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D6001C 56.2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D6001C 67.6px, transparent 45px), linear-gradient(315deg, #D6001C 77.6px, transparent 5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당위원장 | ||||
김용연 | |||||
종로·중 | 용산 | 동대문 | 성동·광진 | ||
공석 | 공석 | 오준석 | 강병찬 박대희 | ||
중랑 | 성북 | 강북 | 도봉 | ||
노혜령 | 전택기 | 김은주 | 공석 | ||
노원 | 은평 | 서대문 | 마포 | ||
최나영 홍기웅 유룻 강미경 | 김용연 | 전진희 | 김성은 | ||
양천·강서 | 구로 | 금천 | 영등포 | ||
이미선 | 최재희 이근미 | 공석 | 공석 | ||
동작 | 관악 | 강남·서초 | 강동·송파 | ||
공석 | 백성균 | 공석 | 박지선 | ||
}}}}}}}}}}}} |
진보당 서울특별시 중랑구 지역위원장 노혜령 盧慧玲 | Roh Hye-ryeong | |
| |
<colbgcolor=#D6001C><colcolor=#ffffff> 출생 | 1978년 11월 15일 ([age(1978-11-15)]세) |
현직 | 진보당 중랑구 지역위원장 진보당 중랑구 방사능 안전급식조례 추진위원장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서울지부 성북강북지회장 |
학력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학 97 / 제적) |
소속 정당 | |
약력 | 홍익대학교 부총학생회장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서울지부 부지부장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비정규직 노동자이자 정치인.2. 생애 및 정치활동
2.1. 대학 이전
1978년 11월 15일 서울특별시에서 1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어렸을때에는 겁많고 소심했지만, 한편으로는 관심을 많이 받고싶었던 마음이 큰 평범한 어린이였다고 한다.
서울마천초등학교, 오주중학교, 잠실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2. 학생 운동
1997년 3월 1일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97학번)에 입학했다. 새내기 대학생때부터 과학생회 및 사범대 학생회 활동을 했다. 이후 2001년 홍익대학교 총학생회 부총학생회장을 역임했다. 당시 등록금 인상 반대를 위해 단식농성을 하기도 했다. 오마이뉴스 기사 한겨레 홍익동문 기사4학년 때이던 2003년 3월 2일 제적되었다.
2.3. 정치 활동
2004년 민주노동당에 입당하고 민주노동당 마포구위원회에서 활동했다.2011년 결혼 후 2012년 아들을 출산했다.
2014년부터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서울지부 활동을 시작했다. 교육국장으로 몇년간 활동하다 2020년 부지부장을 맡았다. 2022년부터 현재까지 성북강북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3년 진보당 중랑구위원회 위원장으로 당선되었다. 진보당 공고 이후 중랑구에서 후쿠시마 핵오염수 서명,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반대 서명, 중랑구 방사능 안전급식 조례제정운동 등을 펼쳤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진보당 국회의원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랑구 갑에 공천되었다가 더불어민주당의 서영교 후보와 단일화하였다. 관련 기사
그 이후 진보당 중랑구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상봉역과 면목역 앞 1인시위, 줍깅 및 정당연설회 활동을 이어가던 중, 12월 3일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이후 윤석열 퇴진 투쟁에 앞장섰다.
2025년, 2026년 차기 지방선거 지역구로 염두에 두던 중랑구 다 선거구가 공석이 되었다.그 이유는 국민의힘 신예진 전 의원이 구의원 임기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2022년 8월 주소지를 옮긴 것이 뒤늦게 확인되어 의원직을 상실했기 때문이다.관련 영상[1] 3월 12일 14시30분 서울중랑경찰서에 신 전 의원을 공문서 작성죄, 사기죄 등으로 고발했다. 관련 영상 관련 기사 또한 진보당 중랑구위원회에서는 신 전 의원 세비 환수를 요구하는 주민 서명운동도 받고 있다. 서명하기
이후 예정했던 출마 시기를 1년 앞당겨서 진보당 중랑구 다선거구 기초의원 예비후보로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진보당 후보등록출마선언 뉴스출마 기자회견 종합 기사 더불어민주당 김대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5 | 2025년 4월 재보궐선거 (기초의회의원) | 서울 중랑 다 | | 3,993 (44.10%) | 낙선 (2위) | [2] |
2026 |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250329 호소웹자보2.jpg 2025년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 중랑구 다선거구) | }}}}}}}}} |
[1] 중랑구 주민이 22년 9월에 주소지 이전 의혹을 구의회 게시판에 제기했지만 묵묵부답이었고 중랑구의회는 2년이 지난 24년 12월이 되어서야 답변을 달았다. 중랑구의회 질의응답 그동안 신 전 의원이 가져간 세비가 (추정) 1억2천만원에 달한다고 한다.[2] 전임자 국민의힘 신예진 주소지 이전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