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00 IBAF U-18 | 2006 IBAF U-18 | 2008 IBAF U-18 | 2011 아시아 U-18 | 2012 IBAF U-18 | |
조성옥호 | 허세환호 | 이종운호 | 이영복호 | 이정훈호 | ||
2013 IBAF U-18 | 2014 아시아 U-18 | 2015 WBSC U-18 | 2016 아시아 U-18 | 2017 WBSC U-18 | ||
정윤진호 | 이효근호 | 이종도호 | 이성렬호 | 이성렬호 | ||
2018 아시아 U-18 | 2019 WBSC U-18 | 2022 WBSC U-18 | 2023 WBSC U-18 | 2024 아시아 U-18 | ||
김성용호 | 이성렬호 | 최재호호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21| 2021 ]]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22|2022 ]] | 이영복호 | 박계원호 |
석수철호 TEAM KOREA | ||
| ||
감독 | ||
주장 | C | |
참가대회 | 2025 WBSC U-18 야구 월드컵 | |
최종성적 | ||
선수성적 |
| |
2024년 | 2025년 | 2026년 |
1. 개요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의 2025년 활동 내용을 보여주는 문서.2. 대회 준비
2025년에 치르는 제32회 2025 WBSC U-18 야구 월드컵에 참가하는 대표팀이다. 해당 대회는 2025년 9월 5일부터 9월 14일까지 일본 오키나와에서 열린다.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는 2025년 5월 20일 석수철 군산상일고 감독을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했으며, 청룡기 대회 결승을 하루 앞둔 7월 11일에 코치진 및 선수 명단을 발표했다.
3. 코칭 스태프 및 선수단
<rowcolor=#00022e> 직책 | 등번호 | 이름 | 소속 | 비고 | |
<colbgcolor=#00022e><colcolor=#FFFFFF> 감독 | 석수철 | 군산상일고 감독 | |||
코치 | 정진 | 순천효천고 감독 | |||
코치 | 이양기 | 동산고 감독 | |||
코치 | 진민수 | 마산용마고 감독 | |||
코치 | 김성현 | 배재고 코치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bordercolor=#00022e><rowbgcolor=#FFFFFF><rowcolor=#00022e> 등번호 ||<-2> 이름 || 소속 || 투타 || 비고 ||
투수 | |||||
18 | 박준현 | 북일고 3학년 | 우투우타 | ||
13 | 박지성 | 서울고 3학년 | 우투우타 | ||
19 | 신동건 | 동산고 3학년 | 우투우타 | ||
1 | 이태양 | 인천고 3학년 | 우투우타 | ||
21 | 김요엘 | 휘문고 3학년 | 우사우타 | ||
15 | 박준성 | 인천고 3학년 | 좌투좌타 | ||
11 | 최요한 | 용인시야구단 3학년 | 좌투좌타 | ||
포수 | |||||
10 | 이희성 | 원주고 3학년 | 우투우타 | ||
7 | 이연우 | 서울컨벤션고 3학년 | 우투우타 | ||
27 | 강민기 | 부산고 3학년 | 우투우타 | ||
내야수 | |||||
6 | 박한결 | 전주고 3학년 | 우투좌타 | ||
12 | 허윤 | 충암고 3학년 | 우투좌타 | ||
16 | 김지석 | 인천고 3학년 | 우투좌타 | ||
28 | 김건휘 | 충암고 3학년 | 우투우타 | ||
3 | 신재인 | 유신고 3학년 | 우투우타 | ||
5 | 엄준상 | 덕수고 2학년 | 우투우타 | ||
외야수 | |||||
23 | 오재원 | 유신고 3학년 | 우투좌타 | ||
17 | 안지원 | 부산고 3학년 | 우투우타 | ||
30 | 박지호 | 군산상일고 3학년 | 좌투좌타 | ||
29 | 하현승 | 부산고 2학년 | 좌투좌타 |
4. 2025 WBSC U-18 야구 월드컵
5. 여담
- 2026 신인 드래프트에서 상위권 지명이 예상되는 선수 중 유급생들인 김민준(대구고), 김화중(덕수고), 이주호(경기항공고), 김태언(세광고), 정다훈(청주고)이 제외되었다.
- 오재원은 2년 연속 선발되었다.
- 2학년은 엄준상, 하현승 2명이 선발되었다.
- 최요한은 학교 소속 야구부가 아닌 순수 클럽 팀 소속 선수로는 최초로 청소년 대표에 선발되었다.[1]
5.1. 2026 KBO 신인 드래프트 지명 결과
- 대회 이후 열린 2026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 | | | |
키움 | NC | 한화 | 롯데 | kt | LG |
박준현 (1R) 박한결(1R) 김지석(2R) 박지성(3R) 이태양(5R) | 신재인(1R) 이희성(2R) 김요엘(3R) 최요한(3R) 안지원(6R) 허윤(7R) | 오재원(1R) | 신동건(1R) | 김건휘(3R) | 박준성(2R) 강민기(5R) |
- 3학년 선수 중 이연우와 박지호가 지명을 받지 못했다. 특히 박지호는 대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의문이다.
[1] 단, 최요한은 처음부터 무경력자는 아니었고 원래 비봉고등학교 야구부 소속이었다가 비봉고 내부 문제로 인해 몇몇 동료들과 함게 용인시야구단으로 옮겨 간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