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마인크래프트|마인크래프트]]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기본 플레이 | |
시스템 | 세계 (시드) · 게임 모드 · 난이도 · 게임 규칙 · 엔딩 · 죽음 메시지 · 스플래시 · 명령어 · NBT · 거리 효과 · 런처 | |
인게임 | 아이템 · 몹 (플레이어) · 개체 · 날씨 · 차원 · 생물 군계 · 구조물 · 마법 부여 · 상태 효과 · 조작법 · 피해 · 업적 | |
도움말 | 튜토리얼 · 팁 (탐험 · 파밍 · 회로) · 재생 가능한 자원 · 브릿징 · PVP · 파쿠르 · 스피드런 (베드락 에디션) · 건축 (맵아트) | |
시리즈 및 매체 | ||
출시 에디션 | 베드락 에디션 (업데이트) · 자바 에디션 (업데이트) · 포켓 에디션* · 콘솔 에디션* · 파이 에디션* · 4K* | |
파생 게임 |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 마인크래프트 던전스* · 마인크래프트 레전드* ·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 · 마인크래프트 어스* | |
미디어 | OST · 관련 서적 · 레고 · 영화 · 애니메이션 · Minecraft Live · Minecraft Now · Minecraft Monthly | |
유저 콘텐츠 | ||
창작 요소 | 2차 창작 · 망토 · 맵 · 모드 (개발 · 팁 · 모드팩) · 애드온 · 팩 (리소스 팩 · 데이터 팩) · 외부 프로그램 · 핵 · 마켓플레이스 패스 · 밈 | |
멀티 콘텐츠 | 멀티플레이 · 서버 · 플러그인 · Realms · EULA | |
개발 | 개발 기초 · 모드 개발 · 플러그인 개발 | |
기타 | ||
이야깃거리 | 여담 · 커뮤니티 · 사건 사고 · 문제점 · 용어 · 지원 언어 · 머나먼 땅 · 이미테이션 게임 · 히로빈 | |
틀 | · · · | |
관련 문서 | 나무위키 마인크래프트 프로젝트 · 마인크래프트로 분류된 문서 · 마인크래프트의 하위 문서 | |
* 표시는 서비스가 종료되었거나 개발이 중단되었다는 표시이다. | }}}}}}}}} |
1. 개요
'개체'(Entity)는 동적 역할을 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광산 수레나 갑옷 거치대, 아이템 액자(JE)와 같이 F3+B로 히트박스가 보인다면 개체이다.2. 상세
3. 목록
3.1. 갑옷 거치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능 블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능 블록#갑옷 거치대|갑옷 거치대]][[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능 블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보트
<colbgcolor=#3A3A3A> 보트 (Boat) | |
보트, 상자가 실린 보트 | |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있음 |
체력 | 4 살짝 넘음(JE), 40(BE)(빠르게 회복함) |
히트박스 | JE: 높이 0.5625m, 너비 1.375m BE: 높이 0.455m, 너비 1.4m |
NBT 태그 | 보트 NBT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아이템/도구 및 유용한 물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아이템/도구 및 유용한 물건#보트|보트]][[마인크래프트/아이템/도구 및 유용한 물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아이템
<colbgcolor=#3A3A3A> 아이템 (Item) | |
개체 상태의 돌 | |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있음 |
체력 | 5 |
히트박스 | 높이 0.25m, 너비 0.25m |
NBT 태그 | 떨어진 아이템 NBT |
3.4. 번개
<colbgcolor=#3A3A3A> 번개 (Lightning Bolts) | |
| |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없음 |
체력 | 무한(없음) |
히트박스 | - |
NBT 태그 | 번개 NBT |
날씨가 비와 천둥 상태일 때 일정 확률로 무작위 위치로 치는 번개도 개체다. 번개가 칠 때 반짝거리며 맞으면 4 피해량과 함께 불에 타게 된다. 만약 맞은 대상이 크리퍼라면 충전된 크리퍼로 바뀐다. 충전된 크리퍼는 폭발 반경이 넓어지고 자폭 피해량이 어마어마하게 커진다. 또한 스켈레톤, 위더 스켈레톤, 좀비, 크리퍼, 피글린이 충전된 크리퍼의 자폭으로 죽을 경우 각 몹의 머리를 떨꾼다.
날씨 외에도
/summon minecraft:lightning_bolt
으로 번개를 소환시킬 수 있다.3.5. 광산 수레
3.6. 떨어지는 블록
<colbgcolor=#3A3A3A> 떨어지는 블록 (Falling Blocks) | |
떨어지고 있는 모래 | |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X |
체력 | X |
히트박스 | 높이 0.98m, 너비 0.98m |
NBT 태그 | 떨어지는 블록 NBT |
또한 30초가 지나면 개체가 스스로 파괴되어 아이템화가 된다. 이것으로 인해 수상한 모래/자갈은 섬세한 손길로도 얻을 수 없지만 이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
명령어로 다른 블럭도 폴링 블럭으로 생성할 수 있다. 1블록으로 보이는 것과 달리 히트박스는 1블록보다 조금 작아 맵 제작시 유의해야한다. 통과할수가 있기에 비밀 문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다만 최적화 문제가 있다. 그러다가 1.19.4버전에 맵 제작 상위호환인 디스플레이가 나와 쓸 필요가 없어졌다.
3.7. 자바 에디션 전용
3.7.1. 아이템 액자
<colcolor=#fff> 아이템 액자 (Item Frame) | |
아이템 액자, 발광 아이템 액자 | |
<colbgcolor=#444>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X |
생명력 여부 | O |
히트박스 | - |
NBT 태그 | 아이템 NBT |
3.7.2. 마커
<colcolor=#fff> 마커 (Marker) | |
<colbgcolor=#444>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X |
생명력 여부 | X |
히트박스 | 높이 0m, 너비 0m |
NBT 태그 | 마커 NBT |
3.7.3. 표시
<colcolor=#fff> 표시 (Display) | |
<colbgcolor=#444>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X |
생명력 여부 | X |
히트박스 | 높이 0m, 너비 0m |
NBT 태그 | 표시 NBT |
적절한 NBT를 주면 해당 블록이나 아이템, 문자의 모양을 띄는데 단순하게만 봐도 폴링블록 상위호환에 최적화도 잘 되어 있으며, 무엇보다 크기와 각도 조절이 가능해 비록 모양 만이긴 하지만 마크에 어떤 것이든 만들 수 있게 되었다.[4]
3.7.4. 상호 작용
<colcolor=#fff> 상호 작용(Interaction) | |
(히트박스 킨 모습. 원래는 투명한 개체이다.) | |
<colbgcolor=#444>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X |
생명력 여부 | X |
히트박스 | 높이 1m, 너비 1m(기본값. 명령어로 통해 조절 가능) |
NBT 태그 | 상호 작용 NBT |
execute on
명령어로 상호 작용한 대상을 감지할 수 있다. excute on target
은 이 엔티티에 우클릭한 대상을 감지하고, execute on attacker
는 좌클릭한 대상을 감지한다.사용 예시
/execute as @e[type=interaction] on target run say 우클릭 감지
- 누군가가 이 엔티티에 우클릭하면, 채팅창에 "우클릭 감지"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execute as @e[type=interaction] on attacker run say 좌클릭 감지
- 누군가가 이 엔티티에 좌클릭하면, 채팅창에 "좌클릭 감지"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것으로 위의 디스플레이와 조합하여 의자를 만들 수 있다. 의자 형상을 만들고 ride 명령어로 우클릭 시 인터렉션에 타게 만들면 된다.
3.8. 교육 에디션 전용
3.8.1. 카메라
3.8.2. Ice Bomb
3.8.3. 풍선
3.9. 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인크래프트/몹#|]][[마인크래프트/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colcolor=#fff> 몹(Mob) | |
<colbgcolor=#444> 방어력 여부 | <colbgcolor=#535353><colcolor=#fff>O |
생명력 여부 | O(생명력은 몹마다 다르다.) |
히트박스 | (몹마다 다르다.) |
[1] F3, F3+B로도 감지할 수 없다.[2] /ride 명령어으로도 태울 수 없다.[3] 1.21.4 버전까지는 사용자 지정 NBT를 가질 수 있는 개체는 마커만이 유일했으나 1.21.5 버전부터 모든 개체가 사용자 지정 NBT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4] 여기다가 셜커를 크기 조절해 지정된 위치에 소환하면 밟을 수 있는 블럭을 만들 수 있다. 다만 셜커는 몹이라 최적화 문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