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민항기 | ||
협동체 | 광동체 | ||
<colbgcolor=#d4def7,#666> 쌍발기 |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 |
3발기 | 727 | - | |
4발기 | 707 |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 |
초창기 모델 | 247 · 307 · 314 · 377 · 367-80 | ||
개발 중단 / 개발 중 |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 ||
군용기 | |||
훈련기 | T-7 | ||
전투기 | P-26 · F-15E/EX · F/A-18E/F · F-47 | ||
전자전기 | EA-18G | ||
폭격기 | B-9 · B-17 · B-29 · B-47 · B-52 | ||
수송기 |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 ||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4 • E-6 · E-8 · E-767 · E-7 | ||
공중급유기 | KC-97 · KC-135 · KC-767 · KC-46 | ||
대잠초계기 | P-8 | ||
무인기 | MQ-25 ·MQ-28 | ||
헬리콥터 | CH-46 · CH-47 · A/M/EH-6 · AH-64D/E | ||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 버드 오브 프레이 | ||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 |||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Boeing Bird of Prey |
1. 개요
버드 오브 프레이는 스텔스 기술과 새로운 항공기 설계 및 제작 방법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 보잉의 1인승 기술 시연기이다. 프로젝트는 1992년부터 1999년까지 진행되었으며, 기체 자체는 1996년 하반기에 첫 비행을 시작했다. 정부의 자금으로 만든것이 아니라 보잉이 자체적으로 기술 실증용으로 제작한 것이기에 X 실험기 시리즈와 달리 X-00 같은 제식명은 없다.2. 제원
Boeing Bird of Prey | ||
길이 | 14.22m | |
폭 | 6.91m | |
높이 | 2.82m | |
최대이륙중량 | 3,356 kg | |
엔진 | 프랫 & 휘트니 JT15D-5C 터보팬 × 1 | |
최대속도 | 482 km/h |
3. 상세
총 38회의 비행을 통해 버드 오브 프레이는 항공기가 육안과 레이더에 덜 관측되도록 하는 방법을 시험했다. 또한 대형 일체형 복합 구조, 컴퓨터 기반 설계 및 조립 등을 사용하여 항공기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새로운 방법을 검증했다. 보잉은 여기서 얻은 기술을 X-32 JSF 시연기와 X-45A UCAV 프로토타입에 적용했다.[1] 해괴하게 생긴 외형 때문에 비행이 어려울 것 같으나, 의외로 공기역학적으로는 안정적이기 때문에 컴퓨터의 도움을 받는 플라이 바이 와이어 같은 기술도 쓰지 않았다. 또한 전통적인 유압장치만 이용하였기에 덕분에 개발비용 및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