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4:07:17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파일:경상북도 휘장.svg 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5px -1px -11px"
건설·시운전 중인 노선 착공 확정 및 설계 중인 노선
4호선 대구산업선
추진 중인 노선
{{{#!wikistyle="margin:-16px -11px;"
5호선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경부선 동대구 ~ 서대구
(7.5km, 16.64%)
대구산업선 서대구 ~ 대구국가산단
(36.38km, 83.36%)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대구산업선 광역전철
大邱産業線 廣域電鐵
Daegusaneop Line
}}}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구산업0615.svg
* 노선색상 미정
노선 정보
노선 분류 일반철도
기점 서대구역 / 동대구역
종점 대구국가산단역
역 수 12개
구성 노선 경부선 (동대구 ↔ 서대구)
대구산업선 (서대구 ↔ 대구국가산단)
착공일 2024년 하반기
개업일 2027년 하반기 예정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사용차량 대구산업선 광역전철/차량
차량기지 대구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36.383km(서대구착발)
43.88km(동대구착발)
궤간 1,435mm
선로구성 단선(대구산업선)
복선(경부선)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ATS/ATP
최고속도 100km/h
표정속도 53.0km/h(예정)[1]
지상 구간 방천리 분기점 ~ 동대구역
통행 방향 좌측통행
개통 예정 2027년 하반기

1. 개요2. 특징3. 역할4. 차량5. 운임6. 역 목록7. 역별 승하차 예측 통계8. 동대구역 연장운행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서구달성군, 달서구 지역의 산업단지를 잇는 노선.

2. 특징

원래 일반간선열차를 투입하는 것으로 산정하고 역 개수를 계획해서 역간거리가 매우 넓다. 또한 대형전동차가 전구간 단선으로 운행하는 전국 최초의 노선이다. 또 동해선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서해선처럼 광역철도로 법적 고시되어있지는 않지만 일반철도에 광역전철을 운행하는 사례가 된다.[2] 게다가 이름과 달리 대구광역시 단일 행정구역 내에서만 운행한다.[3]

1일 편도 53회 운행 예정이며 출퇴근 시간과 낮 시간(06:00 - 22:00)에는 배차간격이 20분, 운영 시작 1시간(05:00-06:00), 마감 전 1시간(23:00 - 24:00)은 배차간격이 30분이다. 또한 단선인 만큼 역에서 반대 방향의 두 열차가 교행해야하므로 3 ~ 10분 정도 문열어놓고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것도 예삿일이 될 것이다.[4]

3. 역할

대구광역시 도심에서 25km 넘게 떨어진 대구국가산단, 대구테크노폴리스에서 도시철도와 철도역으로 접근하기 좋아진다. ITX-새마을[5] 운행에서 통근형 전동차 운행으로 바뀜으로써 이전의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구지연장을 계승하는 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라인 부근에 거주하는 계명대 성서캠퍼스 통학생들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1호선 라인에 거주하는 통학생들은 1호선을 타고 반월당역까지 가서 2호선으로 갈아탄 다음 계명대역에서 내려 통학하거나 시내버스로 통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6]

일부 열차는 경부선을 통해 동대구역까지 연장운행하므로 첨두시 15분, 평시 20분의 배차간격을 갖는 대구권 광역철도의 배차를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수도권의 4호선(안산선-수인분당선(수인선), 서해선-경의중앙선(경의선)처럼 한 선로에 두 개의 운행계통이 중복 운행하는 것이다. 이 둘을 합하면 서대구~동대구 구간은 첨두시 7회(약 9분), 평시 5회(약 12분)가 운행하는 셈이다.

성서권에서는 버스망이 부실하여 가까운 서대구역까지도 가기가 상당히 번거로운데, 대구산업선 광역전철이 개통하면 계명대역을 통하여 서대구역은 물론 동대구역까지도 편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4.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산업선 광역전철/차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운임

대구산업선에서 운행될 열차가 당초 계획이던 ITX-마음에서 일반 전동차로 변경됐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요금제 또한 일반열차 요금제가 아닌 도시철도 요금제가 적용될지는 불확실했다. GTX 방식의 요금제를 검토한다는 말도 있었다. #

일반 전동차에 일반철도 요금을 받거나 GTX 요금을 받는다면 이것은 일반 전동열차에 다른 등급 열차의 운임이 적용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생기게 된다. 대구시와 국토부가 협의하여 운임에 관하해 결론지어야 대구산업선 광역전철의 운임, 환승제도 등이 비로소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에서 대구권 광역철도가 기존 1,500원 단일 요금제 + 환승시 50% 차감 형식을 채택하면서 이 노선 또한 이와 동일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6. 역 목록

역 등급 범례
관리역 보통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승차권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지상구간
역번 역명 승강장 역 등급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0.0 동대구 東大邱 |■| | | |■| |■| |■| |■| |■| ? ? 파일:Daegu1.svg 1호선
파일:Daegu4.svg 4호선
파일:대구신공항철도아이콘.svg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광역철도 공용구간 동구 대구광역시
대 구 大 邱 |■| |■| ||■ ? ? 파일:Daegu1.svg 1호선 북구
원 대 院 垈 ■| | | |■ ? ? 파일:Daegu3.svg 3호선
DS01 7.4 서대구 西大邱 ■| | | |■ ? ? 파일:대구신공항철도아이콘.svg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서구
DS02 서재세천 鋤齋世川 ? ? 달성군
DS03 계명대 啓明大 ? ? 파일:Daegu2.svg 2호선 달서구
DS04 성서공단 城西工團 ? ?
DS05 설화명곡 舌化椧谷 ? ? 파일:Daegu1.svg 1호선 달성군
DS06 달성군청 達城郡廳 ? ?
DS07 달성산단 達城産團 ■| |■ ? ?
DS08 테크노폴리스 ■| |■ ? ?
DS09 42.8 대구국가산단 大邱國家産團 ■| |■ o ?

2024년 5월 공개된 2, 3공구 환경영향평가에서 DS07 ~ DS09 역은 복선 상대식승강장 형태로 도면이 공개되었다. 또 일부 편성에 한하여 동대구 연장 운행이 시사된 부분이 있다.(50페이지)

7. 역별 승하차 예측 통계

2028년 기준 대구산업선의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대구산업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예측) 2028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9개 서대구↔대구국가산단 -명 28,555명 -명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7] 5만명 이상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5천명~1만명 5천명 이하
3개 달성공단↔대구국가산단 - - 1개역[8] 1개역[9] 1개역[10]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예측) 2028년 승하차량(예측)
1위 테크노폴리스역 10,307명 3,762,055명
2위 대구국가산단역 9,977명 3,641,605명
3위 달성산단역 2,052명 748,980명

8. 동대구역 연장운행

대구시는 운행시간 발표 관련해서 서대구역~국가산단 29분, 동대구역~국가산단 38분이라고 언론에 보도한 적은 있으나 그건 단순 통행시간일뿐 운행계획은 아니다.# 또한 선형 변경과 서재세천역, 성서호림역 추가로 서대구역 ~ 국가산단역 소요시간은 38~40분으로 증가하였다.

다행인건, 차량기지가 대구차량사업소라 출입고차량은 회송이든 영엉운행이든 동대구역까지 운행할 수 밖에 없고, 태영건설에서 경부선 접속부를 상하행 입체교차로 설계 한다고 밝혔으며, 환경평가영향평가에서도 동대구 연장 운행이 드러난 부분이 있어 100% 서대구행이라는 보장은 없다. 그러나 대구권 광역철도가 남은 경부선 선로용량의 반 가까이를 차지하면서 선로용량이 많이 부족해진 상황이다. 광역철도 개통 및 기타 차량 도입 후 남을 선로용량은 약 50~60회 뿐으로 이 용량으로는 추후 대구산업선과 달빛철도까지 들어오기가 상당히 빠듯하다. 또한 동대구역 종착 후 회차할 때 하행경부선 → 하행경부고속선 → 상행경부고속선 → 상행경부선에 이르는 4단 평면교차가 필요해 경부선 용량을 더 깎아먹을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공청회 내용에 따라 대구국가산단~서대구 40분으로 가정하고 추산[2] 사실 일반철도냐 광역철도냐가 무슨 열차를 운행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법적으로 일반철도지만 광역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한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법적으로 광역철도이지만 광역전철이 아니라 별도의 GTX용 차량이 들어가며, 운임도 광역전철보다 훨씬 비싸다.[3] 이처럼 광역전철이지만 하나의 광역자치단체에서만 운행되는 광역전철로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도 존재한다. 단 월곶판교선이 연결되면 진정한 광역전철로 거듭나게 된다. 동탄인덕원선도 유사한 사례가 될 예정이다. 창원산업선이 개통되어 전철 운행 연장이 성사되면 경상남도까지도 운행할 순 있다.[4] 단선 전철이라 열차운행계획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교행에 따른 불편함의 정도가 결정될 것이다.[5] 간선형 전동차[6] 그래서 월배 권역에서 바로 계명대로 꽂아주는 달서3번급행8번과의 환승연계도 되는 급행7번은 통학 시간만 되면 항상 사람이 가득 찬다.[7] 정확한 통계 예상 자료가 기재되어있는 3공구만 포함한 수치이다.[8] 테크노폴리스[9] 대구국가산단[10] 달성산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