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주간 단위로 발행되는 신문이나 잡지를 말한다. 대체로 한국에서 주간지라고 하면 주간 시사잡지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시사잡지 형태가 아닌경우 보통 가판대에서 판매되는 타블로이드 판형 시사/황색 주간지[1]를 의미한다.일간지와 비교할 때 주간지의 장점은 좀 더 장기적인 취재가 가능하단 점이다. 그때문에 주요 어젠다를 설정하거나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특성은 월간지에서 더 강해지지만. 다만 텀이 느린 탓에 일간지에 익숙한 사람들에겐 한 소리 또 하는 것 같다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그때문에 일간지와 비교하면 구독자 숫자가 현저히 떨어진다. 한국의 시사 주간지 가운데 1990년대에 한겨레21이 잘 나갈 때 15만부인가까지 나가기도 했지만 현재는 인터넷 등으로 종이 매체가 위력이 감소하면서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만화잡지들도 주간지의 형태를 띄었는데 한국에선 마지막까지 버틴 코믹 챔프가 2006년 하반기에 격주간지[2]로 바뀜에 따라 만화 주간지는 없다. 일본의 소년점프, 소년 매거진, 소년 선데이는 아직도 주간지이다.
2. 유명 주간지
2.1. 대한민국
아래 표는 한국ABC협회에서 발표하는 주간지 인증 중 유료부수 순으로 5위까지 나열한 것이다. 때문에 한국ABC협회에 참여하지 않는 주간지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국ABC협회 공인 대한민국 경제주간지 평균 유료부수 순위 2019년 기준 | ||
신문명 | 발행부수 | 유료부수 |
1 매경이코노미 | 61,673 | 39,266 |
2 한경BUSINESS | 20,848 | 15,466 |
3 이코노미스트 | 10,850 | 7,484 |
4 이코노믹리뷰 | 7,038 | 5,319 |
5 Money S | 6,100 | 3,057 |
한국ABC협회 공인 대한민국 시사주간지 평균 유료부수 순위 2019년 기준 | ||
신문명 | 발행부수 | 유료부수 |
1 시사IN | 43,300 | 33,385 |
2 시사저널 | 29,052 | 19,314 |
3 한겨레21 | 19,254 | 17,304 |
4 주간경향 | 17,131 | 14,075 |
5 내일교육 | 5,842 | 5,375 |
2.1.1. 분야별
- 경제
- 법조
- 법률신문:1950년 창간된 법조 주간신문(주2회 발행)으로, '한국법조인대관'을 간행하고 있다.
- 시사종합
- 시사IN: 2007년 시사저널에서 정직된 직원들이 만들었다. 2012년엔 유가부수 1위로 한겨레21을 제쳤다.
- 한겨레21: 한겨레에서 발행하는 주간지.
- 시사저널
- 주간경향: 뉴스메이커, 위클리경향 등의 제호로 왔다갔다 했다가 현재는 이 명칭으로 왔다.
- 미래한국: ㈜미래한국미디어에서 발행하는 주간지로 조선, 동아보다는 좀 더 오른쪽에 위치한 보수계열 주간지다. 부수는 비공개.
- 주간동아: 동아일보에서 나오는 시사주간지로 ABC협회에 가입하지 않아 부수는 미상이다.
- 주간조선: 모 매체인 조선일보가 오피니언 선점 등에서 초강세인데 비해 주간지에선 별 힘을 내지 못 하고 있다. 부수는 비공개.
- 주간한국: 1964년 한국일보에 의해 창간된 주간지로서 한국에서 가장 먼저 생긴 시사종합 주간지이다.
2.2. 미국
- Bloomberg Businessweek
- The Atlantic
- The New Yorker
- The Nation
- Mother Jones
- National Review
- The New Republic
- Newsmax
- Newsweek
- TIME: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의 세계 최대 규모 시사 주간지. 2019년 하반기에 평균 2,028,246부 발행.#
- U.S. 뉴스 & 월드 리포트
- WORLD
2.3. 영국
- 스펙테이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시사 주간지이다.
- 옵저버: 영국 가디언지의 주말판으로 UK 앱스토어에는 아이패드용 옵저버가 존재하는데 준수한 인터페이스와 퀄리티를 자랑하며, 사전과 동영상 기능도 제공한다.
- 이코노미스트: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시사, 경제 주간지로, 2018년 기준 800,727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 랜싯: 렐엑스의 자회사인 엘스비어에서 출간하고 있는 의학 주간지다. 의학계에서 상당히 권위가 높은 주간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을 계기로 전공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Hello! : 스페인어 잡지 ¡Hola!의 영국판.
2.4. 중화권
- 아주주간(亞洲週刊): 말레이시아에 적을 둔 중국 미디어 그룹에서 창간한 중국어 시사주간지로 홍콩과 대만, 싱가포르,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발행된다. 현재는 홍콩에 본사가 있다. 발행부수는 15만부 수준.
2.5. 프랑스
- 샤를리 엡도: 모두까기를 하다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게 테러를 당한 잡지사.
- Paris Match: 인기 대중지.
2.6. 독일
2.7. 스페인
- ¡Hola! : 인기 대중지
2.8. 일본
- 주간 킨요비: 주간 금요일이란 뜻이다.
- 주간 다이아몬드: 경제지.
- 주간 아사히: 아사히 신문에서 발행하는 주간지로 현재는 약 27만부 수준. 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시사주간지에선 제일 많지만 전체 주간지에선 중간 정도.
- 주간 신초(週刊新潮): 우익 성향의 주간지. 신문과 자매가 아닌 독자적인 시사 주간지로 주간 50만부.
- 주간문춘(週刊文春): 분케이슌슈(文藝春秋)에서 발행하는 시사 주간지로 일본 최대 부수다. 50만부가 조금 넘는다. 요미우리신문과 사이가 안 좋다. 정작 분케이슌슈는 유대인 비하하는 발언 실었다가 폐간된 마르코폴로를 발행했던 우익성향의 출판사이다.
한국경제랑 매일경제도 다 우익이지만 사이 안 좋은 걸 뭐 - 소년 점프
- 소년 챔피언
- 소년 매거진
- 소년 선데이
- 프라이데이
- S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