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국의 록 밴드에 대한 내용은 매거진(밴드) 문서 참고하십시오. 국내 초창기 잡지 중 하나, 월간 《少年》 (1908.11) |
1. 개요
雜誌 / Magazine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기사, 소설, 시, 사진 등의 다양한 내용이나, 특정한 취미, 관심 또는 직업을 가진 일정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특수 내용을 포함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기적으로 편집, 간행하는 정기간행물을 일컫는 말. ISBN이 부여되는 도서와는 달리, ISSN이 부여된다.
한국법에서는, "정치·경제·사회·문화·시사·산업·과학·종교·교육·체육 등 전체 분야 또는 특정 분야에 관한 보도·논평·여론 및 정보 등을 전파하기 위하여 동일한 제호로 월 1회 이하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책자 형태의 간행물"로서 연 2회 이상 계속적으로 발행하고 신문이 아닌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잡지 등 정기간행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가목).
문화의 전달/보호 및 창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독자들에게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인류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잡지는 그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신문과는 체재와 기능면에서 다르다. 크게 외적 특성과 내적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으며 외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일정한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같은 제목 하에 발행된다는 정기성.
- 잡다한 여러 가지 읽을거리를 게재하는 내용의 다양성.
- 책과 같이 꿰매어놓은 제책성을 들 수 있다.
한편, 내적인 측면에서 잡지는 그 기능상 신문이나 방송에 비해서 장기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따라서 장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또한 오락면에서도 신문보다 다양한 기사를 통하여 읽을거리를 제공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영어로는 매거진(magazine).[1] 동음이의어이기 때문에 전쟁 영화의 자막 등에서 가끔 탄창을 잡지로 오역하는 경우가 있다.[2]
2. 역사
잡지가 발행된 것은 인쇄술의 발달로 인한 16세기부터 시작되며, 19세기 후반까지는 정부의 언론통제 때문에 그 영향이 적었다.잡지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영국의 <젠틀맨스 매거진>(Gentleman's Magazine)(1731~1922)이다. 당시 이 잡지의 영향력은 매우 커서 이 잡지가 당시 영국 상류층의 상징이 될 정도였는데 이때문에 탄창이라는 의미의 magazine이 잡지라는 의미를 얻게 되었다. 잡지에 현재와 같은 사진이 실리기 시작한 것은 프랑스의 《일뤼스트라시옹》(L'Illustration)(현 Paris Match의 전신)지가 최초이다. ‘잡지(雜誌)’라는 번역어가 처음 쓰인 것은 19세기 후반이다. 존 맥고완(John Macgowan, 1835~1922)이 상하이에서 발간한 <중외잡지(中外雑誌)>(1862~1863), 1867년 일본에서 발간된 <서양잡지(西洋雑誌)>(1867~1869) 등이 있었다.대한민국에서는 독립협회의 기관지 《대조선독립협회회보》를 시작으로 해서 수많은 잡지들이 발간되었다. 한국에서는 잡지의 영향력과 활용도가 굉장히 높았다. 인터넷이 보급되기 전에는 시각적인 정보제공 능력은 잡지를 따라잡을 수 없었기 때문에 당시의 젊은 세대는 잡지를 통해서 한국 문화의 유행도를 알 수 있었다.
3. 현재
시대가 변하면서 인터넷과 방송매체, 스마트폰 등의 영향으로 잡지의 영향력은 잡지의 전성기이던 90년대에 비해 크게 쇠퇴했으며, 이에 따라 폐간되거나 무기한 정간된 잡지가 속출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 순수 인쇄 상태의 잡지보다는 스마트폰 앱과 병행하여 다양한 광고와 접목한 형태의 잡지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한 지점이다.책이라는 것이 점점 시대에 뒤처지고 있어 인쇄업 자체가 엄청나게 규모가 줄어드는 판국에 잡지는 과장
따라서 TV나 신문같이 순수하게 광고비로 기업을 굴릴 수 있어야 하는데 잡지는 TV처럼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접하는 것이 아닌 데다, 인쇄업이 점점 죽어가고, 책이라는 매체가 찬밥 신세 당하는 상황에서 잡지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 실제로 잡지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2010년대 초중반 이후 불과 몇 년 사이에 잡지 종류가 급격히 줄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이는 기업들이 광고 및 홍보비를 줄일 때 가장 먼저 자르는 것이 잡지 분야의 광고비이기 때문이다. 덕분에 해외 라이선스를 달고 있는 몇몇 메이저급 잡지사나 특정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는 소수의 잡지가 아닌 어중간한 잡지들은 줄줄이 망했다. 특히 광고가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던 여성지나 남성지의 볼륨이 대폭 줄어든 것이 눈에 띄고 있다.
4. 분류
일반적으로 대상 독자 및 그 내용의 주제, 판형, 간행 회수 등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독자 및 그 내용에 따르면 크게 대중지, 일반 전문지, 특수지로 나눌 수 있다.
- 대중지
거의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잡지로서 그 내용도 가벼운 읽을거리, 연예물, 유머, 사진, 만화 등을 주로 다룬다.
이 대중지는 다시 종합지, 여성지, 남성지, 사진잡지, 연예지, 유머/오락지, 다이제스트지, 대중 문학지, 만화잡지, 성인잡지 등으로 나눌 수도 있다.
- 일반 전문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특정한 사회집단을 대상으로 제작되는 잡지. 권위지, 여론지, 사회평론지, 사상지, 순수 문학지 등이 여기에 속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비즈니스 및 산업지, 과학 및 기술잡지, 학술지, 종교지 등을 들 수 있다. 학술지는 대체로 잡지(magazine)이 아니라 저널(journal)로 불리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어로 지칭할 때도 '잡지'보단 '학술지'라고 주로 얘기하는 편이다.
이 밖에도 크기(판형)에 따라 포켓판, 표준판, 플랫판, 대형판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간행 횟수에 따라 일간지, 주간지, 격주간지, 월간지, 격월간지, 순간지[5], 계간지, 연간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5. 국회도서관을 통해 잡지 보기
국회도서관을 통해 여러 잡지들을 무료로 볼 수 있다.
6. 목록
6.1. 대한민국
외국 잡지의 한국판은 ☆로 표기.6.1.1. 종합지
<rowcolor=#3b322b> 잡지명 | 발행처 | 발행형태 | 비고 |
신동아 | 동아일보사 | 월간 | 1931년 창간 1964년 복간 |
주간한국 | 한국미디어네트워크[6] | 주간 | 1964년 창간[7] |
월간중앙 | 중앙일보 시사미디어 | 월간 | 1968년 창간 |
주간조선 | 조선뉴스프레스 | 주간 | 1968년 창간 |
월간조선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 | 1980년 창간 |
시사저널 | 서울문화사 | 주간 | 1989년 창간 |
녹색평론 | 녹색평론사 | 격월간 | 1991년 창간 |
주간경향 | 경향신문 | 주간 | 1992년 창간[8] |
한겨레21 | 한겨레 | 주간 | 1994년 창간 |
주간동아 | 동아일보 | 주간 | 1995년 창간[9] |
미래한국 | 미래한국미디어 | 주간 | 2002년 창간 |
시사in | 참언론 | 주간 | 2007년 창간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르몽드코리아 | 월간 | ☆2008년 창간 |
빅이슈 | 빅이슈코리아 | 격주간 | ☆2010년 7월 창간 |
6.1.2. 여성지
<rowcolor=#3b322b> 잡지명 | 발행처 | 발행형태 | 비고 |
<colbgcolor=#fff,#6e6d6d> STYLER by 주부생활 | 더북컴퍼니 | 월간 | 1965년 4월 창간 |
여성동아 | 동아일보 | 월간 | 1967년 11월 창간 |
여성조선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 | 1985년 1월 창간[10] |
행복이가득한집 | 디자인하우스 | 월간 | 1987년 9월 창간 |
우먼센스 | 서울문화사 | 월간 | 1988년 8월 창간 |
퀸 | 매거진플러스 | 월간 | 1990년 7월 창간[11] |
리빙센스 | 서울문화사 | 월간 | 1990년 8월 창간 |
노블레스 | 노블레스미디어 인터네셔날 | 월간 | 1990년 9월 창간 |
엘르 코리아 | JTBC PLUS | 월간 | ☆1992년 11월 창간 |
마리끌레르 코리아 | 더북컴퍼니 | 월간 | ☆1993년 3월 창간 |
보그 코리아 | 두산매거진 | 월간 | ☆1996년 8월 창간 |
하퍼스 바자 코리아 | JTBC PLUS | 월간 | ☆1996년 8월 창간 |
까사 리빙 | 시공사 | 월간 | 2000년 4월 창간 |
코스모폴리탄 | JTBC PLUS | 월간 | ☆2000년 9월 창간 |
미즈내일 | 내일신문 | 주간 | 2000년 10월 창간 |
럭셔리 | 디자인하우스 | 월간 | 2001년 3월 창간 |
얼루어 코리아 | 두산매거진 | 월간 | ☆2003년 8월 창간 |
싱글즈 | 더북컴퍼니 | 월간 | 2004년 9월 창간 |
스타일 H | 디자인하우스 | 월간 | 2005년 2월 창간 |
에비뉴엘 | 더북컴퍼니 | 월간 | 2005년 2월 창간 |
W 코리아 | 두산매거진 | 월간 | ☆2005년 3월 창간 |
데이즈드 코리아 | JTBC PLUS | 월간 | 2008년 4월 창간 |
엘르 데코 | JTBC PLUS | 반년간 | ☆2008년 4월 창간 |
피앤피에이전시 매거진 | 피앤피에이전시 | 월간 | ☆2024년 4월 창간 |
마리끌레르 웨딩 | 더북컴퍼니 | 반년간 | ☆2013년 9월 |
메종 | 더북컴퍼니 | 월간 | |
뷰티쁠 | 더북컴퍼니 | 월간 | |
엘르 브라이드 | JTBC PLUS | 반년간 | ☆ |
6.1.3. 남성지
<rowcolor=#3b322b> 잡지명 | 발행처 | 발행형태 | 비고 |
<colbgcolor=#fff,#6e6d6d> GQ 코리아 | 두산매거진 | 월간 | ☆2001년 3월 창간 |
아레나 옴므 플러스 | 서울문화사 | 월간 | ☆2003년 창간 |
로피시엘 옴므 | 머니투데이 | 월간 | ☆2011년 8월 창간 |
에스콰이어 | JTBC PLUS | 월간 | ☆1996년 7월 창간 |
맥심 코리아 | 와이미디어 | 월간 | 2002년 10월 창간(한국판 기준) |
머슬앤피트니스 | 머슬앤피트니스 | 월간 | ☆ |
크레이지 자이언트 | |||
Den | |||
발그레 | 월간 | 2018년 5월 창간 | |
프리즌 | Back Scratcher | 월간 | 2023년 4월 창간 |
6.1.4. 경제지
<rowcolor=#3b322b> 잡지명 | 발행처 | 발행형태 | 비고 |
<colbgcolor=#fff,#6e6d6d> 월간 CEO | CEO파트너스 | 월간 | 2001년 창간 |
이코노미 인사이트 | 한겨레신문사 | 월간 | 2010년 5월 창간 |
이코노미조선 | 조선일보사 | 월간 | 2004년 창간 |
포브스코리아 | 중앙일보S | 월간 | ☆2003년 창간 |
포춘코리아 | HMG퍼블리싱 | 월간 | ☆2009년 창간 |
종합 물가정보 | 사단법인 한국물가정보 | 월간 | 1970년 창간 |
더피알 | 온전한커뮤니케이션 | 월간 | |
매경ECONOMY[12] | 매일경제신문사 | 주간 | 1979년 창간 |
이코노미스트 | 이데일리M | 주간 | 1984년 창간 |
한경BUSINESS | 한국경제매거진 | 주간 | 1995년 창간 |
The SCOOP | 더스쿠프 | 주간 | 2012년 창간 |
머니 | 한국경제매거진 | 월간 | 2005년 창간 |
동아비즈니스리뷰(DBR) | 동아일보사 | 격주간 | 2018년 창간 |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한국판) | 동아일보사 | 격월간 | ☆2014년 창간 |
6.1.5. 기타
과학교양, 기술- 과학동아 - 동아사이언스, 1985년 창간
- 과학소년 - 교원 L&C, 1991년 창간
- 뉴턴 한국판☆ - 뉴턴 코리아, 1985년 창간
- 어린이과학동아 - 동아사이언스, 2005년 창간
- 아쿠아라이프☆[13]
- 우등생 과학 - 천재교육
- 내셔널 지오그래픽☆
- 스켑틱
- 에피
- BBC 사이언스
- MIT 테크놀로지 리뷰☆ - 1899년 창간, 2022년 한국어판 발간
스포츠
- 골프 포 우먼
- 루키 - 아트프린팅
- 월간 축구→베스트일레븐 - (주)베스트일레븐, 1970년 창간
- 점프볼 - 농구, KBL과 WKBL
- 루키 - NBA. 페이퍼센트 발행
- 더 스파이크 - V-리그
- 월간바둑 - 한국기원 발행
- 테니스 코리아
- 포포투 코리아☆
아동청소년지
* 개똥이네 놀이터 - 보리출판사 2005년 창간
* 독서평설/주니어독서평설 - 지학사
* 수학동아 - 동아일보사, 2009년 창간
* 어린이동산 - 새농민사, 1989년 창간.
* 통일교육마당 - 통일교육개발연구원에서 발행하는 통일교육을 위한 잡지. 본래 반공교육을 위한 내용이 주였던 어린이세계가 모태이나 2006년 통일 어린이마당으로 제호 변경, 2023년 통일교육마당으로 다시 변경.
* 우등생 논술 - 천재교육
* 경기도 어린이 잡지 키도(KIDO)- 무중력출판사 2024년 10월 창간
* 개똥이네 놀이터 - 보리출판사 2005년 창간
* 독서평설/주니어독서평설 - 지학사
* 수학동아 - 동아일보사, 2009년 창간
* 어린이동산 - 새농민사, 1989년 창간.
* 통일교육마당 - 통일교육개발연구원에서 발행하는 통일교육을 위한 잡지. 본래 반공교육을 위한 내용이 주였던 어린이세계가 모태이나 2006년 통일 어린이마당으로 제호 변경, 2023년 통일교육마당으로 다시 변경.
* 우등생 논술 - 천재교육
* 경기도 어린이 잡지 키도(KIDO)- 무중력출판사 2024년 10월 창간
인권・복지・노동
* 워커스 - 인터넷언론인 민중언론 참세상http://www.newscham.net/ 편집국과 독립된 디자이너팀(일상의실천, 제로랩, 물질과비물질, 손혜인 등이 참여), 사진 작가들의 협업으로 발행하는 오프라인 잡지. 노동운동과 여성, 성소수자, 좌파 관점의 경제 소식을 싣고 있다. 2016년 3월 주간지로 창간해 현재는 월간으로 발행 중이다.
* 함께걸음 -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1987년 창간.[14]
* 함께걸음 -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1987년 창간.[14]
문학 잡지
PC, IT
자동차, 교통, 군사
- 레일엔라이프 - 씨나인, 2017년 창간
- 모닝캄 - 대한항공 기내지
- 비욘드 - 대한항공 기내 엔터테인먼트지[17]
- 아시아나 - 아시아나항공 기내지
- 모터매거진
- 모터바이크
- 라이드 매거진 - 구 오토바이크
- 자동차생활 - 1984년 9월 창간
- 탑기어☆ - 프린피아
- KTX 매거진 - 코레일 KTX 차내 잡지
- 교통안전
- 이스타젯 - 이스타항공 기내 잡지
- SRT - SRT 차내 잡지. 유가 판매도 실시한다.
- KD 운송그룹 버스피아 - KD 운송그룹 시외 / 고속버스 앞자리에 비치된 잡지. 계간으로 발행되며 승객들이 심심할 때 읽는 정도로 사용된다. 일반인에게도 원하면 무료로 보내준 적이 있었지만 2009년 11월부터 배송을 중단했다.
- 월간 항공[18]
- 국방과 기술 -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89년 창간
- 디펜스 타임즈 - 디펜스 타임즈, 2002년 창간
- 밀리터리 리뷰 - 군사연구, 2003년 창간
- 플래툰 - 호비스트, 1995년 창간
- HIM
사설, 에세이 관련
기타 전문지
- 경향잡지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06년 창간
- 굿모닝팝스 - 한국방송출판
- 기독교 사상 - 대한기독교서희, 1957년 창간
- 기획회의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1999년 창간
- 네이버 - 미디어윌
- 대학내일 - 대학생용 잡지
- 법련
- 보건세계
- 복음과상황 - 뉴스앤조이, 1991년 창간
- 새교육 - 한국교육단체총연합회·한국교육신문, 1948년 창간
- 시조 - 시조사, 1910년 창간 [19]
- 신앙계 - 여의도순복음교회, 1967년 창간
- 활천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1922년 창간
- 현대종교
기타 취미
- 뚜르 드 몽드 - 여행관련 잡지[20]
- ABROAD☆ - 여행[21]
- 론리플래닛☆ - 여행
- MODE - 모두투어
- 낚시 춘추
- traveller - 하나투어[22]
- 산 - 조선일보사, 1969년 창간
- 보스토크 매거진 - 격월간 사진잡지. 2016년 창간
- 오디오
- 오디오와 레코드
- 우표 - 한국우취연합, 1965년 창간[23]
- 스테레오사운드 - 시공사, 1989년 창간
- 취미가
- 모델러2000
- ARTRAVEL - 여행인문학 잡지
- 비즐라매거진(visla) - ㈜비즐라, 서브컬쳐[24] 종합지. 원래 웹진이나 종이매체로도 발간된 적이 몇번 있기에 여기에도 기재.
- CA - 1998년 컴퓨터 아트 한국판으로 창간되었다가 2008년 4월호부터 CA로 제호를 변경한 디자인 매거진.
만화잡지
- 파티 - 학산문화사, 1997년 창간
- 아이큐 점프 - 서울문화사, 1988년 창간(최초의 주간 소년 만화잡지)
- 윙크 - 서울문화사, 1993년 창간
- 코믹 챔프 - 대원씨아이, 1991년 창간
게임잡지
미분류
- 꼬망쎄 - 한국교육출판, 1988년 창간(구 유아교육자료).
- 이혼이야기 - 프리덤하우스, 2011년 창간
- 매거진 B
- 베이비 - 삼성출판사
- VOICE - 2015년 창간
- 소리사랑 - 도서출판 허브
- 스터프☆ - 영국 잡지이며 한국판은 (주)미디어 스터프가 발간
- 양쥬 - 뮤크하우스
- 월간유아 - 유아림, 1984년 창간
- 위즈키즈 - 교원 L&C
- 그래픽 - 프로파간다, 2007년 창간
- 볼드저널 모던파더들을 위한 잡지
- 보보담 - LS네트웍스, 2011년 창간
- 역사비평 - 역사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역사 대중 학술지. 1988년 창간.
- 월간 디자인 - 디자인 하우스에서 발간하는 디자인 트렌드 전문지, 1976년 창간
6.1.6. 웹진
항목 참조.6.1.7. 폐간, 휴간된 잡지
- 건강과근육 - Bodybuilding
- 게임피아 - KBS 출판, 1995년 창간, 2003년 폐간
- 관광교통시각표 - 관광교통문화사, 1974년 창간, 2012년 폐간(추정)[25]
- 누메로 한국판☆ - 누메로코리아, 2008년 창간, 2010년 폐간
- 덴 - TNMS
- 덴W - TNMS
- 댕기 - 폐간
- 렛츠 - 동아일보, 1995년 창간, 1998년 휴간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 마소, 1983년 창간, 2017년부터 계간지로 전환, 2020년 휴간
- 말
- 모션 - 1996년 창간, 1998년 폐간(추정)[26]
- 모형잡지 취미가네오 - 호비스트, 1991년 1월 창간, 2006년 2월 폐간
- 미스터케이(MRK) - 1998년 창간, 2007년 폐간
- 밍크 - 서울문화사, 1995년 창간, 2010년 폐간
- 무비위크 - 중앙엔터테인먼트&스포츠, 2001년 창간, 2015년 폐간
- 별건곤 - 개벽사, 1926년 창간, 1934년 폐간
- 보떼 - 웅진출판, 1996년 창간
- 보물섬 - 육영재단, 1982년 창간, 1996년 폐간
- 25ans 한국판 - 아쉐뜨넥스트미디어
- 에꼴 - 서울문화사, 1995년 창간, 2008년 폐간
- 사이언스 올제☆[27] - 과학과 문화, 2001년 창간, 2008년 폐간
- 새벗 - 성서원, 1952년 복간, 2002년 폐간
- 선데이 서울 - 서울신문, 1968년 창간, 1991년 12월 폐간.
- 소년경향 - 1969년 창간, 1999년 폐간
- 소년중앙 - 조선중앙일보사, 1935년 창간, 1940년 폐간
- 소년중앙 - 중앙일보, 1969년 창간, 1994년 폐간
- 스크린 - 스크린M&B, 1984년 창간, 2011년 폐간
- 스포츠2.0 - 주식회사 미디어2.0, 2006년 창간, 2008년 휴간
- 시대정신(잡지)
- 신가정 - 동아일보, 1933년 창간, 1936년 폐간
- 아이생활 - 성서원, 1926년 창간, 1944년 폐간
- 와와109(와와걸) - 2001년 창간, 2010년 폐간
- 앙앙 - 서울문화사
- 어린이자유
- 엑스칼리버 - 초록배매직스, 1997년 창간, 동년 폐간
- 여성 - 동아일보사, 1936년 창간, 1940년 폐간
- 웅진여성 - 웅진출판에서 1991년 9월 창간, 동년 12월 폐간.[28]
- 여성중앙 - JTBC PLUS, 1970년 창간, 1994년 폐간, 1998년 복간, 2017년 휴간한 4개 잡지 중 하나
- 여학생 - 1965년 11월 창간, 1990년 11월 폐간.
- 인스타일☆ - JTBC PLUS, 2017년 휴간한 4대 잡지 중 하나
- 인스타일 웨딩☆ - JTBC PLUS, 2017년 휴간한 4대 잡지 중 하나인 인 스타일의 자매지
- 쎄씨 - JTBC PLUS, 2017년 휴간 한 4대 잡지 중 하나
- 헤렌 - JTBC PLUS, 2017년 휴간 한 4대 잡지 중 하나(사실상 폐간)
- 슈어 - JTBC PLUS, 2017년 휴간 한 4대 잡지 중 하나(사실상 폐간)
- 레옹 - 머니투데이, 2012년 3월 창간 ~ 2019년 6월 폐간
- 루엘 - 위미디어, 2007년 창간 ~ 2018년 12월 폐간
- 주간여성 - 한국일보, 1969년 창간, 휴간 연도 미상
- 레이디경향 - 경향신문, 1982년 창간, 2016년 휴간
- 주간중앙 - 중앙일보, 1968년 창간, 1987년 12월 폐간.
- 세븐틴☆ - 폐간
- 뷰티클럽 - 뷰티클럽
- 보그걸☆ - 폐간
- 블랑
- 엘르걸☆ - 폐간
- 엘라서울 - 폐간
- 영 점프 - 서울문화사, 1994년 창간, 2003년 폐간
- 오후 - 시공사, 2003년 창간, 2004년 폐간
- 조광 - 조선일보사, 1935년 창간, 1944년 8월 폐간
- 중앙 - 조선중앙일보사, 1933년 창간, 1936년 폐간
- 쥬디 - 대원씨아이, 2000년 창간, 2002년 폐간
- 카비전 - 2009년 폐간
- 컴퓨터학습→마이컴 - 민컴, 1983년 창간, 1998년 휴간
- 키노 - 키노네트, 1995년 창간, 2006년 폐간
- 판타스틱 - 페이퍼하우스, 2007년 5월 창간, 2010년 3월 휴간
- 팝툰(격월간 1·15일제외) - 씨네21 법인, 2007년 창간 2009년 폐간?
- 팡팡 - 대원씨아이, 1994년 창간, 2006년 폐간
- 필름2.0 - 주식회사 미디어2.0, 2000년 12월 창간, 2008년 12월 휴간
- 학생과컴퓨터 - 1984년 창간, 1987년 폐간
- 허브 - 도서출판 허브, 2004년 창간, 2006년 폐간
- Celeb - 폐간
- 주니어&스타엠 - 학은미디어 2016년 3월 이후 휴간.
- 맘&앙팡 - 디자인하우스 2017년 7월 이후 휴간.
- PC저널 게이머 -
- PC라인 - 한국경제신문, 한경PC라인, 이PC라인, 1990년 창간, 2010년 휴간
- 뉴타입(잡지)☆ - 1999년 창간, 2015년 휴간.
사실상 폐간 아닌가.. - 맨즈헬스 - 1987년 창간, 2016년 휴간.
- 지오 한국판 ☆
- 월간 텝스
- 보이스 클럽 - 동아출판사, 1994년 12월 7일 창간, 1995년 5월 16일 폐간.[29]
- 월간 헬스 조선 - 인쇄 판은 발행 중지, 인터넷 판은 발행
- 한겨레문학 - 한겨레문학사가 1993년 7월에 창간한 종합 문예지, 1998년에 폐간.
- 뉴타입 한국어판☆, 1999년 창간, 2015년 휴간
- 부킹 - 학산문화사, 1998년 창간, 2012년 폐간
- 찬스 - 학산문화사, 1995년 창간, 2012년 폐간
- 찬스 플러스 - 2012년 부킹과 찬스가 통합하여 창간하였으나 2020년 폐간
- 수퍼 챔프 - 2009년 영 챔프와 통합
- 영 챔프 - 대원씨아이, 1994년 창간, 2013년 코믹 챔프와 통합
- 계간 만화 - 씨앤씨 레볼루션, 2003년 창간
- 우뢰매
- 냥타입☆
- 민트(잡지)
- 뷰티풀 라이프(계절호) - 절대교감
- 캐릭터 주니어
- 이슈 - 대원씨아이, 1995년 창간, 2020년 11월 휴간
- 뉴스위크 - 중앙일보 시사미디어에서 1991년 뉴스위크 한국판을 창간하였으며, 2019년 폐간
- 모터트렌드 - 2005년 한국판 창간, 2022년 11월 폐간
- 에쎈 - 서울문화사, 2016.7 휴간
- 나일론 - 서울문화사, 2020.11 휴간
- 그라치아 - 서울문화사, 2020.6 폐간
- 베스트 베이비 - 서울문화사, 2019.5 폐간
- 샘터 - 1970.4 창간, 2019.12을 끝으로 휴간
- - 디자인하우스, SM, 월간, 2013년 11월 창간, 2017년 겨울호를 끝으로 휴간
- 마이웨딩 - 디자인하우스, 월간, 1993년 8월 창간, 2018년 9월을 끝으로 휴간
- 인물과 사상 - 1998년 창간, 2019년 9월호를 끝으로 휴간
- 맨즈헬스 코리아 - 2022년 11/12월호를 끝으로 발행중단
- 프리미어 한국판 - 2009년 4월 폐간
- 과학쟁이 - 웅진씽크빅, 2000년 창간, 2015년 폐간
- 생각쟁이 - 웅진씽크빅, 1998년 창간, 2015년 폐간
- 에어라이너 - 에어로포토스, 2009년 창간, 2011년 폐간
- 레일러 - 철도 전문 잡지, 2015년 폐간
- 파퓰러 사이언스 한국판☆ - 서울경제신문, 2000년 창간, 2021년 발행중단, 현재는 디지털 미디어 형태로 재창간
- 핫뮤직 - 1990년 11월 1일 창간, 2008년 폐간된 대한민국 음악전문지이다.#
- 자연과생태 - 2014년 4월 폐간.
- 인섹트매니아 - 2010년 7월 폐간.
- 게임라인 - 2001년 폐간.
- 게임월드 - 1997연 8월 폐간.
- 게임챔프 - 1992년 12월 창간, 1998년 11월부터 GAME POWER로 변경, 2000년 12월 폐간.
- 월간 PS - 게이머즈의 전신. 후에 같은 회사에서 2002년에 새로 창간되었다가 2007년 4월 폐간.
- PC파워진 - 1995년 8월 창간, 2005년 3월 온라인 잡지였던 넷파워와 통합되면서 폐간.
- 주니어 시사통 - 한솔교육, 2007년 창간, 2008년 12월 폐간
- 디앤디 포커스 - 2007년 창간. 이후에 디펜스21+로 변경되었으며, 2015년 폐간.
6.2. 일본
잡지라는 단어 자체가 magazine이라는 영어를 일본에서 번역한 것이다. 일본 최초의 잡지는 야나가와 순산이 1867년 10월에 발간된 《서양잡지》이다. 야나가와는 서양을 연구하는 학자로 나중에 《주가이신문》을 발행하는 등 일본 저널리즘 활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6.2.1. 일러두기: 일본잡지의 월호수치에 대해서
일본의 월호수 표기 방식은 특이하게도 16일 이후 월 말에 출간되는 잡지가 한국처럼 바로 다음 달로 표기되는 방식이 아니라 후달 기준으로 출판된다. 예를 들면 2013년 10월 23일에 잡지가 출간되면 실제 표기는 2013년 12월 호로 되는 식. 단, 스모 잡지에 한해서 한국처럼 바로 다음 달로 호수 표기가 되는 편.[30]이상의 경우는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참조했다.
한국에서 출간되는 일본계 잡지의 일부는 이러한 일본식 제호를 그대로 반영하기도 하는 경향이 있다.(애니메이션 잡지 등) 한국의 몇몇 콘솔 비디오 게임 잡지도 애초 일본의 콘솔 게임지(ex. 패미통, ~마가 계열)에 큰 영향을 받은 탓에 제호 방식도 일본의 영향을 받아서, 후달 기준으로 제호 출판된 적이 꽤 있다.
일본은 잡고서저(雜高書低: 잡지가 일반 책보다 많이 팔리는 현상)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잡지 시장이 매우 크고 그에 따른 잡지사 간 경쟁도 무척 심한 나라이다. 경쟁 잡지사보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다음 호를 내기 위해 출간일을 앞당기다 보니 경쟁이 붙어 나중에는 표기 호수보다 몇 달씩이나 앞서 발매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다 (10월 호 잡지가 5월달에 나오는 식). 이런 폐해를 막기 위해 1986년 일본 잡지 협회에서 자체적으로 호수에 대한 규정 안을 만들게 되었는데, 2달씩 앞서 발매할 수 있는 현 규정은 과거의 치열했던 출간일 앞당기기 경쟁의 흔적이라고 보면 된다.
여담이지만 비슷한 이유로 한국에서도 만화잡지 등이 과거 이런 식의 표기를 했다. 1977년 7월 여름방학 시즌에 맞춰, 그래서 여름 물놀이 관련 내용이 대다수로 출간된 소년중앙이 '9월 호'라는 제호를 달고 있는 것. 이런 관행이 소멸된 게 1980년부터이다.[31]
6.2.2. 월간지
시사 종합지스포츠과학지
연예지
패션지
종합 정보지[35]
- mono
- DIME
- 닛케이 트렌디
게임잡지
월간아르카디아 - 월간은 이미 옛말이고 격월간으로 발행되다가 업계 사정 때문에 비정기 무크간격 발행으로 변경됨.- 콤프틱[36]
- 테크 자이안[37]
- 패미통
- CG월드
- MOE
- 전격 플레이스테이션
만화잡지, 애니메이션
- 코단샤 계열: 월간 소년 매거진, 나카요시, 디저트, 애프터눈, 키스
- 쇼가쿠칸 계열: 베쓰코미, 월간 코로코로 코믹, 월간 IKKI, 챠오
- 슈에이샤 계열: 마가렛, 점프 스퀘어
- 스퀘어 에닉스 계열: 월간 G판타지
- 아스키 미디어 웍스 계열: 월간 코믹 전격대왕
- 아키타 쇼텐 계열: 영 챔피언, 프린세스
- 도쿠마 쇼텐 계열: 아니메쥬
- 하쿠센샤 계열: 멜로디, 영 애니멀, LaLa
- 호분샤 계열: 망가타임 계열, 망가타임 키라라 계열
- JIVE 계열: 월간 코믹 러쉬
- KADOKAWA 계열: 뉴타입, 월간 드래곤 에이지, 월간 소년 에이스, 월간 콤프에이스, 월간 Asuka
- 애니미디어 (Gakken)
- 코믹 REX (이치진샤, 고단샤)
- 코믹 유리히메 (이치진샤, 고단샤)
자동차, 기타 교통 관련 잡지
전문지
비평지
6.2.3. 주간지
종합지경제지
여성지
- 여성 세븐
- 여성자신
대중문화지
- 주간TV가이드 [41]
만화잡지
- 코단샤 계열: 주간 소년 매거진, 주간 영 매거진, 모닝
- 쇼가쿠칸 계열: 주간 소년 선데이, 주간 영 선데이, 빅 코믹 스피리츠, Sho-Comi (격주간)
- 슈에이샤 계열: 주간 소년 점프, 주간 영 점프, 비즈니스 점프 (격주간)
- 스퀘어 에닉스 계열: 영 간간 (격주간)
- 하쿠센샤 계열: 하나토유메 (격주간)
6.2.4. 폐간, 휴간된 잡지
- 디스크 스테이션
- 마르코 폴로 - 일본의 극우지. 홀로코스트 부정론을 다루다가 국제유태인 권익단체의 항의를 받고 폐간.
- 쇼쿤! - 일본의 극우지.
- ARIA(잡지) - 만화잡지
- 주간아사히 - 2023년 5월 30일 휴간. 사실상 폐간이다.
6.3. 기타 국가
- 미국
- 뉴스위크
- 더 뉴요커
- 리더스 다이제스트
- 타임
-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
- 포브스
- 포춘
- 스켑틱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 seventeen
- 내셔널 지오그래픽
- GQ
- Wired
- 포린 어페어
- 플레이보이
- 로커스
- 위어드 테일즈
- 롤링 스톤
- 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드 팩트
- 더 매거진 오브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 어메이징 스토리스
- TV 가이드
- 유럽
- 그라치아 (이탈리아)
- 샤를리 엡도 (프랑스)
- Paris Match (프랑스)
- 슈피겔 (독일)
- 지빌레, 프라모(독일)[44]
- 키커 (독일)[45]
- 이코노미스트 (영국)
- NME (영국)
- 케랑! (영국)
- 카 매거진 (영국)
- 탑기어 (영국)
- T3 (영국)
- 월드 사커 (영국)
스트랜드 매거진(영국)[46]- Gay Times (영국)
- 중국
7. 관련 문서
[1] 잡지라는 단어 자체가 일본에서 magazine을 번역한 것이다.[2] 한편 같은 계열의 단어가 러시아어에서는 상점이라는 뜻이 된다. 국영 백화점 굼(GUM)의 M이 이 매거진.[3] 몇가지 예외는 있다. 스폰서 지원으로 발간되는 잡지는 제외하고, 우선 주로 무크나 전문지에 많은 형태로 고가에 판매하면서 광고는 줄이는 형태, 그리고 일본 주간 만화지에서 보듯 엄청난 물량과 원가절감으로 (소년 점프로 대표되는 만화잡지는 대부분 상품이라 보기도 애매한 저질 출판에 수백만부의 판매량이 겹쳐 실제 싼 가격보다도 원가가 낮았다) 이익을 챙기는 형태가 있다. 실제 일본의 잡지를 보면 어떻게든 원가를 낮추고자 지질을 낮추고 흑백인쇄로 때우는 페이지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은 그나마 부수도 적고 광고 불황까지 겹쳐 선택의 여지 없이 전자의 방향으로 달리는 잡지가 많다.[4] 다만 신문은 인쇄과정 자체가 다르고 단가가 싼 경우라 저렇게 공격적인 마케팅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이 신문조차도 허위 공시를 통한 거품 부수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점점 알려지고 있을 정도이다. 자세한 사항은 신문 항목 참조.[5] 열흘에 한 번씩 간행하는 것.[6] 구 인터넷한국일보. 한국아이닷컴을 운영하는 업체.[7] 원래는 종합지였으나 경쟁에서 밀리면서 성격을 바꿨다. 원래 한국일보사가 발행처였으나 2013년부터 한국미디어네트워크에 인수됨.[8] 원래 이름은 '뉴스메이커'였으나, 2008년에 '위클리경향'으로 바꾸고, 2011년에 다시 '주간경향'으로 이름을 바꿨다. 요새 짝퉁도 나온다고 하니 유사품에 주의하자.[9] 창간 당시의 이름은 뉴스플러스.[10] 창간 당시의 이름은 가정조선이었고 Feel을 거쳐 2000년부터 여성조선으로 나오고 있다.[11] 2002년 서울신문에서 분사.[12] 창간 당시의 이름은 주간매경.[13] 원래 일본 잡지인데,13년 5월에 한국에도 발을 넓혀 한국어판이 창간됐다[14] 인터넷판 사이트도 운영중인데, 전형적인 인터넷 언론의 구성을 취하고 있다.[15] 표지에 항상 여자모델을 등장시키기로도 유명하다. 맥심류 남성지같은 제법 수위있는 사진까진 아니고 그냥 평범한 정도.[16] 미국에 동일 명칭의 잡지가 있으며 한국의 잡지는 라이선스 버전이 아니다.[17] 두 잡지는 유가지는 아니나 항공사 밖에서 배포되는 경우가 있다.[18] 민항기보다 군사, 방산 관련 내용이 많다.[19] 2017년 발행 107년을 맞이하여 서울특별시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다[20] 원래 여행사 씨에프랑스의 홍보용으로 창간된 잡지이다. IMF에 씨에프랑스가 넘어가고 잡지는 따로 남았다.[21] 일본 리크루트사의 동명 잡지의 한국판. 타 여행잡지와 달리 패키지 여행사 상품정보 리플렛으로 시작한 잡지이다. 한국판의 경우 광고지 기능은 별도 잡지 ROAD ABC로 분리했다가 이 쪽은 사라졌으며, 일본 잡지 또한 2006년에 발간을 중지했다.[22] 무료판과 유료판 2가지가 있다. 리플렛 위주로 구성된 무료판은 여행사 대리점에서 받을 수 있다.[23] 우체국 취미우표통신판매 우수회원에게는 무료로 증정한다.[24] 실제로는 힙스터 문화에 더 가깝다[25] 사장이 돌연 잠적하여 2012년 7월호 이후 발간되지 않고 있다.[26] 1998년 1월호 이후 아무런 소식이 없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항목 참조.[27]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한국판[28] 웅진여성이 창간 3개월 만에 조기 폐간했는데, 조기 폐간의 결정적인 원인이 에이즈 복수극 조작 기사 때문에 자진 폐간한 걸로 알려져 있다.[29]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일본 만화가 25%대를 차지하는 등 만화 내용의 문제 뿐 아니라 학습지를 만드는 출판사의 이미지에도 손실을 끼쳤던 탓인지 11호 만에 조기 폐간되었다.[30] 잡지 커버가 보통 자연을 배경으로 한 스모선수 인물사진을 사용하는 기풍에 따른것으로 추정되는데, 실제 날짜와 배경 계절과의 위화감에 따른 문제로 여겨진다.[31] 그렇다. 바로 그 5공의 언론통폐합 시절이다. 이것 또한 언론정화의 일종으로 당시 정권의 요구로 만들어졌다.[32] 13년 5월에 한국에도 발을 넓혔다[33] 천문잡지이다[34] 사실 연예뿐만 아니라 IT 등 기타 서브컬쳐도 다루긴 한다. 다만 연예보도의 비중이 많으며 계열 웹진 상당수들이 연예 가십들을 다루고 있다.[35] 별다른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그때그때 유행을 소개하는 부류.[36] 말이 게임잡지이지 러키☆스타 히트 후에는 반쯤 만화잡지에 가깝다.[37] 사실상 에로게 전문잡지.[38] 한국의 동명 잡지와는 무관...은 아니고 1988년 8월 국내판 창간 당시 일본 모터매거진과 제휴 관계였으므로 한국어판에 가까웠다. 당시 일본 모터매거진 기사를 번역해 국내판에도 게재했고 일본에서 사진 촬영시에 사용했던 모터매거진 번호판도 국내 차량 취재에 그대로 사용하곤 했다. 그러다가 언제부터 별개의 관계가 된 듯.[39] 폭주족과 양카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어 폭주족과 양카 전용 잡지로 통한다. 일본 국내의 일부지역은 유해도서로 지정되어 있어 판매가 금지된 곳도 있다.[40] e.g. 메카무스메, 함대 컬렉션, 각종 병기 의인화[41] 미국을 근거로 전세계에 전개중인(한때 서울신문에서 한국어판도 발간했다) TV 가이드와는 지분관계가 전혀 없는, 도쿄뉴스통신사라는 뉴스에이전시 산하의 독자 간행물에 가깝다. 미국의 동명이지와 구별하기 위해 슈칸 테레비 가이도라고 불리나, 보통 일본 현지에서도 TV 가이드라 지칭되는 일이 많다. 다만 빨간색 박스에 잡지 제목이 명시된 로고는 유사한데, 이는 이 잡지 역시 미국 본지의 TV 가이드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주간 TV 가이드의 최초발행자인 오쿠야마 타다시가 미국 출장을 간 과정에서 미국의 가정마다 TV 가이드 잡지가 대중적으로 보급된데 영향을 받아 일본에도 TV 가이드같은 잡지 만들자! 해서 만들어진게 해당 잡지다. #.[42] 위의 종합 시사주간지와는 종이 두어 장 차이. 시사지와 달리 그라비아나 AV 등 말초적 연재를 중심으로 하나, 의외로 커버스토리는 정치, 사회 분야의 폭로 기사이다. 간신히 시사지 취급되는 주간문춘이 그라비아를 빼고 아닌 척 하면서도 정작 세일즈 포인트는 연예계 폭로인 것을 보면 그 차이는 정말 모호하다.[43] 미국의 플레이보이와는 무관하다. 우습게도 1966년 주간 플레이보이를 창간한 슈에이샤는 이후 1975년 미국 플레이보이의 일본판 라이선스를 따내어 2008년까지 월간 발행하였다.[44] 1956년부터 1995년까지 발행된 여성잡지로 동독 체제 선전의 첨병 역할을 한 잡지다.[45] 독특하게 주 2회 발행 체제이다. 신문과 잡지의 중간쯤.[46] 1950년을 마지막으로 폐간. 이렇게 오래된 잡지임에도 항목이 있는 이유는 이 잡지에 연재된 소설이 무려 셜록 홈즈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