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09:10:29

마츠야마 히데아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치바 롯데 마린즈
2026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colcolor=#cccccc,#323232> '''<1군>
71 타테야마 요시노리 · 74 이시미네 쇼타
76 에무라 나오야 · 77 쿠리하라 켄타
84 쿠로키 토모히로 · 87 네모토 슌이치
86 사부로 [[감독#s-1.1|
]] · 90 미츠야마 히데카즈
# 니시오카 츠요시 · # 마츠야마 히데아키'''
'''<2군>
70 후쿠우라 카즈야 [[감독#s-1.1|
]] · 72 미키 료
73 카나자와 타케시 · 75 호리 코이치
78 오토나리 켄지 · 79 마츠나가 타카히로
82 호소야 케이 · 83 모로즈미 켄지
85 미나미 마사키 · # 미마 마나부'''
<코디네이터>
오타니 토모히사 · 코사카 마코토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치바 롯데 마린즈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파일:마츠야마히데아키1.jpg
<colbgcolor=#191919><colcolor=#ffffff> 치바 롯데 마린즈 No.#
마츠야마 히데아키
松山秀明 / Hideaki Matsuyama
출생 1967년 4월 18일 ([age(1967-04-18)]세)
와카야마현 이토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PL학원고등학교
포지션 2루수, 3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89년 NPB 드래프트 5순위 지명
소속팀 오릭스 블루웨이브 (1990~1998)
지도자 오릭스 블루웨이브 1군 내야수비·주루코치 (1999 - 2001)
한신 타이거스 1군 내야수비·주루코치 (2002)
한신 타이거스 2군 내야수비·주루코치 (2003 - 2004)
오릭스 버팔로스 1군 내야수비·주루코치(2005 - 2011)
KIA 타이거즈 1군 수비·주루코치 (2012)
치바 롯데 마린즈 2군 수비·주루코치 (2013 - 2014)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수비·주루코치 (2015 - 2017)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수비·주루코치 (2018 - 202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 수비·주루코치 (2021)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수비·주루코치 (20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군 수비·주루코치 (2023)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감독 (2024 - 2025)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수석 수비·주루코치 (2026~)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치바 롯데 마린즈소속의 코치.

2. 선수 경력

PL학원고등학교시절 기요하라 가즈히로,쿠와타 마스미의 KK 콤비와 동기였으며 3학년 때부터는 팀의 주장을 맡아 함께 PL고교의 황금기를 쌓았다.
1985년 여름 고시엔 2루수 선발로 출전하여. 우승을 차지 하였다. 고시엔 결승전에서 끝내기 안타를 날려 주목을 받았다.

졸업 후에는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교에 진학하여 1988년 가을 리그에서 창부 이래 106년 만에 첫 리그 첫 우승을 안겨준다.

1989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릭스 블루웨이브로부터 5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등번호는 현역 은퇴까지 '4'번 에서 변경이 한 번도 없었다. 좀처럼 1군에 정착하지 못했지만 1992년에는 시즌 막판인 8경기에 2루수, 3루수로 선발 출전. 1995년은후쿠라 준이치의 부상 결장도 있어서 14경기에 선발 출전했지만, 레귤러에는 미치지 못했다. 1998년 시즌 종료후 현역 은퇴를 하였다.

3. 지도자 경력

1999년부터 2001년까지는 오릭스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다.

2002년부터는 한신 타이거즈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으며 2003년부터 2004년까지는 한신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다.

2005년에는 다시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로서 오릭스에 복귀해 2011년 9월 16일 이후에는 3루 베이스 코치에서 제외되어, 10월 29일에 다음 시즌 계약 갱신을 하지 않겠다고 통보받았다.

2012년부터는 한국프로야구 기아 타이거즈의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지만 1년만에 재계약없이 계약이 종료되며 일본으로 귀국하게된다.

2013년부터는 치바 롯데 마린스의 2군 내야·수비 주루 코치로 취임. 2015년부터 1군 내야·수비주루 코치를 담당. 2017년 10월 11일에 다음 시즌 코치 계약을 하지 않을 것을 통보받았다.

2018년부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는 것이 발표되었다. 2021년은 3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으며. 2022년은 다시 2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2023년은 1군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고. 2024년부터는 2군 감독을 맡아, 같은 해 웨스턴 리그[1] 우승을 달성했다. 2025년은 최종전으로 주니치 드래곤즈에게 역전 리그 우승을 허용해 버려, 리그 3연패를 놓쳤다. 10월 6일부터 개최하는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의 첫 경기 지휘를 맡고 있었지만, 다음날 구단으로부터 다음 시즌 계약을 맺지 않는 것이 통보되어, 구단에서 퇴단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2025년 10월 19일, 2026년부터 치바 롯데 마린스의 1군 수석 내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는 것이 발표되었다.

4. 기타

  • 프로입단 후 단 한번도 야구계를 떠난적이 없다. 그런 그의 열성적인 지도에 각 구단도 평가가 높다.
  • 1985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로부터 지명이 없어, 화가난 상태였던 기요하라 가즈히로에게 가장 먼저 말을 건 사람이 마츠야마였다고 한다. 기분전환을 위해 둘이서 캐치볼을 했다. 이 두 사람은 2006년부터 3년간, 선수와 코치로서 팀메이트가 되었다.
  • 장남도 PL 학원 야구부에 소속되어, 2012년에는 주장을 맡아 PL 학원 사상 최초의 '부자 주장'이 되었지만 고시엔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5. 관련 문서



[1] 2군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