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의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선사 & 고대 | 중세 & 근세 | 근대 | 현대 리비아 | ||||||||||||||||||||||
T | 베르베르 | 페니키아 | 카르타고 누미디아 | 로마 제국 | 반달 왕국 | 동로마 제국 | 우마이야 왕조 | 피흐리 왕조 | 무할라브 왕조 | 아글라브 왕조 | 파티마 왕조 | 파티마 왕조 | 지리 왕조 | 노르만 | 무와히드 왕조 | 하프스 왕조 | 오스만 제국 카라만리 왕조 | 이탈리아령 리비아 | 대영 제국 | 리비아 왕국 | 리비아 아랍 공화국 |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 리비아 내전 | |||
C | 펜타폴리스 | 헬레니즘 제국 | 동로마 제국 | 압바스 왕조 | 툴룬 왕조 | 이크쉬드 왕조 | 힐랄족, 술라임족 파티마 왕조 | 가니야족 아이유브 왕조 | ||||||||||||||||||
F | 가라만테스 왕국 | 베르베르 / 투아레그 | 프랑스 | |||||||||||||||||||||||
※ T는 트리폴리타니아 지역, C는 키레나이카 지역, F는 페잔 지역, 붉은색은 튀니지 방면 세력(오스만, 영국 제외), 녹색은 이집트 방면 세력(이탈리아 제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상징 | 옛 국가 · 국가 · 국기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리비아 왕국 · 리비아 아랍 공화국 ·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카다피주의 / 자마히리야) · 제1차 리비아 내전 · 제2차 리비아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리비아국 여권 | |
경제 | 경제 전반 · 리비아 디나르 | |
국방 | 리비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주크라 · 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 |
인물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오마르 무크타르 · 무아마르 알 카다피 · 칼리파 하프타르 · 파예즈 알사라지 | |
지리 | 사하라 사막 · 트리폴리타니아 · 페잔 · 키레나이카 | |
민족 | 마그레브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리비아 왕국 المملكة الليبية | ||
국기 | 국장 | |
1951년~1969년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면적 | 1,759,541km² | |
인구 | 약 109만명[1] | |
수도 | 트리폴리, 벵가지, 베이다 | |
공용어 | 아랍어 | |
종교 | 이슬람(수니파) | |
통화 | 리비아 파운드[2] | |
정치 체제 | 연방국가, 입헌군주제, | |
국왕 | 이드리스 1세 | |
시간대 | EET (UTC+2) | |
국가 |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 |
성립 이전 | 키레나이카 토후국, 프랑스령 페잔-가다메스 | |
멸망 이후 | 리비아 아랍 공화국 | |
현재 국가 | [[리비아| ]][[틀:국기| ]][[틀:국기| ]] |
[clearfix]
1. 개요
리비아 왕국은 리비아에서 이탈리아가 철수한 후 세워진 왕국이다. 존속 기간은 1951년부터 1969년까지 18년이다.2. 상징
자세한 내용은 리비아 문서 참고하십시오.3. 자연
자세한 내용은 리비아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역사
자세한 내용은 리비아/역사 문서 참고하십시오.5. 경제
독립 후 3년 동안은 최빈국 수준이었으나 1955년 대량의 석유가 발견되면서 나라 전체의 GDP가 상승했다. 그러나 그 후 부의 분배가 공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부패한 일부 세력과 석유 채굴권이 있는 미국에게만 돌아가 국민의 생활 여건은 전혀 좋아지지 않았다. 이 결과는 많은 아랍 사회주의자를 만들었으며 리비아를 아랍 사회주의 국가로 만들게 되었다.6. 정치
독립 후 이드리스 1세의 집권이 이어지다가 1954년 트리폴리타니아의 국민의회당과 그 밖 지역의 독립당의 갈등이 있었다. 국민의회당은 단일국가 및 비례대표제를 원했고 그 결과 왕에 의해 당수는 추방되고 국민의회당은 강제해산된다.6.1. 이드리스 1세
문서 참조7. 사회
사실 카다피 정권 이전까지만 해도 이탈리아가 완전히 손을 놓은 상태라 부족 및 촌락 갈등은 매일같이 일어났고 독립 후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오히려 도시의 치안만 다른 의미로 안좋아질 뿐이었다. 게다가 국민들의 생활 수준도 이탈리아 식민지 시절과 다를 바가 없었고 촌락의 추장과 주민들에게는 국가가 의미가 없었다. 심지어 건국도 일부 독립운동가들이 이루어내고 독립 후에도 지방 자치단체의 무관심 속에서 사실상 일부 권력 집중 세력들만의 왕국이 되었다.8. 여담
지금까지 이 나라가 존재했더라면 내전이 없어졌을 것이라는 일부 의견이 있지만 사실 부족간 갈등, 빈곤과 기아, 부의 분배 등 왕국 내에서 내분이 일어날 가능성은 충분히 있었다. 오히려 리비아 왕국을 무너트리고 집권한 카다피 쪽이 집권 초중반기까지만 해도 내정적으로는 상당한 성과를 내어 정국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을 정도이다. 다만 집권 후반기 카다피의 평가가 급락하여 결국 그가 리비아 내전의 원흉으로 지목되면서 "내전은 카디파의 탓이다. 그러니 카다피가 집권하지 못하고 왕국이 존속했다면 내전도 없었을 것 아니냐?" 식의 단면적인 이해로 접근하는 이들이 나타난 것이라 볼 수 있다.하지만 정작 카다피는 그가 독재자로 지탄받는 인물인 것과는 별개로 그의 축출을 주도한 오바마 마저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내 인생의 가장 큰 과오는 카다피를 축출해 버린 것"이라고 술회한,[4] 즉 어쨌건 리비아 국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능력은 있는 인물이었던 것. 반면 이드리스 1세의 리비아 왕국은 18년의 통치기간동안 그 정도의 내정능력이나 정국 통제력도 보여주지 못했기에 카다피의 쿠데타에 맥없이 무너지고 만 것이다. 결국 이는 그저 '카다피는 나쁜 편, 그러니까 그 카다피에게 쫒겨난 이드리스 1세와 세누시 왕조는 착한 편' 이라는 식의 단순하고 비현실적인 이분법적 사고방식의 결과물이 아닌지 의심되는 주장이라 할 수 있다.
2024년 8월에 리비아 최고회의 의원 145명 중 75명은 안토니우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입헌군주제로의 복귀를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