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3:58:25

러시아-북한 국경

북러국경에서 넘어옴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러관계 관련 문서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white> 역사 소련군정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조소동맹조약(폐지) ·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 2023년 북러정상회담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2024년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외교 북러관계 · 북소관계 · 북중러관계 · 남북러관계 · 북한-만주 관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로씨야련방대사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로씨야련방사이의 포괄적인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
기타 두만강철교 · 녹둔도 · 러시아-북한 국경 }}}}}}}}}
조선-로씨야 국경
Российско-северокорейская граница
파일:두만강철교.jpg
북한 두만강역러시아 하산역을 연결하는 두만강철교
접경국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영유권 주장):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길이 약 39km
국경설정일 1985년 4월 17일
관할기관 러시아 연방관세청
러시아 연방보안국 국경경비총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보위성
조선사회안전군
1. 개요2. 주요 특징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러시아북한 사이의 국경.

러시아-북한 국경 또는 북한-러시아 국경이라고 정의한다. 통일되면 대한민국-러시아 국경, 약칭 한러국경이 된다. 러시아의 공식 정의에 따라 17km의 육상 국경과 22.1km의 해상 국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러시아가 접하고 있는 14개국과의 국경 중에서 가장 짧은 육상 국경선이기도 하다.[1]

2. 주요 특징

러시아북한 사이의 영토의 경계는 통상적으로 보면, 두만강삼각강의 골짜기선을 따라 이어지며, 해상 국경은 동해에서 두 나라의 영해를 구분한다. 북한 라선시 선봉구역과 러시아 연해주의 하산 지역이 만나는 지점이 주요 국경 지역이다.

이 국경선은 19세기 러시아와 청나라 사이의 조약으로 형성되었으며, 이후 20세기 중반 북한과 소련 사이의 협의를 통해 현재의 경계선으로 확정되었다. 특히, 1985년 4월 17일 양국 간 국경 조약이 체결되면서 국경의 위치와 관리 방안이 명확히 규정되었다.

러시아-북한-중국이 만나는 삼합점[2]은 두만강 하구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삼합점은 세 나라의 국경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자연적 경계를 기준으로 설정되었다. 강 중앙에 기념비를 설치할 수 없어, 삼합점 근처 강둑에 국경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3]

녹둔도는 두만강 하구에 위치한 섬으로, 역사적으로 조선의 영토였으나 현재는 러시아의 실효 지배 하에 있다. 이 지역은 역사적,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와 북한을 연결하는 주요 육로 중 하나는 두만강철교다. 이 다리는 철도 및 도로 용도로 사용되며, 양국 간의 물류와 인적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철교를 통해 러시아 연해주 하산 지역과 북한의 나진항이 연결되어 있다.

3. 관련 문서


[1] 두 번째로 짧은 국경은 러시아-노르웨이 국경(195km)이고, 가장 긴 국경은 러시아-카자흐스탄 국경(7,644km)이다.[2] 북중러 삼합점 혹은 중화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러시아 삼합점이라고 한다.[3] 이론적인 삼합점은 강의 정중앙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