 하고 싶은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노스페라투〉는 저에게 매우 가깝고 마법 같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 빌 스카스가드는 2008년 개봉한 단편영화 〈Pigan brinner!〉에서 십대 노스페라투를 연기한 바 있다. 그것(영화)에서 페니와이즈를 연기한 경력에, 더 크로우에서의 액션 연기 등 전체적으로 장르영화와 체력적, 정신적으로 고된 역할을 많이 하는데, 이번엔 그 강도가 세서 인조음경과 이빨, 온갖 분장들과 의상을 입은 채로 연기를 해서 화제를 모았다. 이를 두고 빌 스카스가드는 '베니티페어'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을 연기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매번 훌륭하지만... 나는 가능한 한 나로부터 멀리 변신하고 싶어요."라고 말하며 색다른 역할과 시도에 관심이 많다고 한다. #
  • 니콜라스 홀트는 2023년 영화 〈렌필드〉에서 드라큘라로부터 벗어나고 싶어하는 부하 렌필드 역을 맡은 적이 있다.[9] 본작의 흡혈귀 올록 백작이 본래 드라큘라와의 판권 문제 때문에 만들어진 캐릭터라는 것을 생각하면 재미있는 우연.
  • 2023년 4월, 로버트 에거스는 엠파이어 인터뷰에서 "저는 제가 할 수 있는 것 이상을 시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그랬듯이 힘든 촬영이었어요. 어젯밤에 우리는 비와 파도가 많은 배에서 장면을 촬영하고 있었는데, 렌즈에서 비를 내보내려고 하는 레인 디플렉터가 고장나서 흐릿해졌습니다"라고 말했다. 또 10월, 에거스는 엠파이어 인터뷰에서 "네, 이 작품은 무서운 영화예요. 이것은 공포 영화입니다. 고딕 공포 영화죠. 그리고 한동안 정말 무서운 고전 고딕 영화는 없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저는 대다수의 관객이 이것이 사실적이라고 느끼리라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 촬영 감독 자린 블리슈크는 본작이 컬러로 촬영되었으며, 19세기 낭만주의를 연상시킨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 2023년 12월, 로버트 에거스는 토탈 필름 인터뷰에서 "기본적으로 저는 '죽은 트란실바니아 귀족은 실제로 어떻게 생겼을까?'라고 생각했습니다. 빌 스카스가드는 엄청난 양의 체중을 감량했죠. 그는 모든 측면에서 너무 변모했습니다. 당신은 〈그것〉에서 분장한 빌을 볼 수 있었지만, 여기에서 빌을 알아볼 수 없습니다. 그는 목소리를 한 옥타브 낮추기 위해 오페라 코치와 함께 일했습니다. 사람들은 우리가 그것을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했다고 생각할 것 같지만, 그것은 그의 연기입니다"라고 말했다.
  • 윌렘 대포는 인디와이어 인터뷰에서 "저는 촬영하면서 일부 영상을 봤는데, 시각적으로 제가 지금까지 본 어떤 것과도 달랐다고 솔직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영화의 모습과 촬영 방법은 특별했습니다"라고 말했다.
  • 2015년 제작이 무산되기 전에 빌 스카스가드는 토마스 허터 역으로 출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22년 노스페라투 리메이크 프로젝트가 부활하자, 로버트 에거스는 스카스가드를 올록 백작 역으로 캐스팅하기로 결정했다. 에거스는 원래 올록 백작 역에 40대 배우를 캐스팅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여러 번의 오디션과 메이크업 테스트를 거쳐 스카스가드를 캐스팅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에거스는 인터뷰에서 “두 번째 메이크업 테스트에서 저는 '그가 캐릭터 자체가 됐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상으로 보니 정말 섬뜩했어요”라고 말했다. #
  • 로버트 에거스의 인터뷰에 따르면 테스트 상영 때 상영했던 초기 시사회판은 3시간 분량에 달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예고편에서 올록 백작이 뒤에서 실루엣으로 등장하는 장면은 정작 본편에는 사용되지 않았는데, 정말 멋진 장면이긴 했지만 이 장면을 넣었다간 올록 백작이 주는 미스테리함이 줄어들 것 같다는 이유로 삭제했다고. # 에거스도 이 삭제 장면들에 대한 미련이 남았는지 결국 3월 4일 영국에서 출시 예정인 4K 블루레이에 극장판과 더불어 확장판이 수록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
  • 영화 속에 나오는 쥐들은 CG가 아니며, 실제로 2천 마리의 쥐들을 동원해 촬영했다고 한다. #
  • 니콜라스 홀트는 인터뷰에서 릴리로즈 뎁의 연기에 대해 "내가 본 것 중 가장 인상 깊은 연기 중 하나였습니다. 그녀와 다시 작업할 수 있다면 언제든지 할 거예요"라고 말했다.
  • 올록 백작의 의상이 기존의 두 작품에서 나왔던 검은 의상이 아니라 검은색 퍼코트에 가까운 옷차림을 입고 등장했는데, 로버트 에거스 감독은 이에 대해 1922년판을 비롯한 기존의 작품들은 영국식 각색이 들어간 옷차림을 하고 있었지만 올록은 트란실바니아 공국 귀족이므로 16세기 당시의 정통 헝가리 의상을 입고 있었을 것이라는 해석을 새로이 추가해 귀족적인 느낌을 주고 싶었다고 한다. #

12. 관련 문서


[1] 로버트 에거스를 발굴한 감독이다. 〈더 위치〉와 〈라이트하우스〉의 총괄 프로듀서를 맡은 바 있다.[2] 한국에서는 IMAX, Dolby Cinema 포맷의 개봉이 불발되었다.[3] 등급분류 결정내용: 뱀파이어가 인간이나 동물을 물어 흡혈하는 장면, 산 사람과 시신의 가슴에 날카로운 도구로 출혈을 일으키는 장면 등 폭력적인 장면들이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표현되고, 폭력적인 장면들을 비롯하여 동물에게 훼손되는 시체의 모습, 출혈을 일으키는 뱀파이어의 모습 등에서 유발되는 심리적 불안과 공포, 긴장감이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폭력성과 공포의 수위가 높다. 또한 흉기를 사용한 신체 훼손, 살인 등이 노골적이어서 모방위험의 수위 또한 높으므로 청소년관람불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
[4] 윌렘 대포는 '원작 노스 페라투에 출연한 막스 쉬렉이 사실은 진짜 뱀파이어였다' 라는 설정을 가져온 영화 뱀파이어의 그림자에서 뱀파이어 막스로 열연한적이 있다.[고양이] 엘렌 후터의 고양이. 이 이름은 1922년판의 엘렌 후터 역을 맡았던 그레타 슈레더의 이름을 따서 붙인 배역명이라고 한다.[6]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7] 한 극장 주인은 이 연극을 인상깊게 보고 에거스를 고용해 전문적으로 연극을 재무대화했다.[8] 노스페라투에서 올록 백작을 연기한 배우.[9] 노스페라투에선 크녹(Herr Knock)이라는 캐릭터가 드라큘라의 렌필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