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3 06:34:10

댈러스 매버릭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댈러스 매버릭스의 2024-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댈러스 매버릭스/2024-25 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댈러스 매버릭스/2024-25 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댈러스 매버릭스/2024-25 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댈러스 매버릭스의 2024-25 시즌: }}}[[댈러스 매버릭스/2024-25 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댈러스 매버릭스/2024-25 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댈러스 매버릭스/2024-25 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f4387><tablealign=center><tablebgcolor=#1f4387>
파일:NBA 로고.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D1D1D,#e2e2e2
파일:NBA 동부 컨퍼런스 로고 화이트.svg 동부
애틀랜틱 파일:보스턴 셀틱스 로고.svg 파일:뉴욕 닉스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심볼.svg 파일:브루클린 네츠 심볼.svg 파일:토론토 랩터스 심볼.svg
센트럴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파일:시카고 불스 심볼.svg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심볼.svg 파일:밀워키 벅스 심볼.svg 파일: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심볼.svg
사우스이스트 파일:애틀랜타 호크스 심볼.svg 파일:워싱턴 위저즈 심볼.svg 파일:마이애미 히트 심볼.svg 파일:샬럿 호네츠 로고.svg 파일:올랜도 매직 심볼.svg
파일:NBA 서부 컨퍼런스 로고 화이트.svg 서부
사우스웨스트 파일:샌안토니오 스퍼스 심볼.svg 파일:휴스턴 로키츠 심볼.svg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심볼.svg 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심볼.svg 파일:뉴올리언스 펠리컨스 심볼.svg
노스웨스트 파일:덴버 너기츠 심볼.svg 파일: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심볼.svg 파일:유타 재즈 심볼.svg파일:유타 재즈 심볼 다크.svg 파일: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심볼.svg 파일: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심볼.svg
퍼시픽 파일:새크라멘토 킹스 로고.svg 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심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심볼.svg 파일:피닉스 선즈 심볼.svg
}}}}}}}}}}}} ||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
<colbgcolor=#0064b1><colcolor=#ffffff> 댈러스 매버릭스
Dallas Mavericks
창단 1980년([age(1980-01-01)]주년)
연고지 텍사스 주 댈러스
컨퍼런스 서부 컨퍼런스 (1980~)
디비전 미드웨스트 디비전 (1980~2004)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2004~)
연고지 변천 댈러스 (1980~)
구단명 변천 댈러스 매버릭스 (1980~)
홈 경기장 리유니온 아레나 (Reunion Arena, 1980~2001)[1]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American Airlines Center, 2001~)[2]
저지 스폰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차임 (Chime) (2019~)
구단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패트릭 듀몽 (Patrick Dumont)
단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니코 해리슨 (Nico Harrison)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이슨 키드 (Jason Kidd)
G 리그 제휴 텍사스 레전즈 (Texas Legends)
로컬 경기 중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KFAA
약칭 DAL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심볼.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NBA 파이널 우승
(1회)
2011
컨퍼런스 우승
(3회)
2006, 2011, 2024
디비전 우승
(5회)
1987, 2007, 2010, 2021, 2024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 .817 - (2006-07시즌, 82경기 67승 15패)
최저 승률 .134 - (1992-93시즌, 82경기 11승 71패)
최다 승 67승 - (2006-07시즌, 82경기 67승 15패)
최다 패 71패 - (1992-93시즌, 82경기 11승 71패)
최고 계약 $207,060,000 - 2021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슬로베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슬로베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루카 돈치치
팀 컬러 / 유니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팀 컬러
로열블루 네이비블루 은색 검은색
유니폼
파일:mavericks a 2025.webp 파일:mavericks i 2025.webp 파일:mavericks s 2025.webp 파일:mavericks c 2025.webp
Association Icon Statement City
}}}}}}}}}}}} ||
NBA 파이널 우승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1 NBA 파이널 우승팀
2010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colbgcolor=#00285e><colcolor=#bbc4ca> 댈러스 매버릭스 2012
마이애미 히트
}}}}}}}}}}}} ||

1. 개요2. 역사3. 선수단4. 영구결번5. 역대 성적6. G 리그 산하팀7. 기타8. 둘러보기

1. 개요

NBA프로농구팀. 서부 컨퍼런스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소속. 텍사스 주 댈러스를 연고지로 삼고 있다.

팀명인 매버릭은 1957년부터 1962년까지 방영했던 텔레비전 드라마 '매버릭(Maverick)' 에서 유래했으며, 라디오 방송 WBAP에서 공모전을 통해 선정되었다. 탑건 매버릭 등의 영화로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한 단어다. 매버릭은 '독립성개성이 강한 사람' 이라는 의미가 있으며, 3대 구단주인 마크 큐반의 농구 사랑과 직선적인 행동들을 보면 그 의미가 연결된다. 매버릭은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여 업적을 이룩한 사람이라는 대명사로 널리 알려져 있기도 하다.

2. 역사

<nopad> 파일:902100000007.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댈러스 매버릭스/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댈러스 매버릭스/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댈러스 매버릭스/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4b1><tablebgcolor=#0064b1>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댈러스 매버릭스
2025-26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285e,#ddd
<colbgcolor=#0064b1><colcolor=#fff> 감독 제이슨 키드
코치 프랭크 보겔 · 조시 브로가머 · 에릭 휴즈 · 마르코 밀리치 · 키스 버니 · 마이크 펜버시 · 제이 트리아노 · 파파이 존스 · 필 핸디
가드 0 단테 액섬 · 00 맥스 크리스티 · 1 제이든 하디 · 5 디안젤로 러셀 · 9 라이언 넴하드TW · 10 브랜든 윌리엄스 · 11 카이리 어빙 파일:부상 아이콘.svg · 14 마일스 켈리TW
가드-포워드 16 케일럽 마틴 · 31 클레이 탐슨
포워드 13 나지 마샬 · 25 P.J. 워싱턴 · 32 쿠퍼 플래그
포워드-센터 3 앤서니 데이비스 · 7 드와이트 파웰 · 21 다니엘 개포드
센터 2 데릭 라이블리 II
* TW : 투웨이 계약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4. 영구결번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댈러스 매버릭스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ccac00> No. 6 No. 12 No. 15 No. 22 No. 24
<rowcolor=#bbc4ca> 빌 러셀
(Bill Russell)
데릭 하퍼
(Derek Harper)
브래드 데이비스
(Brad Davis)
롤랜도 블랙먼
(Rolando Blackman)
코비 브라이언트
(Kobe Bryant)
<rowcolor=#ccac00> No. 41
<rowcolor=#bbc4ca> 덕 노비츠키
(Dirk Nowitzki)
}}}}}}}}} ||

  • 6. 빌 러셀(Bill Russell) : 전 구단 영구결번.
  • 12. 데릭 하퍼 (1983~1994, 1996~1997) : 수비에 능했던 포인트 가드.
  • 15. 브래드 데이비스 (1980~1992) : 팀의 원년멤버이자 초창기를 이끌었던 포인트 가드.
  • 24. 코비 브라이언트 : 매버릭스에서 뛴 적은 없지만 헬기 사고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코비를 추모하는 의미로 마크 큐반 구단주가 댈러스의 24번 등번호를 영구결번했다.
  • 41. 덕 노비츠키 (1998~2019) : 그 누구도 반박 불가능한 댈러스 매버릭스 역사상 최고의 선수. 21년이라는 NBA 커리어를 댈러스 매버릭스에서만 보낸 원 클럽 맨이며,[3] 2007 NBA 정규시즌 MVP, 팀의 첫 우승인 2011 NBA 파이널 MVP에 빛나는 레전드이다.

5. 역대 성적

­ 우승
­ 준우승
­ 플레이오프 진출
플레이오프 탈락
연도 정규시즌 순위[4] 플레이오프 컨퍼런스 팀이름 경기수 승률
1980-81 6위/6팀 탈락 서부 컨퍼런스 댈러스 매버릭스 82 15 67 .183
1981-82 5위/6팀 탈락 82 28 54 .341
1982-83 4위/6팀 탈락 82 38 44 .463
1983-84 2위/6팀 2라운드 진출 82 43 39 .524
1984-85 3위/6팀 1라운드 진출 82 44 38 .537
1985-86 3위/6팀 2라운드 진출 82 44 38 .537
1986-87 1위/6팀 1라운드 진출 82 55 27 .671
1987-88 2위/6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3 29 .646
1988-89 4위/6팀 탈락 82 38 44 .463
1989-90 3위/7팀 1라운드 진출 82 47 35 .573
1990-91 6위/7팀 탈락 82 28 54 .341
1991-92 5위/6팀 탈락 82 22 60 .268
1992-93 6위/6팀 탈락 82 11 71 .134
1993-94 6위/6팀 탈락 82 13 69 .159
1994-95 5위/6팀 탈락 82 36 46 .439
1995-96 5위/7팀 탈락 82 26 56 .317
1996-97 4위/7팀 탈락 82 24 58 .293
1997-98 5위/7팀 탈락 82 20 62 .244
1998-99 5위/7팀 탈락 50 19 31 .380
1999-00 4위/7팀 탈락 82 40 42 .488
2000-01 3위/7팀 2라운드 진출 82 53 29 .646
2001-02 2위/7팀 2라운드 진출 82 57 25 .695
2002-03 2위/7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60 22 .732
2003-04 3위/7팀 1라운드 진출 82 52 30 .634
2004-05 2위/5팀 2라운드 진출 82 58 24 .707
2005-06 2위/5팀 준우승 82 60 22 .732
2006-07 1위/5팀 1라운드 진출 82 67 15 .817
2007-08 4위/5팀 1라운드 진출 82 51 31 .622
2008-09 3위/5팀 2라운드 진출 82 50 32 .610
2009-10 1위/5팀 1라운드 진출 82 55 27 .671
2010-11 2위/5팀 우승 82 57 25 .695
2011-12 3위/5팀 1라운드 진출 66 36 30 .545
2012-13 4위/5팀 탈락 82 41 41 .500
2013-14 4위/5팀 1라운드 진출 82 49 33 .598
2014-15 4위/5팀 1라운드 진출 82 50 32 .610
2015-16 6위/15팀 1라운드 진출 82 42 40 .512
2016-17 11위/15팀 탈락 82 33 49 .402
2017-18 13위/15팀 탈락 82 24 58 .293
2018-19 14위/15팀 탈락 82 33 49 .402
2019-20 7위/15팀 1라운드 진출 75 43 32 .573
2020-21 5위/15팀 1라운드 진출 72 42 30 .583
2021-22 4위/15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2 30 .634
2022-23 11위/15팀 탈락 82 38 44 .463
2023-24 5위/15팀 준우승 82 50 32 .610
2024-25 9위/15팀 플레이 인 토너먼트 진출[5] 82 39 43 .476
<rowcolor=#373a3c> NBA 통산 45시즌 V1 3625 1836 1789 .506

6. G 리그 산하팀

파일:텍사스 레전즈 로고.svg
텍사스 레전즈
Texas Legends
설립년도 2006년 ([age(2006-01-01)]주년)
역사 콜로라도 포티너스 (2006년~2010년)
텍사스 레전즈 (2010년~현재)
연고지 텍사스 주 프리스코
컨퍼런스 서부 컨퍼런스
디비전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홈구장 코메리카 센터

7. 기타

댈러스 매버릭스의 엠블럼 변천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1981~1993).png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1993~2001).svg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
1981/82 ~ 1992/93 1993/94 ~ 2000/01 2001/02 ~
  • 구단 프런트 및 채널에서 재미있는 합성물이나 선수들의 영상을 자주 만든다.
    • 대표적으로 시즌 시작 전 이런 영상을 찍기도 했다.
    • 노비츠키 PPAP #
    • 2018년에는 오버워치와 콜라보, 매버워치를 탄생시켰다.
    • 20-21시즌 플레이오프 때는 방탄소년단 - Dynamite 뮤비에 선수들 얼굴을 합성시키기도 했다. #
  • 루키(농구 매거진) 선정 역대 최고의 매버릭스 라인업
    - 센터: 샘 퍼킨스
    - 파워 포워드: 덕 노비츠키
    - 스몰 포워드: 마크 어콰이어
    - 슈팅 가드: 롤랜도 블랙먼
    - 포인트 가드: 데릭 하퍼
    - 식스맨: 마이클 핀리
  • 댈러스 매버릭스는 다른 포지션에 비해 유달리 센터가 없었던 팀이다. 우선 퍼킨스는 15-8 정도를 기록하는 빅맨이었으며, 주 포지션은 센터가 아닌 포워드였다. 위 라인업에는 없지만 가장 준수했던 센터로 통하는 '제임스 도날드슨'의 경우 전성기때도 10득점 10리바운드 정도를 기록하는 비교적 평범한 센터였고[6], 초장신 센터로 유명한 숀 브래들리 역시 블록과 림사수 외에는 두드러지는 장점이 없었으며 전반적인 역량은 평이했다. 타이슨 챈들러 이전에 댈러스의 골밑을 7년간 지켰던 에릭 댐피어는 당대의 센터 기근을 감안하면 꽤나 수준급 센터[7]였으나 딱 거기까지였고 결정적인 마지막 퍼즐은 되지 못했다. 우승 멤버인 타이슨 챈들러는 댈러스 매버릭스에서 딱 한시즌 만 활약한데다 애초에 전성기도 아니었고, 그 외에 재능 하나는 올스타급으로 올라설 만 했던 '로이 타플리'는 약물과 부상 및 마인드의 문제로 커리어 통산 출전경기가 겨우 280경기에 그쳤다. 2019년에는 루카 돈치치의 파트너로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를 영입하여 코어로 내정하였으나, 애매한 활약과 종이같은 내구성으로 인해 리그 최악의 악성계약으로 전락하여 겨우겨우 처분하였다.
  • 홈구장 중계시 그물 소리가 상당히 경쾌하다.
  • 2010년대까지 구단을 상징했던 선수 덕 노비츠키와 함께 2011년 극적인 우승을 차지하는 등 낭만 스토리가 있어 글로벌 팬이 많은 구단이다. 그런데 2025년 덕 노비츠키의 뒤를 이은 에이스였던 루카 돈치치LA 레이커스와 트레이드하면서 팬들의 공분을 샀다. 이 여파로 직후 매버릭스 홈경기 티켓 리셀가도 급락했고, 경기장에는 니코 해리슨 단장을 해고하라는 챈트가 울려퍼지기도 했다.# 그런데 엄청난 반전이 일어났으니, 2025 NBA 드래프트에서 기적적인 확률로 1순위 지명권을 획득하게 되었고, 차세대 스타로 평가받는 쿠퍼 플래그를 1픽으로 뽑아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본격적으로 알리고 있다.
  • NBA 갤러리에서 상당히 인기가 많은 팀이다. 특히 2010-11 시즌 댈러스 매버릭스는 불의한(?) 릅갈통슈퍼팀에게서 NBA를 정의롭게 지켜낸(...) 한줄기 빛 대접을 받기도 했다. 이에 빡친 우리의 릅갈통은 리얼월드를... 이 때 마이애미가 강팀-악역 느낌이었기 때문에 그에 맞서 언더독으로 우승을 한 댈러스가 약팀이라는 오해를 받기도 하는데, 사실 댈러스는 연고지도 대도시 빅마켓이고 팀 또한 NBA 전체를 통틀어서 인기팀에 속하며 수입도 높다. 단지 같은 도시에 댈러스 카우보이스라는 엄청난 팀이 있어서 연고지에서 상대적으로 밀렸으며, 결승에서 BIG3 슈퍼팀에 맞선 언더독 포지션이었기 때문에 받는 오해.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205B><tablewidth=320><tablebgcolor=#00205B>
파일:텍사스 휘장.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MLB
파일:댈러스 카우보이스 로고.svg 파일:휴스턴 텍산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
댈러스 카우보이스 휴스턴 텍산스 텍사스 레인저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NBA NHL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 파일:샌안토니오 스퍼스 로고.svg 파일:휴스턴 로키츠 로고.svg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
댈러스 매버릭스 샌안토니오 스퍼스 휴스턴 로키츠 댈러스 스타스
MLS WNBA
파일:FC 댈러스 로고.svg 파일:오스틴 FC 로고.svg 파일:휴스턴 다이너모 FC 로고.svg 파일:댈러스 윙스 로고.svg
FC 댈러스 오스틴 FC 휴스턴 다이너모 FC 댈러스 윙스
NWSL NLL MLR
파일:Houston_Dash_2020_logo.svg.png 파일:팬서시티 라크로스 클럽 로고.jpg 파일:휴스턴 세이버캣츠.png
휴스턴 대시 팬서시티 라크로스 클럽 휴스턴 세이버캣츠
}}}}}}}}} ||

[1] 1993년부터 2001년까지 NHL 댈러스 스타스와 공용[2] NHL 댈러스 스타스와 공용[3] NBA 역사상 최장 기간 활동한 원클럽맨.[4] 디비전 순위가 의미가 없어진 2015-16 시즌부터는 컨퍼런스 순위 기재.[5] 플레이 인 토너먼트는 정식 플레이오프에 포함되지 않는다.[6] 재밌게도 이 선수는 87-88 시즌에 7.0득점 9.3리바운드라는 초라한 기록으로 올스타에 선정되었는데, 이는 NBA 역사상 가장 이견이 많은 올스타 선정 사례 중 하나로 통한다.[7] 그 당시나 지금이나 댐피어하면 자칭 리그 no.2 센터라고 비웃음을 사지만, 그 당시 리그의 센터들을 생각해보면 못할 말은 아니었다. 부동의 no.1 샤킬 오닐이 있었고, 그 아래는 아직 기량이 만개하기 전인 야오밍 정도가 리그에서 내놓을 만한 센터. 그 당시 댐피어라면 야오밍보다 더 기동성이 좋고 림 프로텍팅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 센터였으니 자칭 no.2가 근자감은 아니었다. 마커스 캠비는 수비는 강력했지만 수비 원툴이었고 (물론 정말 훌륭한 수비수였다. 어찌보면 수준과 별개로 그 당시 매버릭스에 꼭 맞는 핏이었지도), 타이슨 챈들러는 시카고에서 여전히 포텐이 터지지 못한 고졸 센터였다. 같이 뛰던 에디 커리는 그때까진 타이슨 챈들러와 도찐개찐이었고. 그 때는 자말 매글로어 정도의 선수들도 올스타 센터로 뽑히던 말 그대로 센터가 씨가 마른 시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