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04:08:52

머드

MUD에서 넘어옴
1. 영어단어 mud2. PC통신 서비스 MUD (Multi User Dungeon)
2.1. 개요2.2. 역사2.3. 현재 서비스 중인 머드2.4. 관련 링크2.5. 기타
3. 영화4.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1. 영어단어 mud

  1. 진흙, 진창을 뜻하는 영어 단어.
  2. 주유소에서 주는 질 낮은 커피에 대한 속어. 혹은 교도소에서 커피를 가리키는 은어. 출처 (3항).
  3. 초콜릿이 진하게 들어가는 과자류나 음료에 붙는 애칭.
    예: 초콜릿 머드 파이, 미시시피 머드 케이크.

2. PC통신 서비스 MUD (Multi User Dungeon)

2.1. 개요

파일:1001 videogame.jpg
[[죽기 전에 꼭 해야 할 비디오 게임 1001|'''죽기 전에 꼭 해야 할 비디오 게임''']]

가장 뛰어난 그래픽카드상상력을 사용하는 게임
- 셸든 쿠퍼
'텍스트 기반 넷핵류의 게임'+'PC통신의 접속환경' 이 이루어낸 막장제조 게임. 간단히 말해서 글만 나오는 온라인 게임이다.
적이 다가오면
깡패가 땅에 을 찍 내뱉으며 당신에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적이 공격을 하면
깡패가 당신을 향해 썩소를 날리며 왼손의 가운뎃 손가락으로 당신의 콧구멍을 공격합니다.
깡패의 공격이 명중했습니다. HP -11
깡패가 당신을 향해 비웃음을 날리며 오른손의 가운뎃 손가락으로 당신의 콧구멍을 공격합니다.
깡패의 공격이 빗나갔습니다.
이런 식.

게임에 접속할땐 "접속"이라고 직접 타이핑해야하고, 움직이고 싶다면 "이동" 명령 (보통 동, 서, 남, 북, 위, 아래, 동남, 동북, 서남, 서북의 10방위) 을 직접 타이핑해야 하고, 상대를 때리고 싶으면 적 이름과 함께 공격 명령을 직접 타이핑해야 하는, 마우스와 키보드 단축키만으로 어지간한 행동을 다 이루는 최근의 게임과 비교하면 상상만으로도 손이 피곤해지는 서비스.

채팅과 함께 사람들이 자판을 익힐 수 있게 도와주는 아주 유용한 서비스였으며, 그런 명목하에 채팅 서비스와 함께 수많은 사람들의 지갑을 탈탈 털어 갔던 정말 더러운 서비스.

ADSL이 보급되면서 인터넷 하루종일 해도 정해진 요금만 내게 되어 있지만, 1990년대에는 통신사별 월별 정액제 이외에 전화요금이 분당 따로 부과되었기 때문에 머드든 채팅이든 오래 접속해 있을수록 엄청난 수준의 전화요금을 부담해야 했다.[1][2][3] 그리고 머드는 그 중에서도 가장 중독성이 심했다. 당시 한국통신에게 있어서 많은 수익을 올리게 해준 고마운 게임이라 할수있을 정도.

간단히 말해서 오늘날의 FM, 온라인 게임 수준.

비주얼과 편의성 측면에서는 거의 0점에 가까운 시스템이었지만, 특징으로 보면 최초의 가상현실 사회에 가까웠기 때문에 요즘처럼 현실을 버리고 넷에 올인하는 사람들이 그 때도 많았다. 머드하느라 학점 빵꾸낸 사람, 머드하느라 고등고시 떨어진 사람, 머드하느라 직장에서 잘린 사람, 머드하느라 가정생활 제대로 못하게 된 사람 등이 부지기수. 그래도 당시 한국통신에게는 고마운 고객이기는 했다 당시 일부에서는 사회 문제로까지 취급할 만한 엄청난 중독성을 자랑했다. 그러니까 머드 역시 '미래로 가는 타임머신'이었던 셈이다. 여기에는 가장 낮은 차원에서 가상현실이 구현된 만큼 극한으로 높아진 자유도와 상상력만으로 자신이 들어온 가상현실을 재구성해야 하는 특유의 시스템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사람이란 동물은 정말 예나 지금이나 매한가지인 모양인지, 이 시기에도 매크로 및 봇이 판을 쳤기 때문에 몹의 리젠이 매우 짠 게임은 사냥터에 몹이 없어 사냥이 불가능하기도 했다.

2.2. 역사

1978년(!!)에 만들어진 MUD(Multi-User Dungeon) 이라는 게임이 이 분야의 최초 조상님이다. 위키백과 정보 이름 그대로 텍스트 기반의 멀티 유저 게임이며, 던전을 탐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TRPG를 컴퓨터로 옮겨 놓은 것과 유사한데, 실제로 많은 시스템이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을 차용하여 만들어 졌다. 이후 AberMUD나 LPMUD 같은 여러 다른 머드 게임들이 개발되었으며, 이 중 덴마크에서 만든 DikuMUD가 소스가 공개되면서 한국에도 유입되었다. 김지호 등 KAIST 전산과 학생들이 1990년대 초에 이 소스를 받아서 학교 서버에 몰래 설치하고 놀았던 것이 최초의 한국 상륙으로 여겨진다. 소스를 조금 고쳐서 '한글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일부 신규존을 붙인 것이 KIT-MUD 이다. 그 당시 한국과학기술대(KIT) 라고 불리던 KAIST 학부과정의 학생들이 진실머드 치악머드 MSD, 이브머드 나래 머드 소백머드, 코코넛머드 등 KIT-MUD 계열을 발전시켜나갔다. 나래머드의 나래는 김지호의 별명이었다. 이때 유입된 개발자와 사용자들이 학교 졸업 후 상업적 머드나 MMORPG 개발에 뛰어들게 된다. 이 당시의 흔적은 KIDS BBS의 아카이브## 에 남아있다.

1994년 7월 삼정데이터서비스에서 김성배(게임 기획 및 개발),송재경(LPMUD 한글화 처리) 등이 LPMUD 기반의 쥬라기 공원이란 게임을 천리안을 통해서 대한민국 최초로 상용 텍스트 머드 서비스를 출시했다.[4] 이와 거의 같은 시기에[5] 역시 KIT-MUD개발한 김지호 등 KAIST 전산과 출신이 모여 만든 단군의 땅나우누리(당시 나우컴) 및 천리안을 통해서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와 별개로 Mordor라는 머드 게임을 로컬라이징(?) 해서 만든 '무한대전' 도 유명했다. 이는 사설 BBS만이 아니라 유료 서비스들 중에도 무한대전의 엔진을 이용한 경우가 많았다.

이들 텍스트 머드가 한국에서 무료나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하여 기술과 인력, 상업적 기반과 고객 층을 확보한 것은 그당시 전세계 게임 업계의 변방에 불과했던 한국이 그래픽 MMORPG 를 미국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내놓게 되는 기반이 된다. 리니지나 바람의 나라 등 한국의 선구적 온라인 게임들의 초창기에는 개발자나 고객이나 모두 이런 텍스트 머드의 개발자나 이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이 대부분이었다. 텍스트 머드 바로 다음으로 나온 1세대 MMORPG 인 리니지바람의 나라는 계속 발전하며 2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서비스되고 있고 현재는 연간 매출이 1조원이 넘는 단일 게임으로 성장하였다. 이런 선구적 MMORPG는 세계나 한국 게임 계의 큰 주류로 성장하게되어 한국에서도 게임이 비로소 산업으로 자리잡게 하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쥬라기공원과 KIT 머드로 시작된 한국의 텍스트 머드의 성공은 한국의 게임 개발 역사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가져온 계기이다.

지금도 몇몇 웹게임이 텍스트만으로 서비스되어 예전의 향기를 불러일으키기도 하나, 키보드의 타이핑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마우스클릭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예전만큼의 손맛(?)은 느낄 수 없다. 30대 및 40대 중 타자실력이 출중한 사람이라면, 채팅과 머드 서비스를 통해 스스로의 극한을 보고 만 개폐인 PC통신 세대일 경우가 있을 것이다...

나중에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텍스트를 대신하여 컴퓨터 그래픽으로 머드의 가상현실을 구현한 형태의 게임이 등장했다. 이 게임들은 초창기에는 머드의 일종으로 여겨지고,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머드'라 하여 그래픽-머드(Graphic-MUD), 혹은 머그(MUG)라 했다.[6] 초기 온라인 게임인 바람의 나라리니지, 마지막왕국 등을 보면 게임상의 여러 상태/움직임들이 채팅창에 고스란히 텍스트로 표시되거나 명령어 입력을 통해 조작을 하는 등 머드 게임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게임들이 온라인 게임의 주류를 이루면서 머드가 끼는 이름 대신 MMORPG로 널리 알려지게 됐고, 머드는 텍스트 기반으로 서비스되는 쪽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2.3. 현재 서비스 중인 머드


한국 머드는 대체로 텔넷으로 서비스하고 Charset을 완성형인 EUC-KR로 설정 해줘야 제대로 출력된다.

텍스트 머드 커뮤니티에서 운영중인 머드
  • 꿈의 나라 (toox.co.kr:4000)
  • 안개무한 (toox.co.kr:5000)
  • 강호무림 (toox.co.kr:5800)
  • 제 3의 눈 하모니 서버 (toox.co.kr:6000)
  • 이프 온라인 (toox.co.kr:6025) [12]
  • 판타지 에이지 (toox.co.kr:6123)
  • 천상의 전설 (toox.co.kr:6255)

Dolba.net에서 운영중인 머드
  • 마계지문 (dolba.net:4000)
  • 천외천 (dolba.net:5200)

현재 접속 불가
그 외 텍스트 머드 클럽이나 텍스트 머드 커뮤니티에 간간히 홍보 게시글이 올라오므로 참조 요함

2.4. 관련 링크

텍스트머드커뮤니티 머드클럽 고블린 머드 카페 Judessic Park 사용자 모임 단군의 땅 외국의 머드 소개 사이트(영문)

웹에서 플레이 가능한 텍스트 머드 TextMUD.com

2.5. 기타

메신저로 머드를 부활시키려는 사업이 있었으나 똥망... msn으로 친구 등록하여 대화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터라 반응속도도 느리고 최대 글자수 제한 때문에 내용이 끊겨 나왔다. 거기다 안시까지 지원되지 않으니 가독성 제로. 로봇유저만 이용하다 결국 소리소문 없이 서비스가 중지되고 도메인까지 넘어갔다.

또한 'Twitch Plays Pokemon'라는 제목의 수천, 수만명이 채팅질을 통해 단체로 포켓몬을 플레이하는 게임이 나왔다. 관련기사 초기에는 적게는 4000명의 유저가 동시에 서로 자기가 하고싶은대로 설치니 개판이었는데, 몇천명의 유저가 합의(!)하는 식으로 플레이하여 기어이 엔딩을 보고야 말았다고. 온라인 게임에는 주변 사람들에게 민폐를 끼치는 어그로 만렙 관심 종자가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그야말로 인간승리.

현재 사설 BBS에서도 머드게임 목록이 있다. 혹시 머드게임을 해보고 싶은 사람은 참조.

3. 영화

제프 니콜스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매튜 매커너히가 주연 출연한 영화. 항목 참조

4.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드 더 스튜던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머드 더 스튜던트의 별명. 랩네임이 길어서 때때로 머드라고 불린다.[참고로]

[1] 심하면 월 80~100만원까지 나오는 사람도 있었다. 지금도 100만원이면 상당히 고액이지만 1990년대 당시에 100만원이면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대충 일반 직장인 한달 월급이 날라가는 수준이었고 저임금 노동자나 아르바이트 기준으로 치면 몇달 일해 번 돈을 송두리째 날려먹는 수준이었다.[2] 정액제로 운영되던 하이텔이 아닌 천리안의 경우는 종량제로 요금을 냈는데, 전화비+종량제요금 합쳐서 어마어마하게 요금이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3] 1997년 4월 1일에 시행된 야간/할인시간정액제에 가입하면 요금폭탄을 피할수있었다. 자세한건 PC통신 문서 참고.[4] '쥬라기 공원'의 명칭 라이센스는 한국에 출판된 동명의 어드벤쳐 북의 라이센스로 진행했으나, 쥬라기 공원이라는 명칭에 대한 상표권이 등록되지 않았기에 등장 인물의 이름을 변경하는 것으로 출판사와 합의하였다. 다만, LPMUD 의 상업적 이용 제한 규정은 어긴 셈이다. 그 다음 개발작인 바람의 나라, 리니지 등은 제대로된 라이센스 계약을 하고 개발했다.[5] 딱 일주일 차이가 난다.[6] 다만 여기서 머그(MUG)라는 단어는 콩글리쉬로서 실제로 영미권에서 MUG라는 단어는 Multi-User Game의 약자다. 보드게임이나 카드게임도 다수의 유저가 참여하니깐 MUG라고 쓸 수 있는 것. 다만 한국에 오면서 온라인 컴퓨터 게임만 지칭하는 것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7] KIT-MUD의 변종. 2018년 6월 부터 서비스 재개. 1990년대 초~중반 초창기 머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8] 위에서 언급된 삼정데이터서비스의 그 게임이 맞다. 4대 PC 통신사 서비스를 거쳐 삼정 이후에 라이센스를 인수한 피씨밴에서 텔넷 접속을 통해 유료로 서비스하던 2000년대 초반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2021년 라이브러리 개조를 통한 안정화 작업과 함께 약간의 변경사항이 생겼다.(전투시의 턴이 2초에서 1초로 줄었고 몹 리젠이 20분에서 5분으로 줄어서 나름 쾌적해졌다.)[9] 주소가 이상하다 싶겠지만, 2024년 8월 현재 운영되는 무림크래프트 서버 위에서 포트만 다르게 하여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10] 위의 무크 서버에서 구동중인 소스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소지품 부피 제한이라든가 더블백 미구현 등 오리지널리티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리뉴얼 됐다. 향후 임무7 관련 존인 스타존까지 확장 예정이라 한다.[11] 소스가 공개된 상태. 링크 참조[12] 도움말이 애매하다. 뭘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알 수 없다. 카페가 있으나 운영 중단 된지 오래 되었으며 도움말도 그다지 쓸모 있지는 않다.[13] 비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자반으로 사냥 중 죽었다는 메시지가 나온다며 운영자가 아이템을 마구 뿌리고 머드의 발전음 없다. 운영자의 간섭이 너무 심하다. 출석을 하면서 자반을 허용한다.[14] 마군이라는 개발자가 쥬라기 공원 2 데이터를 기반으로 HanLP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개발한 유사 게임. 이후 여러 차례 중단과 재개장을 반복한 끝에 2021년 12월 현재 새로운 직업과 지역이 추가된 Foretime 서버 버전으로 운영 중이며 업데이트가 계속 되고 있다. 게임 내 캐릭터가 사망하면 계정이 삭제되어 자고 일어나면 캐릭터가 사라져 이용자들을 좌절하게 만들었던 쥬데직 파크 하드코어 버전이 118.38.185.82:8888 주소로 오픈 되었다가 밸런스 붕괴로 2022년 10월 4일 폐쇄 되었다.[15] 운영자의 사이트가 해킹 당해 잠정 지원 중단이 되었다.[참고로] 여기서의 머드는 mud가 아니라 mudd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