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공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cc,#555> 화베이지구 | 京 베이징 서우두 · 베이징 다싱 · 시자오군용 · 사허군용 · 난자오군용 · 장자완군용 · 량샹군용 · 바다링통용 · 津 톈진 빈하이冀 스자좡 정딩 · 친황다오 베이다이허 · 탕산 산뉘허민·군용 · 한단 · 장자커우 닝위안민·군용 · 청더 푸닝晋 타이위안 우수 · 윈청 장샤오 · 창즈 왕춘민·군용 · 린펀 야오두 · 뤼량 다우 · 다퉁 윈강 · 신저우 우타이산민·군용 蒙 후허하오터 바이타 · 어얼둬쓰 이진훠뤄 · 후룬베이얼 하이라얼 · 바오터우 둥허 · 만저우리 시자오 · 퉁랴오 · 시린하오터 · 우란하오터 이러리터 · 우하이 · 츠펑 왕룽민·군용 · 얼렌하오터 사이우쑤 · 바옌나오얼 톈지타이 · 아얼산 이얼스 · 우란차부 지닝 · 자란툰 징기스칸 · 훠린궈러 훠린허 · 아라산쭤지 바옌하오터 · 아라산유지 바단지린 · 어지나치 타오라이 |
둥베이지구 | 辽 다롄 저우수이쯔 · 吉 창춘 룽자 · 연길 조양천민·군용 · 창바이산 · 쓰핑군용 · 퉁화 싼위안푸민·군용 · 바이청 창안민·군용 · 쑹위안 차간후 · 黑 하얼빈 타이핑 · 자무쓰 둥지아오 · 헤이허 아이후이 · 무단장 하이랑민·군용 · 치치하얼 싼자쯔민·군용 · 모허 구롄 · 이춘 린두 · 다칭 싸얼투 · 지시 싱카이후 · 다싱안링 어룬춘 · 푸위안 둥지 · 졘싼장 스디 · 우다롄츠 더두민·군용 | |
화둥지구 | 沪 상하이 푸둥 · 상하이 훙차오 · 충밍군용 · 다창군용苏 난징 루커우 · 창저우 번뉴민·군용 · 난퉁 싱둥 · 쑤난 숴팡 · 양저우 타이저우 · 쉬저우 관인 · 렌윈강 바이타부군용 · 렌윈강 화궈산 · 옌청 난양 · 화이안 롄수이浙 항저우 샤오산 · 항저우 젠차오군용 · 닝보 리서 · 원저우 룽완 · 저우산 푸퉈산 · 타이저우 루차오민·군용 · 이우민·군용 · 취저우민·군용徽 허페이 신차오 · 황산 툰시 · 푸양 시관 · 안칭 톈주산민·군용 · 츠저우 주화산 · 우후 솬저우 · 우후 완리군용闽 샤먼 가오치 · 赣 난창 창베이 · 징더전 뤄자 · 주장 루산민·군용 · 지안 징강산 · 간저우 황진 · 이춘 밍웨산 · 샹라오 싼칭산鲁 칭다오 자오둥 · 지난 야오창 · 옌타이 펑라이 · 린이 치양 · 웨이하이 다수이보민·군용 · 웨이팡 난위안민·군용 · 둥잉 성리 · 지닝 다안 · 르자오 산쯔허 · 허쩌 무단 · | |
중난지구 | 豫 정저우 신정 · 뤄양 베이자오민·군용 · 난양 장잉 · 신양 밍강민·군용 · 안양 훙치취鄂 우한 톈허 · 어저우 화후화물전용 · 샹양 리우지 · 이창 싼샤 · 언스 쑤자핑 · 선농자 훙핑 · 스옌 우탕산 · 징저우 샤스湘 창사 황화 · 창더 타오화위안 · 장자제 허화 · 융저우 링링민·군용 · 화이화 즈장 · 헝양 난웨 · 샤오양 우강 · 웨양 싼허 · 천저우 베이후粤 광저우 바이윈 · 산터우 와이사군용 · 선전 바오안 · 주하이 진완 · 지에양 차오산 · 잔장 우촨 · 포산 사디민·군용 · 후이저우 핑탄민·군용 · 메이셴 · 사오관 단샤민·군용 · 桂 난닝 우수민·군용 · 구이린 량쟝 · 구이린 치펑링군용 · 베이하이 푸청 · 류저우 바이롄민·군용 · 바이써 바마민·군용 · 허츠 진청강 · 우저우 시장 · 위린 푸몐琼 하이커우 메이란 · 싼야 펑황 · 충하이 보아오 · 싼사 융싱민·군용 · 융수다오 · 메이지다오 · 주비다오 | |
시난지구 | 渝 충칭 장베이 · 완저우 우차오 · 첸장 우링산 · 충칭 우산 · 충칭 셴뉘산川 청두 솽류 · 청두 톈푸 · 시창 칭산민·군용 · 몐양 난자오민·군용 · 주자이 황룽 · 다저우 허스 · 광위안 판룽 · 판즈화 바오안잉 · 난충 가오핑민·군용 · 간쯔 캉딩 · 다오청 야딩민·군용 · 아바 훙위안 · 루저우 윈룽민·군용 · 간쯔 거싸얼 · 이빈 우량예민·군용 · 바중 언양贵 구이양 룽둥바오 · 퉁런 펑황 · 씽이 완펑린 · 리핑 · 안순 황궈수 · 리보 · 쭌이 신단 · 비제 페이슝 · 카이리 황핑 · 리우판수이 웨자오 · 쭌이 마오타이云 쿤밍 창수이 · 시솽반나 가사 · 리장 싼이 · 디칭 샹그리라 · 바오산 윈루이 · 자오퉁 · 푸얼 쓰마오 · 더훙 망시 · 다리 · 린창 보샹 · 원산 푸쩌헤이 · 텅충 퉈펑 · 닝랑 루구후 · 창위안 와산 · 란창 징마이 · 藏 라싸 궁가민·군용 · 창두 방다민·군용 · 아리 쿤사민·군용 · 아리 푸란민·군용 · 린쯔 미린민·군용 · 르카쩌 허핑민·군용 | |
시베이지구 | 陕 시안 셴양 · 위린 위양 · 한중 청구민·군용 · 옌안 난니완민·군용 · 안캉 푸창甘 란저우 중촨 · 둔황 막고 · 자위관 · 칭양 시펑 · 진창 진촨 · 장예 간저우민·군용 · 간난 샤허 · 룽난 청셴 · 텐수이 마이즈산민·군용青 시닝 차오자바오 · 거얼무민·군용 ·위수 바탕 · 더링하 · 망야 화투거우 · 궈뤄마친 · 하이베이 치롄宁 인촨 허둥 · 인촨 시화위안군용 · 중웨이 사포터우 · 구위안 류판산新 우루무치 디워푸 · 카슈카르 라이닝민·군용 · 투르판 자오허 · 호탄 쿤강민·군용 · 카라마이 · 코를라민·군용 · 하미 이저우민·군용 · 쿨자 · 아러타이 · 아크수 훙치포민·군용타청 · 신위안 나라티 · 부얼진 카나쓰 · 보러 아라산커우 · 쿠처 쵸츠 · 스허쯔 화위안 · 푸윈 커커퉈하이 · 치에모 위두 · 야르칸드 예얼창 · 뤄창 로우란 · 툼슈크 탕왕청 · 위텐 완팡 · 자오쑤 톈마 · 아라얼 타리무 · 타스쿠얼간 훙치라푸 | |
특별행정구 | 港 홍콩(첵랍콕) · 섹콩군용 · 澳 마카오 | }}}}}}}}} |
무단장 하이랑 국제공항 Mudanjiang Hailang International Airport 牡丹江海浪国际机场 | |
width=100% | |
IATA: MDG / ICAO: ZYMD | |
개요 | |
국가 | 중국 |
주소 |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시안구 |
종류 | 민 ・ 군용공항 |
공항 등급 | 4C |
운영회사 | 군용 : 인민해방군 공군 북부전구 다롄기지 63여단 민용 : 수도공항집단 산하 헤이룽장성공항관리집단 |
관할기관 | 중국민용항공국 둥베이지구관리국 |
개항 | 1985년 9월 2일 |
허브 항공사 | 산둥항공 |
활주로 | 04R/22L 2600m 아스팔트 |
고도 | 139m (457 ft) |
좌표 | 북위 44도 31분 26초 동경 129도 34분 08초 |
지도 | |
[clearfix]
1. 개요
중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시안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헤이룽장 성에서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에 이어 두 번째 규모의 공항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하이랑 육군 비행장(海浪陸軍飛行場)으로 불렀다.
2. 역사
만주국 시대에 일본 관동군에 의해 건설된 하이랑 육군 비행장이 이 공항의 시초이며, 완성 후 1937년 8월 2일에는 제2비행집단 제8비행단사령부가 있었다. 그 후 제2비행집단은 1942년 4월 15일에 제2비행사단으로 개편되고 하이랑 육군 비행장에는 여덟째 항공 지구 사령부가 자리를 잡았다. 그러다가 태평양 전쟁에 소련이 참전하여 일본군이 패퇴하게 되어 1945년 8월 13일에 무단장은 소련군에 점령되었고 8월 15일에 일본이 무조건 항복한 후 이 공항은 팔로군에 의해 접수되어[1] 동북 민주련군 항공학교의 훈련 기지가 되었다.그리고 이오시프 스탈린이 죽고 스탈린 격하운동과 수정주의 논쟁이 벌어지며 1960년대 들어 중국과 소련의 대립이 격화되고[2], 소련 국경에 가까운 무단장 하이랑 공항은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에 최전선 기지로 대형 기체 지원을 위한 확장 공사가 진행됐다. 이 상태는 1970년대까지 지속되다가 1980년대가 되면서 중국에는 실용주의자로 서방과 화해를 추구하는 덩샤오핑이 집권하고 소련도 미하일 고르바초프 일명 고르비가 집권하여 중국과 소련 간의 관계가 호전됨에 따라 1985년 국내선만을 민간에 개방했다.[3]
그리고 1991년 소련이 독립국가연합으로 찢어지면서 소련조차도 붕괴된 지 오래인 2000년에는 국제선도 해금시켜 터미널 빌딩을 확장한 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海参崴)으로의 정기 항로를 개설했다.그 후 2005년 9월에는 한국행 노선도 개설되어 대한항공이 전세기를 시작으로 2009년 5월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인천국제공항 - 무단장 노선을 정식 취항했다.
대외 개방이 되고 나서 한참이 지난 현재까지도 인민해방군 공군 북부전구 다롄기지 63여단[4]과 공군 레이더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즉 민간과 군이 공동으로 사용중인 공항이다. 이 점은 삿포로 신치토세 공항과도 똑같다. 신치토세 공항 역시 러시아 공군과 대치하는 항공자위대의 최전선으로 항자대가 주둔 중이다. 중국은 이제 러시아와는 우호 관계이기 때문에 최전선 개념은 사라졌고 예비대 성격이다.[5]
2017년 8월 21일에는 민용항공국의 비준으로 국제공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8년 인근 하이린시에 무단장 다링 국제공항(牡丹江大岭国际机场)의 건설이 확정되어 2025년에 완공될 예정이며 민용기능은 폐지되고 군용기능으로만 사용될 전망이다.
3. 취항 노선
3.1. 국내선
항공사 | 편명 | 취항지 |
중국남방항공 | CZ | 선양, 다롄 |
중국국제항공 | CA | 베이징(서우두) |
중국동방항공 | MU | 옌타이, 칭다오 |
상하이항공 | FM | 다롄 |
하이난항공 | HU | 베이징(서우두) |
샤먼항공 | MF | 칭다오 |
청두항공 | EU | 푸위안, 헤이허, 모허계절편 |
3.2. 국제선
항공사 | 국적 | 편명 | 취항지 |
중국남방항공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CZ | 동아시아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서울(인천)주5회 |
대한항공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KE | 동아시아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서울(인천)주5회 |
[1] 팔로군에 인계하기 전 소련군이 점거했다.[2] 이 때 그 유명한 중소결렬과 중소 국경분쟁이 일어났다. 중소 국경분쟁에서 초강대국인 소련군에 참패한 중국 인민해방군은 이후 중인 국경분쟁에서 훨씬 약한 상대인 인도에 화풀이를 하며 나중에 중국군이 현대화를 서두르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이 사건을 계기로 중국과 미국 간 국교 정상화가 추진되어 1980년 로널드 레이건 정부 때 미국과 중국이 정식으로 수교한다. 그 전부터 밑밥은 닉슨, 카터 대통령이 소위 핑퐁외교로 깔았다. 시진핑과 도널드 트럼프 때문에 미중 무역분쟁 이미지만 갖는 어린 세대들이 보기에 의아할 수 있는데 미국과 중국은 원래 협력관계였고 후진타오 때만 해도 중국은 굳이 미국과 대결하려 하지 않았으며 되려 미국이 타이완 독립운동 성향의 천수이볜 당시 대만 총통을 외면했다.[3] 참고로 중국이 개혁개방을 선언한 해가 1979년이며 실제 외국인에게 개방은 그보다 훨씬 늦은 1987년 이후부터 추진해 왔다. 한중수교는 1992년이고 한국인이 중국본토에 본격적으로 여행이나 사업 등으로 들어가기 시작한 시기가 1995년이다.[4] J-7H로 구성된 비행단이다.[5] 현재 인민해방군 공군의 최전선은 역시 주적인 대만 공군 즉 대만 공군을 막아야 하는 남방전선이다. 여기에는 대만을 엄호하는 미국과 일본도 포함된다. 물론 정작 중국이 미국과 충돌은 또 원치 않아 실제 무력충돌로 가진 않지만 기싸움 식으로 양측 공군 대치는 늘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