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의 종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포장도로용 | <colbgcolor=white,black>로드바이크 ‧ 타임 트라이얼 바이크 ‧ 픽스드 기어 바이크 ‧ 미니 스프린터 ‧ 투어링 자전거 ‧ 랜도너 |
비포장도로용 | MTB ‧ 싸이클로크로스 ‧ 그래블 바이크 ‧ 팻바이크 | |
생활용 | 신사용 자전거 ‧ 유틸리티 자전거 ‧ 미니벨로 ‧ 접이식 자전거 ‧ 하이브리드 자전거 ‧ 유사 MTB ‧ 크루저 자전거 | |
화물운반용 | 쌀집 자전거 ‧ 카고 바이크 | |
트릭 | BMX ‧ 트라이얼 ‧ 더트 점핑 | |
동력 장치 부착 | 전기자전거 ‧ 원동기장치자전거 | |
기타 특수 형태 | 외발자전거 ‧ 세발자전거 ‧ 네발자전거 ‧ 리컴번트 | }}}}}}}}} |
아라야의 스왈로우 랜도너
1. 개요
Randonneur실제로는 "randonneur(랑도뉘어)"라는 불어 단어는 하이킹하는 사람이란 뜻이며, 란도너(랜도너)라는 별도의 자전거 유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많은 유럽 자전거 메이커들(특히 푸조, 마지, 소마 등)이 종종 자기네 투어링 자전거의 제품명을 "란도너", "그랑 란도너", "스페샬 란도너" 등으로 지었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투어링 자전거를 일반명사처럼 "란도너"로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일본도 그 영향을 받아 투어링 자전거를 흔히 란도너라 부른다. 즉 란도너는 투어링 자전거의 유럽/일본식 속칭인 셈. 영어권에서는 “랜도”(rando)라 줄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
장거리 여행용으로 사용하는 자전거에 대해서는 투어링 자전거 문서가 따로 있으니 그 쪽을 참조하도록 하고, 이 문서에서는 란도너스(브레베)라는 장거리 자전거 경기에 사용하는 자전거를 다룬다.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란도너스 자전거 경기에 나간다고 해서 랜도너라는 자전거를 살 필요는 전혀 없다. 랜도너는 실제 자전거 유형이 아니며 일부 유럽 및 일본인들이 투어링 자전거를 부르는 속칭이다. 이 문서에서는 브레베에 적합한 자전거는 어떤 자전거인가 알아보는 것 뿐이다.
2. 란도너스
랜도니어링[1]은 장거리 자전거 경기의 일종으로, 정해진 시간 내에 수백 킬로미터 내지 천 킬로미터 이상의 거리를 주파한다. 단, 투르 드 프랑스같은 레이스가 아니라 완주 자체를 승리로 보는 지구력 경기다. 때문에 기록으로 줄세워서 1, 2, 3등 레이서를 뽑는 게 아니라 모든 완주자들에게 완주 증명서를 수상하는 방식이 많다. 목적은 참가자 스스로의 기량을 가늠하거나 향상시키는 것, 또는 그냥 친구들과 함께, 또는 혼자서 완주하는 것 자체를 즐기기도 한다.때문에 랜도니어링에 사용하는 자전거는 장거리 주행에 적합하면서도 주파성이 좋고 가벼운 종류가 선호된다. 이 점이 일반 투어링 자전거와 랜도너 자전거의 차이다. 일반 투어링 자전거는 많은 짐을 싣고 편안하게 장거리 여행을 즐기면서, 그 동안 일어날 수 있는 기술적 문제(자전거 고장, 파손 등)를 예방하거나 쉽게 대처하는 데 중점을 둔 자전거다. 때문에 투어링 자전거는 무게와 주행 속도를 희생하는 한이 있어도 파손 우려가 적고 수리가 용이한 튼튼한 프레임과 휠, 타이어, 구동계를 선호한다. 반면 브레베에서는 일정 시간 내로 일정 구간을 완주해야 하기 때문에 빨리 달려 시간을 아낀 만큼 더 많이 휴식할 수 있다. 때문에 랜도너용 자전거는 신뢰성과 속도의 균형을 추구하는 편이며, 각 부품의 기본적인 신뢰도가 꽤 올라간 지금은 아예 속도에 몰빵하는 경우도 많다. 투어링과 달리 브레베는 주최자가 있는 경기이기 때문에, 자전거가 완전히 고장나는 경우에도 헬퍼에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어 위험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모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물론 고장 시 완주는 포기해야겠지만).
그러나 일반적인 자전거 경기와 달리 랜도너는 선수의 자급자족 능력을 중시하기 때문에, 브레베 중에는 지원차량 등으로부터 보급을 받지 못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아무리 짐을 줄여도 물과 영양공급용 식품만은 충분히 휴대해야 하며, 따라서 랜도니어링용 자전거를 아무리 경량 고속화하더라도 최소한의 화물 적재 능력은 반드시 요구된다.[2]
또한 랜도니어링은 투르 데 프랑스처럼 UCI같은 단체가 강제하는 규정이 없기 때문에, 선수가 원하는 대로 어떤 자전거든 사용할 수 있다. 평소에 타던 로드바이크나 MTB에 가방만 몇개 달아서 가져와도 되고, 미니벨로, 리컴번트, 픽시, 철인차,
3. 구성
3.1. 프레임과 휠
브레베에 도전하는 이들이 적합한 차에 대해 조언을 구하면 항상 돌아오는 대답이 "자신에게 익숙한 차가 제일 좋다"다.이는 사실이다. 평소 로드 레이서나 산악 자전거를 즐기던 사람이 브레베 준비한다고 몸에 설은 새 차를 장만해 출전하는 것보다는, 평소 타던 차를 랜도니어링에 적합하게 손봐서 출전하는 쪽이 훨씬 낫다. 극단적인 경우지만 스트라이다로 출전해 완주한 사람도 있다!
그러나 그게 불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예를 들어 평소 타는 차가 미니벨로이거나 초경량 타임 트라이얼 차라든지), 평소 차와는 별도로 장거리 여행용 자전거를 하나 새로 장만해서 브레베에 도전하고 싶은 이도 있을 것이다. 그런 사람이라면 다음 내용을 고려해보면 자전거 구입/제작에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브레베에서는 기본적으로 하루에 7~12시간 정도를 자전거 위에서 보내야 하며, 적어도 시속 20킬로미터 내외의 평균 속도를 무리 없이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평균 속도임에 주목하자. 평지에서 순항하는 속도(크루징 스피드)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업힐, 험지 통과 등의 속도를 모두 감안한 평균 속도가 20이다. 즉 포장된 평지 도로에서는 시속 30킬로미터 정도는 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로드바이크의 형태를 한 차(로드, 엔듀런스, 사이클로크로스, 그래블 등)가 많이 사용된다.
거기에 구간이 길어질수록 차체의 신뢰성과 화물 적재 능력이 중요해진다. 200킬로미터 브레베라면 물병과 휴대용 비상식만으로 주파가 가능하지만, 1200킬로미터 브레베라면 갈아입을 옷들과 우비, 응급 수리장비, 각종 충전기와 보조배터리, 응급 의료 키트[4] 등등 필요한 물건이 늘어난다. 이런 짐들을 자전거에 적재할 화물칸이 필요하므로, 패니어(pannier)를 장착할 수 있는 랙을 달 수 있는 자전거가 좋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흔히 랙을 장착할 수 있는 나사 구멍(아일릿)이 뚫려있는 크로몰리 프레임과 포크가 선호됐었다. 물론 요즘은 크로몰리 프레임 자체가 상당히 희귀한 물건이라 해당사항이 없고, 랙 마운트 없이 끈으로만 자전거에 고정하는 대형 새들백이나 프레임 백의 종류가 많아서 더 가벼우면서 컴팩트하게 짐을 쌀 수 있는 카본 프레임이 대세가 된지 오래. 랙 마운트를 원하면 알루미늄 프레임이 크로몰리보다 훨씬 싸고, 구하기 쉽다.
패니어에 짐을 넣으면 무게중심이 낮아지기 때문에 안정감있는 주행이 가능하다. 허나 카본 프레임에는 랙을 달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자전거를 위해 랙/패니어 대신 자전거의 핸들바, 프레임, 싯튜브에 고정하는 짐가방들이 개발되어 있다. 미국 Topeak, 독일 Ortlieb, 영국 Apidura 등의 제품들이 대표적이며, 비록 패니어에 비해 적재 용량은 좀 적고 주행시 무게중심이 높아지긴 하지만 프레임/포크와 랙의 무게만큼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유리한 점도 있다. 국내 란도너들의 후기를 보면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카본 프레임에 대형 안장가방을 사용해 짐을 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블 자전거 및 바이크 패킹의 유행 때문에 최근에는 짐가방의 선택지도 많아지고 있는 중.
"나는 그냥 배낭으로 하련다?"하는 근성족도 있는데, 브레베 첫 도전이라면 가급적 배낭은 피하는 것이 좋다. 배낭은 무게중심이 매우 높은데다 코어 근육(척추기립근, 등배근 등의 몸통 근육)에 부하를 주는데, 코어는 상하지에 비해 단련이 어려운 근육이기 때문. 무게로 인해 어깨가 아파지는 것도 덤. 반면 이미 몇 번 브레베 완주 경험이 있는 베테랑이라면 자신의 체력 수준을 스스로 잘 알고 있을 테니 알아서 하면 된다.
휠은 얘기가 좀 다른데, 평소 레이싱용 슬릭 타이어(및 휠셋)를 선호하는 로드 레이서들이나 단면이 주먹만한 타이어를 달고 다운힐을 즐기는 사람들이라도 브레베에 도전할 때는 평소와 다른, 랜도니어링에 적합한 타이어로 교체하고 출전해야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휠을 바꿔달아야 할 수도 있다.) 해당 브레베의 코스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브레베에 구간에 도로와 험지가 섞여 있는 경우가 있고[5], 악천후에도 웬만하면 경기를 취소하지 않기 때문에 타이어/휠의 범용성이 중요하다. 로드용 슬릭 타이어를 달고 있다면 그래블 구간에서 목숨 걱정을 해야 하고, 굵게 파인 트레드를 가진 험지용 MTB 타이어가 달렸다면 코스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도로 구간에서 속도가 안 나올 것이다. 때문에 그 사이에 있는 타이어, 즉 트레드가 어느 정도는 파였지만 도로 주행에도 적합한 타이어가 권장된다. 투어링용(예를 들어 슈발베 마라톤)이나 사이클로크로스용(예를 들어 슈발베 G-1 올라운더)이 많이 이용되며 대부분 클린처를 이용한다. 튜블러는 타이어 파손시 교체에 시간이 너무 걸리는데다 예비 타이어가 무겁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로드 바이크에 튜블리스 세팅을 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튜블리스 세팅으로 브레베를 뛰는 라이더들도 늘어나고는 있다. 다만 튜블리스 세팅은 펑크 자체가 잘 나지 않고 작은 펑크는 실란트가 알아서 때워주는 장점이 있으나, 실란트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너무 큰 펑크가 날 경우를 대비해 비상용 예비 튜브 정도는 지참하는게 정신 건강에 이롭다.
장시간 자전거를 타야 하므로 타이어는 편안한 주행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종류가 좋으며, 때문에 최소 28밀리미터짜리가 권장이고 35밀리미터는 되어야 한다는 이들도 많다. 고압 레이싱 타이어는 빠르게 완주하고 쉴 수 있는 로드 경기에는 최적이지만, 랜도니어링에서는 좀 낮은 공기압으로 달리며 신체에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줄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게다가 짐이 많아지는 장거리 브레베에서는 단면적이 적은 레이스 타이어는 (아무리 고압으로 팽창시키더라도) 하중으로 인해 변형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럴 경우 단면적이 큰 타이어보다 오히려 구름저항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로드용 림 중에는 28밀리도 호환 안 되는 것들도 있으므로 제조사 홈페이지나 구글링을 통해 호환성을 확인해야 한다.[6] 휠셋이 호환 되더라도 림브레이크를 사용한다면 브레이크 캘리퍼가 그정도 크기의 림과 타이어에도 쓸 수 있는지, 프레임과 포크에 클리어런스가 충분한지 프레임 호환성 확인도 필수. 최근 휠 유행이 광폭 림에 광폭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이 유행이기 때문에 오래전에 출시된 중고품을 사지만 않으면 휠셋 호환성이나 프레임 호환성은 큰 문제가 없을 것이며, 디스크브레이크 시스템이라면 더더욱 신경쓸 필요가 없다.
휠의 직경은 어느 것이 랜도니어링에 더 적합하다거나 하지는 않으며, 적절한 폭의 타이어를 장착할 수만 있으면 앞서 말한 대로 평소 익숙한 휠이 제일 좋다.
3.2. 구동계
휠,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익숙한 구동계가 좋지만, 평지 도로에서의 고속 주행이나 업힐 등판력 중 하나에만 치중하는 세팅은 불리하다. 브레베 코스는 대개 평지와 업힐/다운힐이 다양하게 혼합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업힐시 가벼운 기어비도 필요하고 평지에서 가속이 붙으면 빨리 달리기도 해야 한다. 때문에 전통적으로는 투어링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체인링은 3단, 카세트는 9단 정도를 사용했다. 최근에는 아주 저가 엔트리 모델이 아닌 이상 로드용 3단 체인링은 시장에서 구하려고 해도 없으니 기본 2단이고, 체인링을 과감하게 1단으로 하고 카세트를 12단으로 구성하는 셋업을 이용하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는데, 어떤 기어비 셋업을 사용하든간에 평소에 자신이 익숙한 셋업이 아니라면 출전 전에 충분히 연습해서 몸에 익혀두는 것이 중요하다.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최적이다. 란도너 차는 UCI 규정같은 것을 적용받지 않기 때문에 2010년대 후반 UCI 규정 변경 이전에도 디스크 브레이크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디스크 브레이크 모델이 대세가 된 2017~18년 이후로는 더 고민할 것도 없다. 진흙길을 달리거나 우천시 디스크 브레이크는 림 브레이크에 비해 크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디스크 브레이크 중에서 택일하라면 고장나면 정비가 어려운 유압식보다는 기계식을 사용하는 편이 좋지만, 이미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가 달려 있다면 굳이 교체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요새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들은 신뢰성이 매우 높고(다만 출전 전에 정비를 철저히 받자), 로드바이크는 중급기인 105 그룹셋부터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잘 갖추고 나오고 있기 때문.
림 브레이크 중에서는 흙받이와의 간섭이 없고 정비성이 좋은 켄틸레버 브레이크가 유리했다고 하는데 이건 거의 20년 전 이야기고, 요즘 로드 림브레이크 중에 캘리퍼 브레이크가 아닌 경우는 없어서 클래식 바이크를 예토전생시켜서 탈 생각이 없다면 림브레이크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장거리 브레베라면 예비 브레이크 패드를 준비해두는 것을 권한다.
4. 제조사
본 문서 개요에서 언급했듯 랜도니어링 전용 자전거란 것은 없으며, 다음 회사들은 투어링에 적합한 자전거를 만드는 대표적인 회사들이다(물론 이 외에도 많이 있다).- Surly
- 마지(MASI)
- 아라야(Araya)
- 코가(Koga)
- 파나소닉
- 제이미스(Jamis)
- 트렉(Trek)
- 후지(Fuji)
- 살사(Salsa)
5. 관련 문서
[1] 우리 나라에서는 흔히 "란도너스"라 부르며, 브레베 brevet, 오댁스 audax 등 다양한 명칭이 있다.[2] 단, 브레베 도중에 가게에서 식품 등을 구매하는 것은 대개 허용되기 때문에, 코스를 연구해서 보급 지점을 정해두고 이에 맞춰 소량의 식품과 물만 휴대하는 방법으로 짐을 줄이는 선수들도 많다. 물론 외국의 브레베 경기는 이런 중도 보급이 어려운 코스들도 꽤 있으나, 한국은 국토에서 사람 안 사는 곳을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게 더 용이하다.[3] 다만 완전 인력 자전거만 허용되므로 전기 자전거는 안 된다.[4]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하루 10시간 넘게 며칠씩 자전거를 타면 반드시 몸에 어딘가 탈이 난다고 보면 된다. 진통제, 소독약, 반창고 등은 반드시 준비하자.[5] 다만 국내는 도로 포장이 워낙 시골 구석구석까지 잘 되어 있어서 노면이 거친 시멘트 길을 갈 수는 있어도 본격 비포장 도로로 갈 일은 거의 없다.[6] 초협폭 타이어 전용 레이싱 휠셋에 억지로 광폭 타이어를 장착하면 휠셋이 손상되고 주행중에 비드가 림에서 튀어나오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