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3 07:27:25

발렌틴 미허일러


파일:발렌틴 미허일러 25-26 시즌 프로필.png
<colbgcolor=#1d54ac>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No. 7
발렌틴 미허일러
Valentin Mihăilă
<colcolor=#ffffff> 본명 발렌틴 미하이 미허일러
Valentin Mihai Mihăilă
출생 2000년 2월 2일 ([age(2000-02-02)]세)
루마니아 타르고비슈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7cm / 체중 60kg
포지션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1d54ac><colcolor=#fff> 유스 가즈 메탄 핀타 (2008~2010)
아스타 프로이에슈티 (2010~2012)
CS 카사 보그단 (2012~2014)
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2014~2018)
선수 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2017~2020)
파르마 칼초 1913 (2020~2025)
아탈란타 BC (2022 / 임대)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2025~ )
국가대표 31경기 5골[1] (루마니아 / 2021~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선수
4.1.1. 대회 기록
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루마니아 국적의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이다.

2. 클럽 경력

2.1. 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2017년 10월 24일, 셉시 OSK와의 쿠파 로므니에이[2] 원정 경기에서 17살에 프로 데뷔를 했다. 2017-18 시즌은 데뷔전 1경기 출전에 그쳤지만, 다음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기회를 부여받기 시작했고, 2019년 4월 19일에는 자신이 유소년 시절 몸담았던 아스타 프로이에슈티를 상대로 프로 데뷔골을 넣기도 했다. 시즌이 끝난 뒤 자국의 명문 FCSB의 500만 유로 이적 제의를 거절하고 구단에 남아 한 시즌을 더 뛰었고, 2019-20 시즌 리그에서만 7골, 총 9골을 넣으며 발전된 득점력을 보여주었다.

2.2. 파르마 칼초 1913

2020년 10월 5일, 이탈리아의 파르마 칼초와 5년 계약을 체결하면서 세리에 A에 입성했다. 약 850만 유로에 이적을 했는데, 이는 루마니아 리그 역대 세 번째로 비싼 방출 이적료다.

파르마에 입단한 미허일러는 2021년 1월 3일에 치러진 토리노 FC와의 리그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1월 21일에는 SS 라치오와의 코파 이탈리아 16강전에 처음으로 선발 출전하여 동점골이자 자신의 데뷔골을 넣었지만 1-2로 패했다.

2021년 3월 7일, ACF 피오렌티나전에서 야스민 쿠르티치의 패스를 받아 리그 첫 골을 터트렸고, 팀은 3-3으로 비겼다. 다음 경기 AS 로마전에서는 전반 9분 국대 동료 데니스 만의 어시를 받아 선제골을 터트리며 2-0 승리를 이끌면서 4개월만에 리그 승리에 힘을 보탰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부진에 빠진 파르마는 결국 세리에 B로 강등되고 말았다.

2022년 8월 12일, SSC 바리와의 경기에서 멋진 프리킥 득점을 해내며 시즌 첫 골을 만들어냈다. 경기는 2-2 무승부.

2.2.1. 아탈란타 BC (임대)

2022년 1월 31일, 아탈란타와 이적 옵션이 포함된 임대 계약을 체결하면서 오래간만에 세리에 A로 복귀했다.

리그 5경기, 컵 대회 2경기 출전에 그쳤고, 이적 옵션 조항이 발동하지 않게 되면서 시즌 종료 후 파르마로 복귀했다.

2.2.2. 2023-24 시즌

세리에 B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파르마의 승격에 공헌했다. 6골 2도움 기록.

2.2.3. 2024-25 시즌

2024년 7월 1일, 2027년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리그 4R 우디네세전에서 델프라토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했다. 그러나 팀은 2:3 패배.

이후로도 계속 주전으로 나오곤 있지만, 같은 루마니아 국적의 동료 에 비하면 저조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리그 13R 아탈란타전에서 칸첼리에리의 추격골을 어시스트했다. 시즌 2호 어시스트였으나 팀은 1:3 패배.

리그 18R 몬차전에서 후반 추가시간 막판인 98분, 코너킥을 통해 발렌티의 헤더골을 어시스트하며 의 승리를 이끌었다. 시즌 3호 어시스트.

리그 23R 레체전에서 우측 허벅지 부상을 입으며 최소 1개월 이상 결장하게 되었다.
2.2.3.1. 이적 사가
시즌 종료 후, 발렌틴 미허일러가 부상 복귀 후에도 경기에 출전하지 못해 충격을 받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US 레체, 올림피아코스 FC 등으로부터 이적설이 떠오르고 있다.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이적에 가까워졌다.

2.2.4.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2025년 7월 19일,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로 이적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2021년 3월, 북마케도니아독일 그리고 아르메니아와의 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 3연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소집됐다. 그리고 3월 25일, 북마케도니아전에 출전하여 두 번째 골을 터트리면서 자신의 데뷔골을 기록했다. 경기는 3-2 루마니아의 승리로 끝났다.

2023년 6월 19일, 스위스와의 유로 2024 예선전에서 후반 교체 출전해 89분과 90'+2분에 만회골과 동점골을 넣으며 팀을 패배의 수령에서 구해내는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그 후 미하일러는 자국에서 열리는2023 U-21 UEFA 챔피언십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부상으로 불참했다.

4. 기록

4.1. 선수

4.1.1. 대회 기록

5. 여담

파일:Shootingrosa_white-0689-copia-20230907120936.png
골 세레머니로는 위 프로필 사진처럼 오른쪽 소지를 입에 무는 제스쳐를 보여준다.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DD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000>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1 플로린 니처
(Florin Niță)
1987년 7월 3일 ([age(1987-07-03)]세) 19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가지안테프 FK
12 호라치우 몰도반
(Horațiu Moldovan)
1998년 1월 20일 ([age(1998-01-20)]세) 7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16 슈테판 터르노바누
(Ștefan Târnovanu)
2000년 5월 9일 ([age(2000-05-09)]세) 1 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FCSB
DF 2 안드레이 라치우
(Andrei Rațiu)
1998년 6월 20일 ([age(1998-06-20)]세) 13 1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요 바예카노
3 라두 드라구신
(Radu Drăguşin)
2002년 2월 3일 ([age(2002-02-03)]세) 1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4 보그단 라코비찬
(Bogdan Racovițan)
2000년 6월 6일 ([age(2000-06-06)]세) 0 0 파일:폴란드 국기.svg 라쿠프 쳉스토호바
11 니쿠쇼르 반쿠
(Nicușor Bancu)
1992년 9월 18일 ([age(1992-09-18)]세) 32 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15 안드레이 부르커
(Andrei Burcă)
1993년 4월 15일 ([age(1993-04-15)]세) 23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오크두드 클럽
23 데이안 소레스쿠
(Deian Sorescu)
1997년 8월 29일 ([age(1997-08-29)]세) 14 0 파일:폴란드 국기.svg 라쿠프 쳉스토호바
- 아드리안 루스
(Adrian Rus)
1996년 3월 18일 ([age(1996-03-18)]세) 12 0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포스 FC
- 안드레이 보르자
(Andrei Borza)
2005년 11월 12일 ([age(2005-11-12)]세) 0 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FC 라피드 부쿠레슈티
MF 5 블라디미르 스크레치우
(Vladimir Screciu)
2000년 1월 13일 ([age(2000-01-13)]세) 3 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6 마리우스 마린
(Marius Marin)
1998년 8월 30일 ([age(1998-08-30)]세) 1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사 SC
8 알렉산드루 치클더우
(Alexandru Cicâldău)
1997년 7월 8일 ([age(1997-07-08)]세) 33 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콘야스포르
10 니콜라에 스탄치우 파일:주장 아이콘.svg
(Nicolae Stanciu)
1993년 5월 7일 ([age(1993-05-07)]세) 64 1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다마크 FC
13 발렌틴 미허일러
(Valentin Mihăilă)
2000년 2월 2일 ([age(2000-02-02)]세) 16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르마 칼초 1913
14 이아니스 하지
(Ianis Hagi)
1998년 10월 22일 ([age(1998-10-22)]세) 29 3 파일:스페인 국기.svg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17 플로리넬 코만
(Florinel Coman)
1998년 4월 10일 ([age(1998-04-10)]세) 10 1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FCSB
18 러즈반 마린
(Răzvan Marin)
1996년 5월 23일 ([age(1996-05-23)]세) 50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19 다리우스 올라루
(Darius Olaru)
1998년 3월 3일 ([age(1998-03-03)]세) 14 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FCSB
20 데니스 만
(Dennis Man)
1998년 8월26일 ([age(1998-08-26)]세) 20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르마 칼초 1913
21 올림피우 모루찬
(Olimpiu Moruțan)
1999년 4월 25일 ([age(1998-04-25)]세) 13 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MKE 앙카라귀쥐
FW 7 데니스 알리벡
(Denis Alibec)
1991년 1월 5일 ([age(1991-01-05)]세) 35 4 파일:카타르 국기.svg 무아이다르 SC
9 데니스 드러구슈
(Denis Drăguş)
1999년 7월 6일 ([age(1999-07-06)]세) 6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트라브존스포르
- 다니엘 비를리헤아
(Daniel Bîrligea)
2000년 4월 19일 ([age(2000-04-19)]세) 1 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FR 클루지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0월 15일
}}}}}}}}} ||
1 니처 · 2 라티우 · 3 드라구신 · 4 루스 · 5 네델챠루 · 6 마린 · 7 알리벡 · 8 치클더우 · 9 푸슈카슈 · 10 하지 · 11 반쿠 · 12 몰도반 · 13 미허일러 · 14 올라루 · 15 부르커 · 16 터르노바누 · 17 코만 · 18 러즈반 · 19 드러구슈 · 20 · 21 스탄치우 · 22 모고슈 · 23 데이안 · 24 라코비찬 · 25 비를리게아 · 26 아드리안
파일:UEFA EURO ROU.png 에두아르드 이오르더네스쿠

[1] 2025년 10월 13일 기준.[2] 루마니아의 컵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