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02:58:24

MQ-25

파일:보잉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보잉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민항기
<colbgcolor=#d4def7,#666>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717(MD95) · 737(오리지널 · 클래식 · NG · MAX) · 757 767 · 777(-200 · -300 · 777X) · 787 드림라이너
3발기 727 -
4발기 707 747(-100 · -200 · SP · -300 · -400 · -8 · 특수목적용)
초창기 모델 247 · 307 · 314 · 377 · 367-80
개발 중단 / 개발 중 2707 · 7J7 · 소닉크루저 · NMA
군용기
훈련기 T-7
전투기 P-26 · F-15E/후기 개량형 · F/A-18E/F
전자전기 EA-18G
폭격기 B-9 · B-17 · B-29 · B-47 · B-52
수송기 C-135 · C-137 · VC-137 · VC-25 · C-32 · C-17 · C-40
조기경보기 / 지휘관제기 OC-135 · RC-135 · WC-135 · EC-135 · E-3 · E-6 · E-8 · E-767 · E-4 · E-7
공중급유기 KC-97 · KC-135 · KC-767 · KC-46
대잠초계기 P-8
무인기 MQ-25 ·MQ-28
헬리콥터 CH-46 · CH-47 · A/M/EH-6 · AH-64D/E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YC-14 · X-32 · X-48 · YAL-1 · B-1R · F-15SE · 팬텀 레이
인수 합병 및 공동 개발
맥도넬 더글라스의 항공기 · F-22 · B-1 · V-22 · 디파이언트 X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Boeing MQ-25 Stingray

1. 개요2. 상세3. 개발과정4. 미디어

1. 개요

보잉이 개발한 함상용 무인 급유기. 관련 외신 기사

2. 상세

X-47 등의 경쟁자들과는 판이하게 다르게 스텔스를 신경쓰지 않은 외형을 하고 있다. 이는 의도된 것으로 무인 공격기에서 무인 급유기로 전환된 관계로 스텔스 능력이 거의 필요 없어진 만큼 스텔스를 위해 채용되었던 전익기 형상을 버리고 보수적인 설계로 접근한 기체다.[1]

스텔스성을 포기하고 보수적인 설계를 도입했어도 새로운 설계를 많이 도입했다. 엔진은 트리톤의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하며, 동체 또한 전익기 형상을 버리긴 했지만 V테일이 적용되었고, 공기흡입구도 저피탐 설계가 적용되어서 완전한 스텔스까진 아니더라도 저피탐 능력을 제공한다. 전체적인 형상은 미 공군에서 개발되고 있는 스텔스 무인공격기인 XQ-58A와 비슷한 편으로, 물론 XQ-58A나 X-47처럼 본격적인 스텔스기를 지향하지는 않으므로 두 기종에 비해서는 스텔스성에 대한 고려가 덜 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3. 개발과정

미 해군은 원래 UCLASS라는 다목적 무인기 개발사업을 추진했었다. 여기에 록히드 마틴, 노스롭 그루먼, 보잉, 제네럴 아토믹스 등의 내로라 하는 무인기 개발사들이 참가해 제안안을 제출했다. 록히드 마틴은 RQ-170에 기반한 기체를 제시했고 제네럴 아토믹스는 자사의 어벤저 무인기에 기초한 기체, 노스롭 그루먼은 X-47에 기반한 기체, 보잉은 X-45의 확장형 형태라 할 수 있는 팬텀 레이라는 기체를 제시했다.

하지만 UCLASS는 엄청난 규모의 사업이었기 때문에 F-35 등 다른 최우선 사업에 들어갈 예산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업은 계속 지연되었고, 사업을 가지치기할 필요가 있었다. 참여한 업체에서도 사업방향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고,[2] 대부분 후보기종의 개발이 크게 진척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미 해군은 그 의견을 수용하여 기존 사업을 뒤엎고 CBARS라는 무인 급유기 사업으로 전환시켰다. 이때 보잉은 기존의 팬텀 레이가 이 사업에는 적당하지 않은 기종으로 판단했는지 보수적으로 설계된 아예 새로운 설계안으로 변경했다. 이 설계안이 지금의 MQ-25 스팅레이이다.
본래 미 해군은 항모전단에서 운영할 급유기로 KA-6 함상급유기를 운용했다. 그리고 KA-6가 전부 퇴역한 후에는 F/A-18E/F 전술기에 공중급유 포드를 달아서 서로를 급유해주는 식으로 급유를 했다. 이 방식은 전투임무에 투입될 전술기를 급유 임무용으로 돌려야 한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으며, 탑재 가능한 연료량도 매우 적다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전문적인 급유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던 시기였다.[3]

항모에서의 운용을 포기하고 KC-46을 해외 육상 기지에 배치해 놓고 운용하는 것도 또다른 방안이긴 하지만 이 방법은 육상기지의 항속거리가 닿지않는 원양에서 급유기 작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와 함에서 긴급하게 급유기를 전개해야될 상황(연료 부족으로 모함 귀함이 힘든 기체 발생, 착함 대기중 연료 고갈 등)에 대응할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미군이 버디 투 버디 급유라도 써 왔던게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2024년부터 취역 예정이다. 또한 도입 시기가 더이상 멀지 않게 되어 MQ-25를 운용할 오퍼레이터들을 2022년부터 받을 예정이다. 미 해군은 올해부터 무인기 운용을 위한 AVO[4] 특기 준사관을 선발할 예정인데, 여기에는 MQ-25와 RQ-4 또한 포함될 것이라고 하였다.
파일:MQ-25_Stingray_001.webp파일:MQ-25_Stingray_002.jpg
2021년 6월 4일. 첫 공중급유 테스트에서 급유에 성공하였다.# 덧붙여 위의 사진들은 XQ-58AX-47 등과는 달리 RQ-4MQ-9 등처럼 폭이 넓은 주익을 갖고 있는 MQ-25의 외형상 특징이 잘 드러나 있는 사진들이기도 하다.

2021년 8월 5일 보잉은 미 해군 전투기와 짝을 이룬 MQ-25A 스팅레이의 첫 유무인 팀 테스트를 실시, 무인 급유기가 공중에서 조종사의 명령을 받고 임무 변화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4. 미디어



[1] 한편 다른 경쟁자들은 원본 UCAV 설계 그대로 급유기로 바꿔서 다시 제안을 했다.[2] 보잉과 제너럴 아토믹스가 의견을 제시했다는 이야기가 있다.[3] 이 과정 중에서 V-22기반 급유기등이 제안되었지만 반려되었다.[4] Aerial Vehicle Op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