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03:10:14

맥스 크리스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4b1><tablebgcolor=#0064b1>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댈러스 매버릭스
2024-25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285e,#ddd
<colbgcolor=#0064b1><colcolor=#fff> 감독 제이슨 키드
코치 션 스위니 · 자레드 더들리 · 알렉슨 젠선 · 에릭 휴즈 · 대럴 암스트롱 · 조시 브로가머 · 마르코 밀리치 · 갓 섐갓 · 키스 버니
가드 0 단테 액섬 · 00 맥스 크리스티 · 1 제이든 하디 · 10 브랜든 윌리엄스TW · 11 카이리 어빙 · 26 스펜서 딘위디
가드-포워드 16 케일럽 마틴 파일:부상 아이콘.svg · 31 클레이 탐슨
포워드 8 올리비에막상스 프로스퍼 · 13 나지 마샬 · 20 케슬러 에드워즈TW · 25 P.J. 워싱턴
포워드-센터 3 앤서니 데이비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 7 드와이트 파웰 파일:부상 아이콘.svg · 21 대니얼 개퍼드 파일:부상 아이콘.svg · 50 카일러 켈리TW
센터 2 데릭 라이블리 II 파일:부상 아이콘.svg
* TW : 투웨이 계약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맥스 크리스티 관련 틀
{{{#!folding ▼
맥스 크리스티의 수상 이력
{{{#!folding ▼
파일:NBA IN SEASON TOURNAMENT Logo.png
2023
}}} ||
맥스 크리스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10번
디안드레 조던
(2021~2022)
맥스 크리스티
(2022~2024)
크리스천 콜로코
(2024~)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12번
타우린 프린스
(2023~2024)
맥스 크리스티
(2024~2025)
결번
댈러스 매버릭스 등번호 00번
자지안 고트맨
(2024~2025)
맥스 크리스티
(2025~)
현역
}}} ||
}}} ||
파일:맥스 크리스티 2024-25.png
<colbgcolor=#0064b1><colcolor=#fff> 댈러스 매버릭스 No. 00
맥스 크리스티
Max Christie
본명 코맥 칼 크리스티 주니어
Cormac Karl Christie Jr.
출생 2003년 2월 10일 ([age(2003-02-10)]세)
일리노이 주 알링턴하이츠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미시간 주립대학교
신장 196cm (6' 5")
체중 86kg (190 lbs)
윙스팬 205cm (6' 8.75")
포지션 슈팅 가드
드래프트 2022 NBA 드래프트 2라운드 35순위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지명
소속 구단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22~2025)
사우스베이 레이커스 (2022)
댈러스 매버릭스 (2025~)
가족 동생 캠 크리스티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농구 선수다. 현재 소속팀은 댈러스 매버릭스. 표정과 하관이 코비를 상당히 닮았다는 말이 많다.

돈치치-앤서니 데이비스 트레이드로 레이커스에서 댈러스 매버릭스로 이적했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아버지는 비행기 조종사, 어머니는 심리학자이며 부모님이 대학 때까지 농구를 해봤기 때문에 아들도 농구를 시켰다고 한다.

2.2.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24-25 시즌을 앞두로 레이커스는 크리스티에게 QO를 제시해 RFA 상태가 되었다. 물론 RFA 상태가 된 뒤 재계약을 맺을 예정이라고 한다. 2024년 7월 1일, 레이커스와 4년 3,200만 달러의 재계약을 맺었다. 마지막 해는 플레이어 옵션이 있다.

프로 데뷔 이후로 아무것도 보여준 적 없는 평균 4득점의 선수에게 연간 8밀이라는 거대한 금액의 재계약을 한 것에 대해 국내, 현지 팬들은 매우 분노하고 있다. 그럴만한 이유가 레이커스 샐러리는 향후 몇 년간 이미 꽉 찬 상태이기 때문이다.

2024-25 시즌을 앞두고 등번호를 12번으로 변경하였다. 지난 시즌에 비해 이번 시즌에는 클러치 구간에도 출전해서 전 시즌보다는 그나마 발전되는 플레이를 해주는 등 레이커스에서도 차기 미래자원으로 밀어주려는 듯한 움직임이 보인다.

그러나 시즌 초반 20경기는 평균보단 못하는 경기력을 보여줬다. 특히 극초반에 기회를 줬음에도 재앙같은 3점으로 팀을 말아먹었다. 결국 레딕이 로테아웃을 하는등 벌을 주면서 그후 경기력이 점점 나아지고 있다.

기복이 심하던 와중 11월 말부터 경기력이 차츰차츰 올라오면서 12월1일~1월 23일까지 만 두 달동안 20경기에서 평균 11득점 3.1리바 1.6어시 1.0스틸 0.5블락으로 팀내 POE디펜더로 상대 에이스에 붙일만한 선수가 됐다. 3점슛도 이 기간에서 37.6%를 기록하고 윙, 코너에서 받아서 넣는 시도횟수 및 성공률 둘 다 급상승하면서 선발로 자리를 굳혔다는 점. 물론 아직 NBA 정상급 수비수가 된건 아니지만 적어도 레이커스 기준으로는 에이스 스토퍼 및 수비수로써 조금씩 성장하는게 느껴지고 있다.

38경기 시점에서 8.3득점 2.4리바운드 야투율 44% 3점 성공률 35.8%로 득점이 작년보다 2배 가량 올랐다. 레이커스와 레딕 감독도 차기 미래자원으로 생각하고 있는지 꾸준히 경험치를 맥여주는 중.

보스턴전과 골든스테이트전에선 수비와 3점에서 큰 기여를 해줬다. 넘치는 에너지로 상대 에이스 전담수비 및 허슬 플레이가 일품이었다.

2.3. 댈러스 매버릭스

레이커스에서 공수 양면으로 큰 성장세를 보여주며 주전까지 올라와 기대를 높였으나, 충격적인 빅딜에 끼어 매버릭스로 오고 말았다.

상대적으로 가드진이 부족했던 레이커스에 비해 댈러스는 딘위디, 탐슨, 하디, 프로스퍼 등 경쟁자들이 많기에 출전 기회는 조금 더 적어질 전망. 다만 최근 하디와 프로스퍼의 폼이 좋지 못해 딘위디와 탐슨 다음으로 기회를 많이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3. 플레이 스타일

196cm의 괜찮은 신장을 보유하고 있고 나쁘지 않은 사이드스텝을 가진 윙 유망주다. 레이커스가 데뷔 시즌 중반 기회를 주려고 했으나 팀사정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로테에서 제외됐다.

데뷔 시즌 41경기를 나섰으니 팀으로써 꽤 기회를 주긴 했다. 경기당 3점슛 시도는 1.5개로 적게 던지긴했지만 성공률은 41.9%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후 서머리그에서 경기력이 개선된 모습이었고, 3점은 물론이고 과감한 돌파나 허슬도 보여주고 있다. 레이커스에 윙이 많기는 하지만 이러한 기세를 이어간다면 정규시즌에도 중용될 가능성이 높다.

최대 장점은 탑이나 윙에서 3점을 던질 수 있는 윙이라는 점이다. 현대농구는 날이 갈수록 3점이 중요해지고 있고 젊은 선수들이 리그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교한 슈팅이 필요한데, 좋은 슛터치를 지니고 있기에 팀의 방향성에 따라선 주전 3번이 될수도 있다.

다만 아직 어린 나이와 일천한 경험으로 인해 부족한 센스와 수비가 단점으로, 2023 인시즌 토너먼트에서 아쉬운 장면들을 만들었다.

무엇보다 매우 어린 나이로 아직도 실링에 다다르려면 많은 경험이 필요하기에 몇년뒤 레이커스의 주전멤버로 당당하게 이름을 올릴수 도 있는 가능성을 지닌 원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