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358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3586>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구청 구포동 | 금곡동 | 덕천동 | 만덕동 | 화명동 | }}}}}}}}} |
북구의 법정동 구포동 龜浦洞 | Gupo-dong | |
<colbgcolor=#1d3c8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행정표준코드 | 2632010500 |
관할 행정동 |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
하위 행정구역 | 88통 415반 |
면적 | 5.53㎢ |
인구 | 58,996명[A] |
인구밀도 | 10,668.35명/㎢ |
전경 |
지도 |
1. 개요
구포동은 부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이며 협소하게는 구포동만을, 넓게는 그 일대를 지칭한다.본래 구한말 양산군 좌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06년에 칙령 제 49호에 의하여 좌이면이 오늘날 부산광역시의 전신인 동래부로 이관되면서 함께 편입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경성부를 제외한 최초의 은행이 출범했고[1912년] 부산에서 3.1 운동이 일어난 지역[3]이다.
부산부(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의 일본인 중심 도심지)와 동래 다음으로 우체국이 설립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 부산부를 제외하고 최초로 극장이 생긴 부산의 지역이다.[4]
한반도 최초의 1km가 넘는 다리가 생긴 지역이다.[낙동장교(구포다리).]
낙동강을 끼고 있고 그로 인해 교통 및 철도 그리고 상업으로 번성한 동네다.
기차역 교통을 기준으로 보자면 한강의 번성한 상업 포구에서 부도심을, 서울역의 서브 철도역 역할까지 서울 영등포와 비슷한 포지션이다.[6]
인근 시외버스 교통을 기준으로 보자면 서울 사당동과 비슷한 포지션이다.[7]
부산광역권의 교통의 요지에 해당된다.[8]
예전 원도심의 중심은 남포동에 해당되었지만 시가지가 커짐에 따라 지금의 중심은 서면에 해당된다.[9] 하지만 서울도 시가지가 확장됨에 따라 수도권으로 불리고 경기도와 확장한 개념으로 시가지 지형이 바뀌었다고도 볼수 있는데. 부산.김해.양산의 중심을 보면 구포(덕천)지역의 덕천교차로 동서남북의 교통의 센터이다.
지도를 보고 해당지역의 가운데를 보면 구포(덕천), 북쪽으로 양산, 서쪽으로 김해, 동쪽으로 동래, 남쪽으로 사상이다.
부산시내진입도 요긴한데 옆동네[10]로 이동하면 백양터널이 나와 서면, 부산역, 남포동 진입이 매우 요긴하다. 다른 옆동네 [11]로 이동하면 만덕터널이 나와 동래진입이 가능하며 다른 옆동네[12]로 이동하면 산성터널이 나와 금정구 부산대 진입이 요긴하다. 낙동대로와 강변대로가 매우 잘닦여 있어 부산 사상, 사하 방향도 매우 좋다. 부산 지도를 펴놓고 종합적인 교통만을 보면 누가봐도 구포 덕천 지역이 매우 좋다.[13]
여느 커뮤니티에 부산의 서울로 검색하면 나오는 동네[14]
낙동강 다리 자체가 최초로 생긴 동네이며 낙동강을 끼고 있어 구포대교를 건너면 대저생태공원이 위치하고 화명생태공원과도 붙어 있어 사실상 낙동강 유역3개의 공원을 모두이용하기 유리한 동네.[15]
부산광역시 북구 개설이래 현재까지도 북구청 소재지이다. 이전에는 구포읍 구포리, 구포읍 덕천리, 구포읍 화명리 같은 주소였기에 넓게는 북구전체가 구포라는 지명으로 봐도 된다.[16]그래서 덕천교차로 자체가 구포동과 덕천동의 경계하는 동네이기도 하고 은행의 지점등을 낼때도 구포지점이라는 단어로된 간판이 많다.[17]
부산시내 교통표지판에도 북구 방면은 대개 구포로 표기 되어 있고 나이많은 이들은 북구일대를 구포라고 부른다.[18]
옛 지명인 거뵈개를 한자로 옮긴 것에서 비롯된 지명으로 옛 동래군 구포읍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역사를 이야기하자면 조선시대부터 물자를 운송하는 구포나루터가 있어 해당 인근지역에 엄청난 물자(1년 국가예산의 1/12 의 규모가 몰렸을정도)가 모여 상권이 형성되어 구포시장이 만들어 졌으며 전국 시장중에서도 손꼽히는 400년 역사와 상설시장과 5일장을 함께 하는 전국 최대규모로 통한다.이러한 교통의 요지에서 일제강점기에 경부선인 구포역을 개설하여 해당 지역에 각종물자가 모여들게 되어 상업도시로 서울을 제외한 지방 최초의 은행인 구포은행이 만들어지게 된다.(금융업이 발달할만큼 사람과 물자가 모여들었다는것)
1904년 경부선 구포역,[19] 1933년 낙동장교 (구 구포다리),[20] 구포대교 하나 건너면 김해공항이 나오는등 지금도 부산의 교통의 관문의 성향이 짙다.
여담으로 구포만세329라는 지역 수제맥주도 나와있다.[21]
역사가 워낙 오래된 동네이기 때문에 단독주택과 빌라가 꽤나 많지만 서서히 재개발로 아파트촌으로 바뀌어 가는곳. 2020년대에 완공된 아파트와 1920년대에 완공 됐을 적산가옥이 함께하는 곳이다. 김해시, 양산시로 왕래하기 가장 좋은 위치이다. 덕천교차로를 기점으로 북쪽은 양산방향 서쪽은 구포대교를 타고 김해 방향이다. 그래서 김해, 양산버스가 구포를 거치는 경우가 엄청 많다.[22]
서부산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구포 동원로얄듀크 비스타[23]가 이곳에 있다.
- 체험 및 관람 명소
- 역사적 명소
- 특산물
2. 관할 행정동
2.1. 구포1동
북구의 행정동 구포제1동 龜浦第一洞 | Gupo 1(il)-dong | |||
<colbgcolor=#1d3c8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320023 | ||
관할 법정동 | 구포동 | ||
하위 행정구역 | 24통 109반 | ||
면적 | 1.15㎢ | ||
인구 | 15,897명[A] | ||
인구밀도 | 13,823.48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북구 갑 | |
| 전재수 (3선) | ||
부산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 박대근 (초선) | ||
북구의원 | 가 선거구 | |||
| 김정방 (재선) | ||
| 김정원 (초선) | ||
| 김태식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백양대로1172번길 18[33] | ||
구포1동 행정복지센터 |
구포동에서 제일 중심이 되는 동네.[34] 구포역과 구포시장 덕천교차로를 인접한 동네이다.
구포역의 경우 요즘엔 KTX가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부산역 다음의 역이다보니 동래 지역 및 김해 양산 사람들이 이용하러 많이 온다.[35]
구포시장의 경우 400년 전통의 상설&5일장으로 단일 전통시장규모로 부산에서 제일 클 뿐만아니라 전국에서 손꼽히는 규모이다.[36]
워낙 오래된 동네였다보니 구포역인근에는 아직도 적산가옥의 흔적을 발견할수 있고 그외 오래된 주택을 종종 볼수 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와서는 서서히 재건축 및 재개발이 일어 나고 있다.[37]
서부산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구포 동원로얄듀크 비스타가 이곳에 있다.
구포역과 덕천역을 이용하여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 모두 이용할수 있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구포당숲[38]이 이 동에 있다.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중 하나이다.
[clearfix]
2.2. 구포2동
북구의 행정동 구포제2동 龜浦第二洞 | Gupo 2(i)-dong | |||
<colbgcolor=#1d3c8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320024 | ||
관할 법정동 | 구포동 | ||
하위 행정구역 | 34통 170반 | ||
면적 | 2.91㎢ | ||
인구 | 24,265명[A] | ||
인구밀도 | 8,338.49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북구 갑 | |
| 전재수 (3선) | ||
부산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 박대근 (초선) | ||
북구의원 | 가 선거구 | |||
| 김정방 (재선) | ||
| 김정원 (초선) | ||
| 김태식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낙동북로681번길 23 | ||
구포2동 행정복지센터 |
2동은 사상구와 연결이 되며 북구청, 부산광역시북부교육지원청, 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이 이곳에 있다. 북구청 위치를 보면 북구의 가장 끝쪽인데다 별로 번화하지도 않은 지역에 있는데, 사상구가 북구에서 분구되기 전 지도를 보면 구포일대가 가장 번화했었고 제일 중심이었다. 부산 2호선의 구명역과 구남역도 여기에 있는데, 둘 다 낮은 언덕을 파서(...) 만든 역이라 만덕역까지는 아니지만 나름깊다. 웃긴건 언덕을 파 만든 구남역에서 구명역쪽을 보면 웬 높다란 언덕 하나가 덩그러니 놓여있다. 그 덕에 구명역을 나갈땐 꽤나 고생해야 한다. 물론 엘리베이터가 있지만 없었을 땐 계단크리. 1동과는 달리 대규모 아파트[40]가 조금 많이 들어서 있다.
백양대로 기준으로 하여, 이 곳으로 운행되는 시내버스는 169번, 169-1번, 1004번, 1009-1번이 대표적이며, 마을버스로는 강서19번이 존재한다. 그 외에 살짝 거쳐가는 노선으로는 46번, 127번, 128-1번, 이 외에 김해 시내버스 일부도 존재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가 다님으로서 역세권인데다, 버스들도 웬만한 곳은 거의 연결이 되니 1동만큼은 아니래도 대중교통이용은 나름 괜찮은 편. 구포대교가 이 동에서 시작된다.
[clearfix]
2.3. 구포3동
북구의 행정동 구포제3동 龜浦第三洞 | Gupo 3(sam)-dong | |||
<colbgcolor=#1d3c8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320025 | ||
관할 법정동 | 구포동 | ||
하위 행정구역 | 30통 136반 | ||
면적 | 1.47㎢ | ||
인구 | 18,834명[A] | ||
인구밀도 | 12,812.24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북구 갑 | |
| 전재수 (3선) | ||
부산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 박대근 (초선) | ||
북구의원 | 가 선거구 | |||
| 김정방 (재선) | ||
| 김정원 (초선) | ||
| 김태식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시랑로118번길 23[42] | ||
구포3동 행정복지센터 |
1994년 7월 1일 구포1동에서 구포3동으로 분리 되었다. 80년대 중반부터 부지가 닦이기 시작하고 1990년~1992년 사이에 적극적으로 건물이 세워지며[43] 태진여객 본사가 이 곳으로 이전함과 동시에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구포1동과 분리 되었다.
동네의 모양세가 완벽한 배산임수 이다. 위성지도를 보면 나오지만 백양산이 파여진 골짜리를 둘러 싸고 있고 앞으로 낙동강이 흐르는 동네이다. 당시에는 명당이라고 했었고 해당 동네에 있으면서 잘 돼서 더 좋은 곳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동네 자체가 엄청 오래된 동네가 아니기 때문에[44] 현대식 주택과 빌라 그리고 소형 아파트들이 골고루 섞여 있다.[45]
당시에 부산에는 작정하고 계획해서 만든 신도시가 존재하지도 않았고 구포 새동네라 불렸고 젊은 신혼부부를 비롯하여 아이를 가진 젊은층의 인구가 대거 몰렸었다.[46]
지금의 신도시처럼 어린 아이를 가진 젊은이 대거 유입되었었다. 초등학교[47]가 부족하여 아이들을 반강제로 옆학교[48]로 전학을 보내고 학교를 하나 더 지을[49] 정도로 인구가 어마어마하게 많았다. 약 2010년대까지만 해도 북구 전체에서 구포3동의 인구가 가장 많았을 정도.
동네 부지를 닦고 있기 이전 1978년 성도고등학교가 먼저 개교했었다.[50][51] 이후 1985년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당시 부산전문대학)가 설립되었다.
3. 주요 시설
3.1. 주거
100세대 미만 주거 공동주택- 구포 미소드리움 (구포동): 39세대
100세대 이상 500세대 미만 주거 공동주택
- 구명역 SK뷰 센트럴시티[지역주택조합] (구포동): 841세대
1,000세대 이상 주거 공동주택
- 구포 현대아파트 (구포동): 15층 / 1,741세대 / 71㎡~101㎡
- 구포 유림 노르웨이 숲 (구포동): 21층 / 1,176세대 / 78㎡~141㎡
- 구포 동원로얄듀크 비스타 (구포동): 지하4층~48층 / 1,079세대 / 97㎡~131㎡
3.2. 기타
- 부산광역시북부교육지원청
- 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
- 부산학생예술문화회관
- 구포어린이교통공원
- 솔로몬로파크
- 장선복지회관
- 부산시각장애인복지관
- 구포무장애숲길
- 구포부민병원
4. 교통
4.1. 시내버스
대다수 노선이 북구청, 구포삼거리, 구포역, 구포시장만 경유한다. 구포 깊숙히 들어가는 노선[53]은 볼드체 표기4.2. 마을버스
4.3. 일반철도
4.4. 도시철도
5. 학교
5.1. 초등학교
5.2. 중학교
5.3. 고등학교
5.4. 대학교
[A]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1912년] 구포은행. 서울을 포함해도 전국 3번째로 생긴 은행이다.[3] 동래와 구포 단 두 곳뿐이다.[4] 구포극장. 1936년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동래에 1944년 동래극장이 생겼다.[낙동장교(구포다리).] 1932년 완공으로 당시 아시아에서 제일 긴 다리였고 영도다리보다 2년 빨리 완공되었다.[6] 두 동네 모두 큰 강옆에 포구로 상업이 번성했었고 기차역이 생기면서 주요역의 보조역으로 부도심으로 발전했다. 영등포역 인근에 구로공단이 발전했듯 구포역 인근에 사상공단이 자리 잡은것 또한 비슷하다.[7] 부산시내 진입 교통이 좋으면서 인근 도시인 김해, 양산 두 곳을 모두 아우르는 교통의 교집합이 덕천교차로(구포)이다. 사당동 옆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있다는것도 구포 옆에 사상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이수역(사당동)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전철로 9분. 구남역(구포동)에서 사상시외버스터미널까지 전철로 8분[8] 개인적으로 특정적 한군데만 이용하는 교통이 아닌 시내, 시외, 해외등 전체적인 교통을 본다면 부산 구포, 덕천이 제일 좋다.[9] 지도를 보아도 부산의 중심은 서면 지역이다.[10] 모라동[11] 만덕동[12] 화명동[13] 물론 매일매일 특정지역만 왔다갔다 하는 경우는 다르겠지만 전체적인 도로를 보면 그렇다.[14] 구글에 부산의 서울이라고 검색해도 나온다. 큰 강에 다리가 여러개 설치된 동네가 서울 한강 같은 느낌인데 그곳이 구포[15] 행정구역상 대저와 화명생태공원은 구포와 붙어 있고 조금만 내려가면 삼락생태공원까지 있다. 구포동원로얄듀크비스타의 경우 웬만한 화명동 아파트보다 화명생태공원이 가깝다. 다른 행정구역이라고 멀고 같은 행정구역이라고 가깝다고 생각하는건 사실 멍청한사람. 게다가 화명생태공원은 행정구역상 덕천동이 절반이고 덕천2동, 구포1동 특정지역 또한 웬만한 화명동 아파트보다 공원 접근성이 좋다.[16] 이또한 영등포와 비슷하다. 다만 영등포는 현재 영등포구 영등포동으로 되었다.[17] ex: 부산은행 구포지점[18] 북구에서 구포가 제일 오래되었고 그당시 시가지를 형성한곳은 구포뿐이어서.. 물론 그 당시에 구도심을 제외하곤 부산의 다른동네도 대부분 논밭이었다.[19] 지금도 KTX가 정차하며 서울로치면 영등포역 포지션[20] 건설당시 동양최대규모의 다리로 부산과 경남 김해를 잇는 다리[21] 과거 밀의 집산지였던 구포의 역사를 이용하여 만들었다.[22] 버스 교통편을 본다면 서울 사당동 같은 포지션. 사당동 인근에 센트럴시티터미널이 있듯이 구포 인근에 사상시외버스터미널이 있는것도 비슷하다.[23] 북구청 홍보물에서 자주 랜드마크로 활용한다[24]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 운영중이다.[25] 법무부에서 운영중이다.[26] 부산 북구청에서 운영중이다.[27]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에 있다.[28] 소극장.[29] =구포나루터.[30] 낙동강 하구둑이 만들어진후 낙동강에서 재첩이 더이상은 잡히지 않는다.[31] 과거 밀의 집산지였던 구포에 화명생태공원에서 재배된 밀로 만든 수제맥주[A] [33] 구포동 628[34] 대개 모든동네의 중심은 1동이다.[35] 서울로 치면 영등포역의 포지션[36] 다만 부산의 바다의 도시다 보니 바닷가 지방외에는 주목하지 않고 홀대하는 경향이 강해서 다들 잘모르는것뿐[37] 신구포반도유보라 및 구포역 인근 신축 소형 아파트[38] 舊 부산 구포동 팽나무[A] [40] 대표적으로 현대아파트, 삼정그린코아아파트가 있다.[A] [42] 구포동 1252-1[43] 일대 아파트들의 준공시기가 대부분 1992년~1993년이다.[44] 신도시를 제외하고는 개발된지 오래된 편의 동네가 아니다.[45] 전반적으로 빌라가 확실히 많은 비중.[46] 도시도 수명이 존재하듯 그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 동네를 떠났다.[47] 포천초가 개교하고 끊임없이 증측했고 오전반 오후반으로 운영했다.[48] 구포초로 전학을 보냈었다.[49] 부산 신천초[50] 교사들의 경험담으로는 당시 구포역에서 성도고까지 걸어다녔다고 한다.[51] 80년대 초 주민들의 말을 빌어 보자면 첩첩 산중에 웬 학교 하나가 덩그러니 있다고 말할 정도로 외진 곳이었다고 한다.[지역주택조합] [53] 백양대로, 구포3동. 특히 태진여객의 본사 쪽.[54] 구포당숲, 경혜여자고등학교, 양덕초등학교 일대를 경유[55] 학교 이름과 달리 구포1동에 위치해있다. 1974년부터 1979년까지는 구포중학교가 이 자리에 있었다. 지역민들조차 이 위치를 덕천동이라 인식할 정도로 덕천동에 가까이 붙어 있다. 부산 북구청 이전 검토지였다. 북구 상업지 및 덕천역 인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