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03:29:11

무로맨틱 스펙트럼


인간의 성(性) 특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bebeb,#3B3E45>생물학적 성
(Sex)
<colbgcolor=#f5f5f5,#1f2023>분류남성 · 여성 · 인터섹스
같이 보기성 지정 · 성결정계 · 생식(동성생식) · 생식 기관 · 무성별
성 정체성
(Gender identity)
분류시스젠더 · 트랜스젠더(트랜스여성 · 트랜스남성 · 트랜스섹슈얼) · 논바이너리/젠더퀴어(안드로진 · 바이젠더 · 트라이젠더 · 뉴트로이스 · 에이젠더 · 젠더리스 · 데미젠더 · 팬젠더 · 젠더플루이드 · 젠더플럭스 · 제노젠더) · 제3의 성 · 중성
같이 보기성별 · 젠더 · 젠더 시스템(젠더 이분법)
성적 지향
(Sexual orientation)
분류이성애 · 동성애(레즈비언 · 게이) · 남성애/여성애 · 양성애 · 무성애 · 유성애 · 다성애 · 전성애 · 범성애
같이 보기성적 끌림 · 성소수자 · 비성소수자 · 성적 정체성
로맨틱 지향
(Romantic orientation)
분류유로맨틱 · 이성로맨틱 · 동성로맨틱 · 여성로맨틱 · 남성로맨틱 · 양성로맨틱 · 다성로맨틱 · 전성로맨틱 · 범성로맨틱 · 무로맨틱 · 무로맨틱 스펙트럼
같이 보기로맨틱 끌림 · 연애(이성연애 · 동성연애 · 양성연애 · 비연애) · 로맨틱 정체성
성적 특성 질문
(Question)
분류퀘스처닝
같이 보기성 정체성 · 성적 정체성 · 로맨틱 정체성 · 젠더 표현 · 성별 비순응
}}}}}}}}} ||
성소수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1.8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373a3c> 주요 분류 성소수자 · LGBTQ+ (레즈비언(L) · 게이(G) · 양성애(B) · 트랜스젠더(T) · 무성애(A) · 인터섹스(I) · 퀘스처닝(Q) · 범성애(P) · BDSM(K))
상세 분류 인터섹스
트랜스젠더 (트랜스여성 · 트랜스남성) · 논바이너리 / 젠더퀴어 (안드로진 · 바이젠더 · 트라이젠더 · 뉴트로이스 · 에이젠더 · 젠더리스 · 데미젠더 · 팬젠더 · 젠더플루이드 · 젠더플럭스 · 제노젠더)
동성애 (레즈비언 · 게이) · 남성애 / 여성애 · 양성애 · 헤테로플렉시블 · 호모플렉시블 · 무성애 · 다성애 · 전성애 · 범성애
동성로맨틱 · 여성로맨틱 · 남성로맨틱 · 양성로맨틱 · 헤테로플렉스로맨틱 · 호모플렉스로맨틱 · 다성로맨틱 · 전성로맨틱 · 범성로맨틱 · 스콜리오로맨틱 · 무로맨틱 · 무로맨틱 스펙트럼
기타 분류 및 은어 크로스드레싱 (여장 · 남장 · 드랙 · 트랜스베스티즘 · 자기여성애) · BDSM · 후타나리 · 쉬메일 · 넷카마 · 넷나베 · 에세머 · 혐오 레토릭 · 젠더 표현
성전환 성 지정 · 성별 불쾌감 · 패싱 · 과정 · 성전환증 · 성전환 치료 · 호르몬 치료 · 얼굴 여성화 수술 · 얼굴 남성화 수술 · 가슴성형 · 성전환 수술 · 성전환수술자 · 탈성전환 · 데이비드 라이머 · 포스트젠더리즘 · 제3의 성 · 성별 비순응
현황 및 인식 성소수자 국가별 현황/대한민국 (동성애자 · 트랜스젠더 (병역 · 사회) · 인터섹스) · 성소수자 비하명칭 · 성소수자 인권단체/대한민국 (목록) · 성소수자 인권포럼 · 스포츠 · 퀴어 · 퀴어신학 · 퀴어 이론 · 퀴어학 · 얼라이 · 커밍아웃 · 오픈리 · 스텔스 · 아웃팅 · 성소수자 혐오 (호모포비아 · 게이포비아 · 레즈보포비아 · 자유주의적 호모포비아) · 바이포비아 · 트랜스포비아 (TERF · 트랜스여성혐오) · 반젠더주의) · 핑크워싱 · 이데올로기 (소수자 운동 · 성소수자 보수주의 · 성소수자 자유주의 · 성소수자 사회주의 · 트랜스페미니즘 · TIRF · 성해방주의 · 핑크자본주의 · 퀴어 내셔널리즘 · 호모내셔널리즘)
제도 및 이슈 탈동성애 운동 · DADT · 교정강간 · 여폭법 성소수자 배제 관련 논란 · 성소수자 없는 구역 · 소도미법 · 군형법상 추행죄 · 나중에 · 다했죠? · 차별금지법/대한민국 · 가족구성권 · 동성혼 · 시민결합 · 성별 정정 · 성중립 화장실 · 욕야카르타 원칙
논란 및 사건 사고 스톤월 항쟁 · 홍석천 커밍아웃 · 티나 브랜든 살인사건 · 배살구 피살사건 · 육우당 활동가 자살사건 · 비온뒤무지개 법인화 불허 논란 · 육군참모총장 동성애자 군인 색출 처벌 지시 사건 · 부사관 성전환 사건 · 트랜스젠더 숙명여대 합격자 입학 반대 논란 · 이태원 클럽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건 · 신촌역 성소수자 차별반대 광고 훼손 사건 · 김기홍 활동가 자살 사건 · 변희수 하사 자살 사건 · 오태양 성소수자 현수막 훼손 피해 사건 · 2023년 대구 퀴어문화축제 공권력 대치 사태
문화 대한민국 성소수자 커뮤니티 · 대중문화에서의 성소수자 · 은어 · 게이바 · 레즈비언바 · 트랜스젠더바 · 여장 클럽 · 프라이드 플래그 · 프라이드 퍼레이드 · 퀴어문화축제 · 게이 게임(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 위장결혼 · 팬픽이반 · 브로맨스 · 워맨스 · 까만봉지 · 잠방 · 게이 게임 · 퀴어 문학 · 퀴어 영화 · BL 작품 · 장미 작품 · 백합 작품
관련 인물 분류:게이 · 분류:레즈비언 · 분류:양성애자 · 분류:범성애자 · 분류:무성애자 · 분류:트랜스여성 인물 · 분류:트랜스남성 인물 · 분류:인터섹스 · 분류:논바이너리 · 분류:젠더퀴어 · 분류:성소수자 인권운동가}}}}}}}}}


1. 개요2. 설명3. 무로맨틱 스펙트럼에 속하는 로맨틱 지향성의 종류4. 같이 보기

1. 개요

한자: -
영어: Aromantic spectrum

무로맨틱 스펙트럼(Aromantic spectrum)이란 로맨틱 끌림에 관한 영역이며, 로맨틱 지향[1]이 관습적 또는 통상적인 로맨틱 끌림의 정의[2][3]에 부합하지 않는 여러 로맨틱 지향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2. 설명

무로맨틱 스펙트럼에 속하는 사람들은 타인에게 로맨틱 끌림을 잘 느끼지 않거나 거의 안 느끼기도 하고, 특정한 조건 하에서만 타인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낄 수도 있고, 로맨틱한 행위보단 무로맨틱한 경험이 자신들에게 더 잘 어울린다고 느낀다.

무로맨틱 스펙트럼에는 누구에게도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 않는 무로맨틱(Aromantic), 타인에게 로맨틱 끌림을 드물게 느끼거나 약하게 느끼는 회색로맨틱(Gray-romantic), 상대와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한 후에만 로맨틱 끌림을 느낄 수 있는 반로맨틱(Demiromantic) 등 여러 세부 지향성이 있고, 그러한 로맨틱 지향성을 통틀어서 무로맨틱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또한, 에이엄브렐라(A-Umbrella)[4]는 무성애 스펙트럼[5][6] 및 무로맨틱 스펙트럼에 위치해 있는 다양한 유형의 세부 지향성을 우산처럼 덮어서 통칭하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무로맨틱 스펙트럼(Aromantic spectrum)은 무성애 스펙트럼(Asexual spectrum)과는 다르다. 무성애 스펙트럼은 성적 끌림[7]에 관한 영역이며, 무로맨틱 스펙트럼은 로맨틱 끌림[8]에 관한 영역인데, 성적 지향(Sexual orientation)과 로맨틱 지향(Romantic orientation)은 별개이며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무성애자를 포함한 무성애 스펙트럼[9][10]유성애자로 분류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로맨틱을 포함한 무로맨틱 스펙트럼유로맨틱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즉, 그레이에이섹슈얼(Gray-Asexual), 데미섹슈얼(Demisexual) 등을 유성애자로 분류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레이로맨틱(Gray-romantic), 데미로맨틱(Demiromantic) 등은 유로맨틱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3. 무로맨틱 스펙트럼에 속하는 로맨틱 지향성의 종류

  • 무로맨틱(Aromantic): 누구에게도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 않는다.
  • 그레이로맨틱(Gray-romantic)[11]: 타인에게 로맨틱 끌림을 드물게 느끼거나 낮은 강도로 느끼거나 약하게 느낀다. 무로맨틱유로맨틱 사이의 회색 영역에 있다고 여겨지는 로맨틱 지향성이다.
  • 데미로맨틱(Demiromantic)[12]: 상대와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한 후에만 로맨틱 끌림을 느낄 수 있다.
  • 리시프로맨틱(Recipromantic): 상대가 자신에게 먼저 로맨틱하게 끌릴 때만 로맨틱 끌림을 느낄 수 있다.
  • 쿠피오로맨틱(Cupioromantic):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 않지만, 로맨틱한 관계를 맺기를 갈망한다.
  • 오토코리스로맨틱(Autochorisromantic)[13]: 연애적인 생각을 즐기지만, 대상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끼진 않고 그러한 상황에 참여하거나 당사자가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 아코이로맨틱(Akoiromantic)[14]: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만, 상호작용을 하거나 화답 받고 싶진 않고, 화답 받거나 자신이 끌리는 사람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게 되면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 않게 될 수 있고 불쾌해질 수 있다.
  • 프레이로맨틱(Frayromantic): 낯선 사람 또는 잘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만, 상대를 잘 알게 되거나 막상 친해지고 나면 흥미를 잃고 더 이상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 않는다.
  • 콰로맨틱(Quoiromantic)[15]: 플라토닉 끌림[16]과 로맨틱 끌림[17]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자신의 로맨틱 지향에 대해 확신을 갖지 못하고 의문을 느끼거나 전형적인 로맨틱 지향에 대한 개념을 거부한다.
  • 이뎀로맨틱(Idemromantic): 플라토닉 끌림[18]과 로맨틱 끌림[19]을 구분하지 못하며, 자신의 로맨틱한 흥미에 대한 감정은 플라토닉 끌림과 별로 차이나지 않고 절친에게 느끼는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콰로맨틱(Quoiromantic)의 하위 범주에 해당하는 로맨틱 지향성이다.

4. 같이 보기



[1] 연애적 지향 또는 연애 지향성이라고도 한다.[2] 로맨틱 끌림(Romantic attraction)이란 특정 성별(gender)에 로맨틱하게 끌리는 감정으로서, 유로맨틱인 사람이 특정한 다른 사람과 로맨틱한 관계(Romantic relationship)를 맺고 싶게 만드는 감정을 뜻한다.[3] 성적 끌림의 정의가 "유성애자가 특정한 다른 사람과 성적인 접촉을 하고 싶게 만드는 감정"을 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로맨틱 끌림의 정의는 "유로맨틱인 사람이 특정한 다른 사람과 로맨틱한 관계(Romantic relationship)를 맺고 싶게 만드는 감정"을 뜻한다.[4] 줄여서 '에이엄'이라고도 한다.[5] 무성애 스펙트럼(Asexual spectrum)은 성적 끌림에 관한 영역이며, 누구에게도 성적 끌림을 느끼지 않는 무성애자(Asexual), 타인에게 성적 끌림을 드물게 느끼거나 약하게 느끼는 회색무성애자(Gray-Asexual), 상대와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한 후에만 성적 끌림을 느낄 수 있는 반성애자(Demisexual) 등 여러 세부 지향성이 있고, 그러한 성적 지향성을 통틀어서 무성애 스펙트럼이라고 한다.[6] 무로맨틱 스펙트럼(Aromantic spectrum)과는 다르다. 무성애 스펙트럼은 성적 끌림에 관한 영역이며, 무로맨틱 스펙트럼은 로맨틱 끌림에 관한 영역인데, 성적 지향로맨틱 지향은 별개이며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7] 특정한 다른 사람과 성적인 관계를 맺고 싶은 끌림.[8] 특정한 다른 사람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고 싶은 끌림. 연애적 끌림 또는 연정적 끌림이라고도 한다.[9] 무성애 스펙트럼(Asexual spectrum)은 성적 끌림에 관한 영역이며, 누구에게도 성적 끌림을 느끼지 않는 무성애자(Asexual), 타인에게 성적 끌림을 드물게 느끼거나 약하게 느끼는 회색무성애자(Gray-Asexual), 상대와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한 후에만 성적 끌림을 느낄 수 있는 반성애자(Demisexual) 등 여러 세부 지향성이 있고, 그러한 성적 지향성을 통틀어서 무성애 스펙트럼이라고 한다.[10] 무로맨틱 스펙트럼(Aromantic spectrum)과는 다르다. 무성애 스펙트럼은 성적 끌림에 관한 영역이며, 무로맨틱 스펙트럼은 로맨틱 끌림에 관한 영역인데, 성적 지향로맨틱 지향은 별개이며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11] 회색로맨틱이라고도 한다.[12] 반로맨틱이라고도 한다.[13] 에이고로맨틱(Aegoromantic)이라고도 한다.[14] 리쓰로맨틱(Lithromantic)이라고도 한다.[15] WTF로맨틱이라고도 한다.[16] 특정한 다른 사람과 친구로서 친해지고 싶은 끌림.[17] 특정한 다른 사람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고 싶은 끌림. 연애적 끌림 또는 연정적 끌림이라고도 한다.[18] 특정한 다른 사람과 친구로서 친해지고 싶은 끌림.[19] 특정한 다른 사람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고 싶은 끌림. 연애적 끌림 또는 연정적 끌림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