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8:45:30

동철 이음 이의어

동형이의어에서 넘어옴
1. 개요2. 예
2.1. 한국어
2.1.1. 장단음 차이2.1.2. 경음화 현상2.1.3. 둘 다 해당되는 경우2.1.4. ㄴ 첨가2.1.5. 음성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어휘
2.2. 영어
2.2.1. 굴절/품사 전성
2.2.1.1. 강세에 따른 발음 변화
2.3. 일본어2.4. 중국어2.5. 아랍어2.6. 러시아어
3. 관련 개념4. 관련 문서

1. 개요

동철 이음 이의어(, heteronym)는 글자는 같지만 소리가 다르고 이에 따라 뜻도 다른 단어를 의미한다. 주로 표기 심도가 깊은 언어에서 볼 수 있다.

2.

2.1. 한국어

2.1.1. 장단음 차이


이들 예는 오늘날 한국어의 장단음 구별 소멸 경향에 따라 동음이의어화가 진행되고 있다.

2.1.2. 경음화 현상

  • 잠자리[잠자리](곤충)와 잠자리[잠짜리](잠 자는 곳)
  • 전주[전ː주](지역)와 전주[전ː쭈](저번주)
  • 대가[대ː가](大家)와 대가[대ː까](代價)
  • 송장[송ː장](시체)와 송장[송ː짱](送狀)
  • 영장[영장](靈長)[1]과 영장[영짱](令狀)[2]
  • 원장[원장](院長,園長 등)[3]과 원장[원짱](原狀,元帳)[4]
  • 외과[외ː과/웨ː과](外踝)와 외과[외ː꽈/웨ː꽈](外科)
  • 볼거리[볼거리](질병)와 볼거리[볼꺼리](볼 만한 것)
  • 캘거리[캘거리](캐나다 도시 이름)와 캘거리[캘꺼리](캘 만한 것)
  • 물질[물질](해저 식용 생물을 채취하는 일을 뜻하는 고유어)과 물질[물찔](物質)
  • 열병[열병](閱兵)과 열병[열뼝](熱病)
  • 지적[지적](指摘)과 지적[지쩍](知的)
  • 병적[병적](兵籍)과 병적[병:쩍](病的)
  • 안다[안다]('알다'의 활용형)와 안다[안따](껴안다)
  • 세부[세ː부](細部)와 세부[쎄부](필리핀 도시 이름)

참고로 한자어와 고유어 그리고 혼종어(한자어와 고유어가 결합된 경우)에서 동철 이음 이의어가 여럿 나타난다. 복합어에서의 후행 음절 경음화 양상을 보면 후행 음절이 고유어일 때보다 한자어일 경우가 더 많다.[5]

2.1.3. 둘 다 해당되는 경우

  • 시가(市價)[시ː까]와 시가(市街)[시ː가], 시가(時價)[시까]와 시가(詩歌)[시가]로 같은 철자에 발음이 4개나 있다. 게다가 담배의 일종인 시가어두 경음화로 인해 [씨가]로 발음되어 실질적으로는 5가지이다.
  • 성적(成績)[성적]과 성적(聖籍)[성ː적]과 성적(性的)[성ː쩍]
  • 정적(靜寂)[정적]과 정적(正籍)[정ː적]과 정적(靜的)[정쩍]
  • 고가(高架)[고가]와 고가(告暇)[고ː가]와 고가(高價)[고까]
  • 소수(疏水)[소수]와 소수(小數)[소ː수]와 소수(素數)[소쑤]

2.1.4. ㄴ 첨가

  • 일일이[일리리](하나하나)와 일일이[일릴리](112)[6]

2.1.5. 음성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어휘

  • 일[일ː](노동)과 일[ʔ일](숫자)
    ʔ는 성문 파열음이다. 다만 표준 발음법은 이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장단 차이 외에는 차이가 없다. 과거에는 가 쓰였다.

2.2. 영어

  • bass: '저음'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beis/, '농어'라는 의미로 쓸 경우 /bæs/로 읽는다.
  • bow: '고개 숙여 인사하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baʊ/, '활'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boʊ/로 읽는다.
  • close: '가까운'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kloʊs/, '닫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kloʊz/로 읽는다.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 중 하나이면서 동철 이음 이의어인 경우이다.
  • desert: '버리다, 탈영하다'라는 뜻으로는 /dɪ'zɝt/(미국), /dɪˈzɜːt/(영국)이며, '사막'이라는 뜻으로는 /ˈdɛzɚt/(미국), /ˈdɛzət/(영국)이다.
  • ensign: '깃발'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ensain/, '소위'라는 의미로 쓸 경우 /ensn/로 읽는다.
  • gill: '아가미', '계곡'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ɡɪl/, '부피 단위', '처녀'라는 의미로 쓸 경우 /dʒɪl/로 읽는다.
  • heavy: '무겁다'는 의미로 쓸 경우 /hevi/, 수의학 용어로 쓸 경우 /hiːvi/로 읽는다.
  • job: '일'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dʒɑːb/, 성경의 인명(욥기)으로는 /dʒoʊb/으로 읽는다.
  • lead: '이끌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liːd/, ''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led/로 읽는다.
  • minute: '분(시간)'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mɪnɪt/, '미세하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maɪ|njuːt]/
  • reading: 독서, 읽을거리 등의 의미로 쓸 경우 /ˈriːdɪŋ/, 영국의 도시 이름 중 하나라는 의미로 쓸 경우 /ˈredɪŋ/으로 읽는다.
  • resign: 사임하다라는 의미일 때는 /rɪˈzaɪn/, 재계약하다라는 의미일 때는 /ˌriːˈsaɪn/로 읽는다. [7]
  • resume: 재개하다라는 의미일 때는 /rɪzuːm/, '요약'이라는 의미일 때는 /ˈrezəmeɪ/라 읽는다. 후자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이어크리틱까지 반영해 résumé라고도 쓰나, 다이어크리틱을 빼고 쓸 때도 있다.
  • row: 열()이라는 뜻으로는 미국식 /roʊ/, 영국식 /rəʊ/이며 언쟁이라는 뜻으로는 /raʊ/이다.
  • tear: '눈물'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tiər/, '찢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teər/로 읽는다.
  • wind: '바람'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wɪnd/, '감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waɪnd/로 읽는다.

2.2.1. 굴절/품사 전성

  • graduate: 동사형은 /ˈɡræd͡ʒueɪt/, 명사형은 /ˈɡræd͡ʒuət/으로 읽는다.
  • live: 동사형은 /liv/, 형용사형은 /laiv/로 읽는다.
  • read: 현재형은 /riːd/, 과거 및 과거 분사형은 /red/로 읽는다.
2.2.1.1. 강세에 따른 발음 변화
주위 음소 환경에 따른 형태소의 자음 발음 변화가 심한 한국어와 대조적으로 영어는 강세에 따라 형태소의 모음 발음이 잘 변한다. 발음보다는 형태소를 보존하는 표기를 쓰는 영어의 특성상 같은 철자임에도 강세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른 동철 이음 이의어가 있다. 대개 동사일 때 강세가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 record: 명사형은 /rekəːrd/, 동사형은 /rikɔːrd/로 읽는다.
  • present: 명사형은 /ˈpreznt/, 동사형은 /prɪˈzent/로 읽는다.

2.3. 일본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음독으로 혼동하기 쉬운 훈독
,
,
,
,
,

같은 한자라도 훈독(+ 숙자훈), 오음, 한음, 당음, 아테지 등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같은 개념도 여기서 파생된 것.
  • 人気: 인기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にんき로 읽으며, 사람의 기척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ひとけ로 읽는다.
  • 八百万: 800만이라는 수를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はっぴゃくまん으로 읽으며, 신토에서 모시는 신들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やおよろず라고 읽는다.
  • 仮名: 가명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かめい로 읽으며, 일본어의 고유 문자를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かな로 읽는다.
  • 年生: 학년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ねんせい로 읽으며, 태어난 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ねんうまれ로 읽는다.
  • 大人: 신체적으로 큰 사람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たいじん으로 읽으며, 어른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おとな로 읽으며, 중세시대의 영주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うし로 읽는다.
  • 大文字: 대문자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おおもじ로 읽으며, ''를 쓴 것을 이르는 의미로 쓸 경우 だいもんじ로 읽는다.
  • 一文字: 한 글자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いちもじ 또는 ひともじ로 읽으며, ''을 쓴 것을 이르는 의미로 쓸 경우 いちもんじ로 읽는다.
  • 十文字: 열 글자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じゅうもじ로 읽으며, ''을 쓴 것을 이르는 의미로 쓸 경우 じゅうもんじ로 읽는다.
  • 大丈夫: 대장부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だいじょう로 읽으며, 괜찮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だいじょう로 읽는다.
  • 紅葉: 단풍나무의 잎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もみじ로 읽으며, 단풍이 물들어가는 과정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こうよう로 읽는다.
  • 百姓: 백성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ひゃくせい, 농민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ひゃくしょう라고 읽는다.
  • 上下: 위아래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うえした/じょうげ/しょうか, 사무라이의 예복[8]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かみしも로 읽는다.
  • 石: 암석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せき 또는 いし, 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こく로 읽는다.
  • 天津: 톈진시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てんしん, 하늘에 있는 무언가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あまつ로 읽는다.
  • 仏語: 붓다의 말씀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ぶつご, 불어(프랑스어)라는 의미로 쓸 경우 ふつご로 읽는다.
  • 汁: 즙 또는 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しる, 조미 간장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つゆ로 읽는다.
  • 白湯: 끓인 물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さゆ, 목욕물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はくとう, 육수를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パイタン으로 읽는다.
  • 菖蒲: 창포를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しょうぶ, 붓꽃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あやめ로 읽는다.
  • 訓読: 훈독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くんよみ, 일본식으로 재배치한 한문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くんどく로 읽는다.

2.4. 중국어

한문을 배울 때 '왜 이 한자훈음이 두 개이지?' 하는 질문을 떠올렸을 것이다. 문백이독 참조.
  • : 완료을 나타내는 의미로 쓸 경우 le(무성조)로, 가능, 이해, 끝내다라는 의미로 쓸 경우 /liǎo/(⮍)로 읽는다.
  • : 하다, 발사하다라는 의미[9]로 쓸 경우 fā(→)로, 머리카락이라는 의미[10]로 쓸 경우 fà(↘)로 읽는다.
  • : 분동, 추라는 의미로 쓸 경우 tuó(↗)로, 탈륨이라는 의미로 쓸 경우 tā(→)로 읽는다.
  • : 즐거움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lè(↘)로, 음악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yuè(↘)로, 좋아하다는 의미로 쓸 경우 yào(↘)로 읽는다.
  • : 도량형을 뜻하는 의미로 쓸 경우 dǒu(⮍)로, 싸움을 뜻하는 의미[11]로 쓸 경우 dòu(↘)로 읽는다.

2.5. 아랍어

아랍어는 아브자드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단모음을 표기하지 않기 때문에[12] 철자가 같더라도 단모음 발음이 다른 경우가 많다.
  • فطور: /fatˤuːr/는 '아침밥(단수 명사)', /futˤuːr/는 '버섯(복수 명사)'
  • من: /man/은 '누구(의문사)', /min/은 '~에서(영어 from에 해당하는 전치사)', '~보다(비교급 전치사)'
  • جزر: /d͡ʑazar/는 '당근(명사)', /d͡ʑazara/는 '그가 살육했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d͡ʑazr/는 '살육(단수 명사)', /d͡ʑuzur/는 '섬(복수 명사)'
  • يغير: /juɣajːiru/는 '그가 바꾼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juɣiːru/는 '그가 공격한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 غير: /ɣajːara/는 '그가 바꿨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ɣajr/는 '없다, 아니다'(불변사)
  • كتب: /kataba/는 '그가 적었다, 그가 썼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kutiba/는 '그것이 적혔다, 그것이 쓰여졌다, 그것이 작성됐다, 그것이 집필됐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수동태), /kutub/는 '책(복수 명사)'
  • يكتب: /jaktubu/는 '그가 적는다, 그가 쓴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juktibu/는 '그것이 적힌다, 그것이 쓰인다, 그것이 작성된다, 그것이 집필된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수동태)
  • قتل: /qatala/는 '그가 죽였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qattala/는 '그가 학살했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qutila/는 '그가 살해됐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수동태), /qatl/은 '살인, 살해'(명사)
  • يقتل: /jaqtulu/는 '그가 죽인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juqattilu/는 '그가 학살한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juqtalu/는 '그가 살해된다'(3인칭 남성 단수 현재형 수동태)
  • أجر: /ʔad͡ʑara/는 '그가 보상했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ʔajr/는 '급여, 임금'(명사), /ʔad͡ʑd͡ʑara/는 '그가 빌려줬다, 그가 임대했다, 그가 세놓았다'(3인칭 남성 단수 과거형)

2.6.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강세 유무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진다. 따라서 철자가 같더라도 강세 위치가 다르면 발음이 달라진다.
  • дома: до́ма /'dwomə/ '집에, 집에서', дома́ /dɐ'ma:/ '집들'(복수)

3. 관련 개념

표기와 음성, 의미의 관계로 다음의 관련 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아래 네 개념은 한 단어의 변이형이다.
  • 동철 동음 동의어: 그냥 동일한 단어이다. 따라서 이 부류에는 특별한 명칭을 만들 필요가 없다.
  • 동철 이음 동의어: 한 단어의 발음 변이이다. 한국어에서는 '금융'(그뮹/금늉)[13] 따위를 들 수 있다.
  • 이철 동음 동의어: 한 단어의 표기 변이이다.
  • 이철 이음 동의어: 이는 일반적인 유의어 쌍이다. 기원이 같은 단어의 발음 변이일 수도 있다.

  • 동철 동음 이의어: 표기 심도가 얕은 곳에서는 대체로 동철 = 동음이므로 대체로 동음이의어와 지칭 대상이 같다. 보통 동음이의어라고 하면 이를 지칭한다.
  • 동철 이음 이의어 (본 문서)
  • 이철 동음 이의어: 발음이 겹친 다른 단어로, 동음이의어의 특수한 종류이다. 표기 심도가 깊은 곳의 동음이의어에서 종종 나타난다. right - rite 등. 음성언어로는 구별이 되지 않지만 문자언어로는 구별이 가능하기에 높은 표기 심도의 장점 중 하나가 된다.
  • 이철 이음 이의어: 일반적인 별개의 단어이다.

4. 관련 문서



[1]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2] 구속 영장, 군대 영장[3] 학원 원장, 유치원 원장 등[4] 회계 원장, 소송 원장 등[5] 김홍석, "후행 음절 고유어의 硬音化에 대하여 - 이음절의 同綴異音語를 대상으로 -", 한어문교육 제13집, 2005년 1월, pp.147-159. 단, 이 논문의 문제점은 다양한 음운론적 변인을 통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예컨대, 한국어 음운론에서는 한자어에만 적용되는 'ㄹ-경음화'라는 현상이 있는데, ㄹ 뒤에 나오는 치경음을 무조건적으로 경음화하는 것이다.[6] ㄹㄴ이 ㄹㄹ로 동화함.[7] 후자는 하이픈을 넣어 re-sign으로 적을 수 있다.[8] 라는 한자를 따로 쓰기도 한다.[9] 정체자의 에 해당[10] 정체자의 에 해당[11] 정체자의 에 해당[12] 단어의 실제 의미는 자음에 있는 데다 모음이 적기 때문에 통생략해도 불편이 적은 것. 모음을 명시하는 곳은 쿠란이나 초등학교 교과서 등 한정적이다.[13] 후자는 사잇소리가 개재된 것이다. 주로 동남방언에서 자주 일어나며 동남방언에선 '금요일'도 종종 [금뇨일\]이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