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개요
일본 헤이안 시대 중기부터 후기까지의 관리, 시인. 아버지는 미노의 4등급 지방관이었던 미나모토노 도시스케{源俊輔)이다. 생전 종5위하, 황후궁소진 등을 지냈다고 하나 얼마 되지 않은 후에 출가하였다고 한다. 1110년 무렵에 처음 등장해서 여러 가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1120년 무렵에 사라져버렸다고 한다.칙선화가집 중 금엽화가집, 사화화가집, 천재화가집, 신칙선화가집, 신천재화가집에 도합 7수가 정리 되어 있다.
2. 백인일수
| 百人一首 백인일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2A33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번 | 제2번 | 제3번 | 제4번 |
| 제5번 | 제6번 | 제7번 | 제8번 | |
| 제9번 | 제10번 | 제11번 | 제12번 | |
| 제13번 | 제14번 | 제15번 | 제16번 | |
| 제17번 | 제18번 | 제19번 | 제20번 | |
| 제21번 | 제22번 | 제23번 | 제24번 | |
| 제25번 | 제26번 | 제27번 | 제28번 | |
| 제29번 | 제30번 | 제31번 | 제32번 | |
| 제33번 | 제34번 | 제35번 | 제36번 | |
| 제37번 | 제38번 | 제39번 | 제40번 | |
| 제41번 | 제42번 | 제43번 | 제44번 | |
| 제45번 | 제46번 | 제47번 | 제48번 | |
| 제49번 | 제50번 | 제51번 | 제52번 | |
| 제53번 | 제54번 | 제55번 | 제56번 | |
| 제57번 | 제58번 | 제59번 | 제60번 | |
| 제61번 | 제62번 | 제63번 | 제64번 | |
| 제65번 | 제66번 | 제67번 | 제68번 | |
| 제69번 | 제70번 | 제71번 | 제72번 | |
| 제73번 | 제74번 | 제75번 | 제76번 | |
| 제77번 | 제78번 | 제79번 | 제80번 | |
| 제81번 | 제82번 | 제83번 | 제84번 | |
| 제85번 | 제86번 | 제87번 | 제88번 | |
| 제89번 | 제90번 | 제91번 | 제92번 | |
| 제93번 | 제94번 | 제95번 | 제96번 | |
| 제97번 | 제98번 | 제99번 | 제100번 | |
| }}}}}}}}}}}} |
제78번 미나모토노 가네마사(源兼昌)
[ruby(淡路島,ruby=あわじしま)] かよふ千[ruby(鳥,ruby=とり)]の [ruby(鳴,ruby=なく)]く[ruby(声,ruby=こえ)]に [ruby(幾夜,ruby=いくよ)]ねざめぬ [ruby(須磨,ruby=すま)]の[ruby(関守,ruby=せきもり)]
아와지섬에 날아온 물떼새의 울음소리에 잠 못 들고 있는가 스마의 관문지기여
[ruby(淡路島,ruby=あわじしま)] かよふ千[ruby(鳥,ruby=とり)]の [ruby(鳴,ruby=なく)]く[ruby(声,ruby=こえ)]に [ruby(幾夜,ruby=いくよ)]ねざめぬ [ruby(須磨,ruby=すま)]の[ruby(関守,ruby=せきもり)]
아와지섬에 날아온 물떼새의 울음소리에 잠 못 들고 있는가 스마의 관문지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