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 [[마리오 카트 시리즈| 마리오 카트 시리즈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코스 | 코스 · OST | 코스 |
코스 · 배틀 | 코스 · 미션 런 · 캐릭터 및 카트 | 코스 · OST · 캐릭터 및 머신 | |
코스 | 코스 · DLC · 관련 문서 | ||
코스 · 관련 문서 | 코스 · 대한민국 | ||
| |||
시리즈 관련 문서 | |||
캐릭터 · 커스터마이징 · 코스 (둘러보기 · 배치 문제) · 아이템 (바나나 · 등껍질 · 가시돌이등껍질) · 배틀 · 음악 · 패미컴 그랑프리 (I · II) | |||
마리오 시리즈 |
<colbgcolor=#ce0000><colcolor=#fff> 마리오 카트 월드 マリオカートワールド Mario Kart World | |
개발 | 닌텐도 |
유통 | 닌텐도 |
플랫폼 | Nintendo Switch 2 |
ESD | |
장르 | 오픈 월드 레이싱/액션 |
플레이 인원수 | 1~4명(오프라인 추정) 2~24명(온라인 추정) |
발매일 | |
심의 등급 | |
판매량 | |
홈페이지 |
1. 개요
Nintendo Switch 2로 발매되는 마리오 카트 시리즈의 9번째 작품이자 11년만에 나오는 시리즈 신작이다.2. 발매 전 정보
그리고 홈페이지에서 가격이 공개되었는데 부가세 포함 기준 다운로드판이 89,800원에 패키지판이 98,000원으로 사실상 게임 가격 10만원이 되었다. 이런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의식한 건지 스위치 2 마리오 카트 에디션도 발매되어 한국 기준으론 다소 싸진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일단은 2025년 가을까지만 생산하고 거기에 추첨제라서 구매가 쉽지 않을 예정이다.
3. 특징
- 출발선의 그리드 개수가 24개인 것으로 보아, 한 번에 시리즈 사상 최다인 무려 24명의 캐릭터가 경주를 펼치는 것으로 보인다.[2]
- 대시 플레이트의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기존의 붉은색→노란색으로 이어지는 줄무늬 형태의 그라데이션이 아닌 분홍색→노란색으로 이어지는 모자이크 타일 형태의 그라데이션으로 바뀌었다. 화살표 또한 하프 파이프 플레이트 형태의 화살표로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영상 말미에 휴게소 내부에 아이템 박스가 아닌 것으로 보이는 오브젝트가 존재한다. 일부에선 이를 원더시드로 추측하기도 하지만 너무 작게 나오는데다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도 미지수다.
- Digital Foundry에 의하면 DLSS가 사용되지 않고 있다. #
- 주행 중에 배치된 대형 차량에 탑승해 주행이 가능하다.
- 시리즈 최초의 오픈 월드 레이싱 게임으로 모든 지역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 마라톤식 논스톱 주행이 추가되었다. 반복 주행이 아닌 빅 블루 마냥 로드 트랙으로 도착지점까지 한 게임에 5 코스를 연속으로 밟는 식이다.
- 오픈 월드 게임답게 도로를 벗어나 다른 지역을 가는 자유 주행 모드가 추가되었다.
-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아이템 박스 이외의 다른 아이템들도 존재하는 것을 봐선 별도의 탐험 요소가 있을 가능성도 높다.
- 일부 모드에서는 롤링 스타트[3]로 레이스를 시작한다. 롤링 스타트 시에도 스타트 대시는 기존 방식대로 사용할 수 있다.
- 보이스 채팅이 추가되었다. 당연히 공방이 아닌 친구들 끼리만 보이스 웨어를 연결할 수 있다.
- 대기 중에 Mii가 대기하는게 아닌 선택한 카트 째로 플레이 대기를 한다.
- 일부 코스에 있는 가드레일 등의 구조물을 타고 주행할 수 있다.
- 일부 코스에서 벽에 붙어서 운전할 수 있으며, 양옆에 벽이 있는 경우 벽차기를 할 수 있다.
- 공중에서 점프 액션을 여러 번 시전할 수 있다.
- 활공 주행 시 글라이더를 사용하지 않고 카트 바디에서 나오는 날개를 사용한다.
- 카트가 보트나 제트스키로 변신하는 수상 주행이 추가되었다.
- 자유 주행 모드가 추가되어서 경기 없이 자유로운 코스 주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다른 사람과 모여서 사진 촬영도 할 수 있다.
- 마리오, 루이지, 와리오, 와루이지 등 새로운 성우로 바뀐 캐릭터들의 목소리가 사용되는 첫 마리오 카트이다. 이외에도 요시, 키노피오, 키노피코처럼 성우가 바뀌진 않았지만 목소리를 개편한 캐릭터 역시 개편된 목소리를 쓰기 시작했다.
- 주행 도중 캐릭터가 햄버거를 먹고 무언가에 둘러쌓이더니 잠시 후 다른 코스튬을 입은 채 등장한다.
3.1. 캐릭터
첫 공개 영상에서 다음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는 영상 내의 작은 이미지로 추측한 것이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마리오 카트 월드 캐릭터 | ||||
| | | | |
마리오 | 루이지 | 쿠파 | 피치공주 | 요시 |
| | | | |
키노피오 | 키노피코 | 데이지공주 | 로젤리나 | 동키콩 |
| | | | |
와리오 | 와루이지 | 킹부끄 | 캐서린 | 엉금엉금 |
| | | | |
폴린 | 베이비마리오 | 베이비루이지 | 베이비피치 | 베이비데이지 |
| | | | - |
헤이호 | 쿠파주니어 | 베이비로젤리나 | 김수한무 | 와르르 |
- | - | - | - | - |
꽃충이 | 마귀 | 굼바 | 쪼르뚜 | 뚜 |
- | - | - | - | - |
톳텐 | 불 | 가봉 | 펄럭무당무당 | 스우푸 |
- | - | - | - | - |
딱끔 | 선인 | 펭귄[4] | 게님[5] | 눈사람[6] |
- | - | - | - | - |
음매음매[7] | 피시본 | 안부끄 | 리프튼 | 날꽃 |
- | - | - | - | - |
돈꺼비 | 뻐끔플라워 | 뽀꾸뽀꾸 | 콕콘도르 | 몬테 |
- | - | - | - | - |
치코 | 해머브러스 |
캐릭터 로스터가 늘면서 기존에 등장하지 않았던 새로운 캐릭터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팔이 없다는 이유로 슈퍼 마리오 카트에 참전하지 못했던 굼바가 이번작에 드디어 참전하고, 리프튼, 펭귄 같은 NPC 캐릭터나, 음메음메나 눈사람 같은 코스 장애물로 활용되던 캐릭터들도 참전한데다, 심지어 피시본, 뽀꾸뽀꾸 같은 수중 몬스터들도 참전하였다.
관중 캐릭터로 기존의 키노피오, 요시, 헤이호에 더해 메가브러스가 새로 등장한다.
3.2. 커스터마이징
첫 공개 영상에 등장한 머신은 전부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머신들이다. 두 번째 공개 영상에서는 마리오 카트 8의 펄럭무당무당버기가 재등장하며, 마리오 카트 Wii의 마하바이크 또는 마리오 카트 8의 마하 GP와 유사한 외형의 머신도 등장한다. 머신 종류는 종래와 같이 카트, 바이크, ATV가 있고 스노모빌 형태의 머신도 등장한다.[8] 다만 이것이 새로운 종류의 머신인지 아니면 타이어 커스터마이징의 일종인지는 알 수 없다.마리오가 타고 있는 카트는 본작의 스탠더드카트일 것으로 추측되며, 랠리와 같은 장거리 오프로드 주행 차량에서 볼 법한 서스펜션이 장착되어 있다.
현재 타이어 파츠를 따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지, 글라이더 파츠가 등장하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다만 앞서 언급된 활공 시스템의 변경으로 인해 글라이더 커스터마이징이 등장할 확률은 낮다.
트레일러 영상에서 여러 가지 코스튬이 등장한 것으로 보아, 캐릭터별로 코스튬을 해금하고 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추가되는 것으로 보인다.
3.3. 코스
이번 작품은 슈퍼 마리오 월드[월드],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U의 월드맵과 비슷하게 모든 맵이 연결되어 있는 오픈 월드 레이싱 게임이다. 아예 자유 주행 모드에서는 플레이어가 원하는 곳 어디든 갈 수 있다고 한다.기상 상황에 따라서 코스에 기상 상황 또한 바뀐다고한다. 공개된 경우는 낮과 밤, 그리고 우천.
기존 마리오 카트의 코스가 4개의 코스를 개별로 달려서 코스별 순위를 매기는 형식이었다면, 이번 작품은 주어진 코스들을 연달아 달리는 형태가 되었다. 하나의 코스를 완주한 후 이어지는 길을 따라 다음 코스로 넘어가는 과정까지 전부 리그 주행과정이 되었다.
3.3.1. 그랑프리
24명의 캐릭터가 4개의 코스를 연달아 달린다. 코스 하나를 완주하면 이어지는 사이드로 빠져서 다음 코스로 진행하게 된다.
여느 전작과 달리 이번 작에서는 니트로 컵[10]과 레트로 컵[11]이 구분없이 한 컵에 포함되어 있다. 레트로 코스에 기종명 또한 적혀있지 않다.
어느 컵에 배정될지는 불명이지만 트레일러에서 Wii 키노피오 팩토리의 BGM이 나왔기 때문에, Wii 키노피오 팩토리 역시 나오는 것이 확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 버섯 컵 - 월드의 남서부
- 마리오브라더스 서킷
- 트로피 시티
- 칙칙폭폭 코스터
- DK 우주센터[12]
- 플라워 컵 - 월드의 서부
- DS 썬썬 사막
- 3DS 헤이호 카니발
- DS/N64 와리오 스타디움[13]
- DS 킬러 해적선
- 스타 컵 - 월드의 북동부
- DS DK 스노우 마운틴
- 로젤리나 천문대
- NS1/Tour 아이스크림 빌딩
- 3DS 와리오 침몰선
- 등껍질 컵 - 월드의 중앙남부
- N64 엉금엉금 비치
- 리버사이드 사파리
- 트로피 시티
- 피치 스타디움
- 바나나 컵
- 리프 컵
- 번개 컵
3.3.2. 서바이벌 모드
새로운 주행 모드로, 6개의 코스를 연달아 달린다. 중간에 체크 포인트가 있어서 상위 16명, 8명처럼 상위권으로 체크포인트를 통과한 인원만 코스를 이어서 주행하고 하위권은 탈락되는 방식.- 황금 랠리
- DS 썬썬 사막
- 마리오브라더스 서킷
- ???
- Wii 음매음매 컨트리로 추정
- SFC 슈퍼 마리오 서킷 [14]
- ???
- 아이스 랠리
- NS1/Tour 아이스크림 빌딩
- 로젤리나 천문대
- ???
- ???
- 피치 스타디움
- 트로피 시티
3.4. 아이템
- 코인
- 바나나
- 트리플 바나나
- 초록등껍질
- 트리플 초록등껍질
- 빨강등껍질
- 트리플 빨강등껍질
- 가시돌이등껍질
- 대시버섯
- 트리플 대시버섯
- 황금대시버섯
- 슈퍼스타
- 번개
- 깃털
- 부끄부끄
- 폭탄병
- 킬러
- 징오징오
- 거대버섯
- 파이어플라워
- 슈퍼경적
- 아이스플라워[T]
- 해머[T]
- 코인박스[T]
- 수정구슬[22]
- 황금등껍질
- 햄버거[23]
4. 기타
- 패미컴 그랑프리 II 3D 핫랠리가 모티브가 되었을 것이란 추측이 있다. #[24]
- 기존 코스와 신규 코스의 구분을 하지 않는 첫 작품으로 보인다. 원래 마리오카트라면 버섯 컵, 플라워 컵, 스타 컵, 스페셜 컵까지는 니트로 코스이고, 등껍질 컵이나 바나나 컵 등은 레트로 코스였기 때문. 다만, 플라워 컵에서 모두 레트로 코스가 나오는 등 이번 작은 그런 분류 체제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제목에서 마리오 카트 7부터 사용하던 넘버링이 폐지되었다.
- 거치형 작품(더블 대시!!, Wii, 8)마다 존재했던 오리지널 캐릭터의 추가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27]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margin:0 0 -5px" {{{#!folding [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5px 0px"> | 주요 시리즈 | |||||||
| | | | |||||
| | | | |||||
| | | | |||||
* 타사 게임 프랜차이즈 크로스오버 | ||||||||
마리오 패밀리 주연 시리즈 | ||||||||
<colbgcolor=#73bb2b> | <colbgcolor=#FFE400> | <colbgcolor=#008000> | <colbgcolor=#FFE400> | |||||
틀:2D 마리오 시리즈 · 틀:3D 마리오 시리즈 · 와리오 시리즈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게임 ] {{{#!wiki style="margin:-5px 0" | <colbgcolor=#CE0000><colcolor=#fff> 개별 작품 | 마리오브라더스 · 마리오와 와리오 · 와리오의 숲 · 마리오 클래시 · Waluigi's Toenail Clipping Party(서비스 종료) · 슈퍼 마리오 볼 · 슈퍼 프린세스 피치 · 전진! 키노피오대장! · 프린세스 피치 Showtime! | |||||
레킹 크루 | VS. 레킹 크루 · 레킹 크루 · 레킹 크루 '98 | |||||||
닥터마리오 · VS. 닥터마리오 · BS판 · 64 · &세균박멸 · 잠깐 · 닥터루이지 · 역전! 특효약 · 월드(서비스 종료) | ||||||||
피크로스 | 마리오의 피크로스 · 마리오의 슈퍼 피크로스 · 피크로스 2 · 피크로스 NP | |||||||
창작 게임 | 재봉: 아이 앰 어 티처 슈퍼 마리오의 스웨터 · 마리오 패밀리 드로잉·편집: 마리오 페인트 · 마리오의 포토피 마리오 아티스트: 페인트 스튜디오 · 탤런트 스튜디오 · 커뮤니케이션 키트 · 폴리곤 스튜디오 | |||||||
어플리케이션 | 닌텐도 DSi 전자계산기/시계 패미컴 마리오 타입 · 함께 포토 슈퍼 마리오 | |||||||
크로스오버 | Wario Blast · 테트리스 & 닥터마리오 · UNDAKE30 사메가메 대작전 마리오 버전 · 게임보이 갤러리 시리즈 · 닥터마리오 & 패널로퐁 · NINTENDO 퍼즐 컬렉션 · NBA 스트리트 V3: 마리오로 덩크 · Dance Dance Revolution with MARIO · SSX On Tour with 마리오 · 역만 DS · 이타다키 스트리트 DS/Wii · 퍼즐앤드래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에디션 · 스카이랜더스 슈퍼차저스 · 마인크래프트 슈퍼 마리오 매시 업 팩 | |||||||
라이선싱 | 마리오브라더스 스페셜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스페셜 · 마리오 이즈 미싱 · 마리오의 타임머신 · 호텔 마리오 · 마리오의 게임 갤러리 등 | |||||||
마리오 시리즈의 모든 게임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CE0000><colcolor=#fff> 미분류 | 게임 일람 · 등장인물 · 기술 · 아이템 · 변신 · 지형 및 오브젝트(블록)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백과 · 지상 BGM(슈퍼 마리오브라더스) · 검은 닌텐도 | |||||
장소 | 버섯 왕국 · 피치 성 · 요시 아일랜드 · 쿠파 성 · 별똥별 천문대 · 스페셜 월드 | |||||||
기념 행사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25주년 · 루이지의 해 · 30주년 · 35주년 (創造) · 마리오 데이 | |||||||
영상물: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피치 공주 구출 대작전! · Super Mario Bros. Super Show! · The Adventures of Super Mario Bros. 3 · 슈퍼 마리오 월드 영상물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1993년 영화)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영화) 기타: 슈퍼 마리오 군 · 레고 슈퍼 마리오 | ||||||||
마리오브라더스 · Mario's Cement Factory · Mario's Bombs Away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1987) · Mario The Juggler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2020) | ||||||||
관련 인물 | 미야모토 시게루 · 테즈카 타카시 · 코이즈미 요시아키 · 콘도 코지 · 요코타 마히토 · 찰스 마티네이 · 토타카 카즈미 · 코타베 요이치 · 케빈 아프가니 | |||||||
유저 콘텐츠 | 슈퍼 마리오 위키 · 팬 게임 · 막장 마리오 · 전자동 마리오 · 나무위키 마리오 시리즈 프로젝트(완료) | |||||||
틀:닌텐도 주요 게임 · 동키콩 시리즈 |
[1] Nintendo Switch 2의 런칭(2025년)과 동시발매[2] 상기 영상에서도 총 24명의 캐릭터가 경주 중인 것이 보인다.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마리오, 루이지, 쿠파, 피치, 키노피오, 요시, 동키콩, 데이지, 와리오, 로젤리나, 엉금엉금, 폴린, 베이비마리오, 베이비피치, 와루이지, 베이비루이지, 베이비데이지, 키노피코, 쿠파주니어, 베이비로젤리나, ???, 캐서린, 킹부끄, 헤이호[3] 순서를 지켜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다가 신호가 떨어지면 가속하며 레이스를 시작하는 방식이다.[4] GBA 스노우 랜드에서 나오는 장애물 캐릭터[5] Tour 로스앤젤레스 랩에서 나오는 게 모습의 장애물 캐릭터[6] DS DK 스노우 마운틴에서 나오는 장애물 캐릭터[7] N64 음매음매 목장, Wii 음매음매 컨트리 등에서 나오는 젖소 모습의 장애물 캐릭터[8] 마리오 카트 투어에서 비슷한 형태의 카트가 등장한 바 있다.[월드] 작품에 숫자 대신 붙은 월드는 여기서 따온 것으로 추정[10] 기존 버섯, 플라워, 스타, 스페셜[11] 기존 등껍질, 바나나, 리프, 번개 및 이외 기타[12] 고전 게임 동키콩의 구조물을 닮은 듯한 코스 배치가 특징이다.[13] 출처가 DS인지 N64인지 밝혀지진 않았으나 전작 마리오 카트 8, 마리오 카트 8 디럭스에 DS 와리오 스타디움이 나온 정황상으로 보아 64 와리오 스타디움이 나올 확률이 크다.[14]
맵 상의 아이콘에는 SFC 마리오 서킷 1(좌측), 2(하단), 3(우측)이 함께 나와있다. 이 세 코스의 혼합 코스로 추정된다.[신규컵] [16] 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어드벤처 투게더의 구름플라워[신규컵] [18]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의 체력 UP 하트[T] 마리오 카트 투어에서 등장[T] [T] [22] 마귀가 사용하는 마법처럼 캐릭터에 저주를 거는 아이템 (슈퍼 마리오 파티 잼버리 중 쿠파 애슬론에 등장하는 마귀 저주 아이템)인 것으로 추정된다.[23] 아이템을 사용하면 코스튬이 바뀌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작에서 어떤 아이템이였는지는 현재 확인불가.[24] 이중 몇몇은 포르자 호라이즌 5가 떠오르기도 했다.[25] 크기가 커지지만 상대를 납작하게 만들 수 없으며, 전용 브금도 나오지 않는다.[26] 상대를 밟아 납작하게 만들 수 있으며, 사용 캐릭터 목소리가 굵어지고 전용 브금이 흘러나온다.[27] 마리오 스포츠 시리즈는 2010년대 이후로 오리지널 캐릭터가 등장한 적이 없으며, 마리오 파티 시리즈도 9편 이후로 배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