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23268><colcolor=#fff> 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 British American Tobacco | |
| |
사명 | 브리티쉬 아메리칸 토바코 유한책임회사 British American Tobacco plc |
국가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설립일 | 1902년 9월 29일 ([age(1902-09-31)]년차) |
전신 | 임페리얼 토바코 아메리칸 토바코 컴퍼니 |
창업자 | 제임스 뷰캐넌 듀크 |
경영진 | CEO 룩 조빈 |
이사회 | 의장 타데우 마르코 |
업종명 | 담배 |
시가 총액 | 523억 파운드 (2024년 5월) |
부채 | 587억 8,200만 파운드 (2023년) |
자본 | 529억 3,400만 파운드 (2023년) |
매출 | 272억 8,300만 파운드 (2023년) |
영업이익 | -157억 5,100만 파운드 (2023년) |
잉여현금흐름 | 83억 6,000만 파운드 (2023년) |
상장 | 런던증권거래소 (1962년 1월 29일~ / BATS) |
뉴욕증권거래소 (BTI)[1] | |
도이체 뵈르제 (BMT) | |
요하네스버그증권거래소 (2008년~ / BTI) | |
편입 지수 | FTSE 100 (1984년~ ) |
시가총액 | GBP 66.93 B (2025년 2월 21일) |
웹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영국의 담배 제조사로, 미국의 아메리칸 타바코 컴퍼니(Amercian Tobacco Company)와 1994년 합병한 합작기업이다. 유럽 최대 규모의 담배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합작회사이기 때문에 영국 지사와 미국 지사가 나뉘어 있으며, 각 지사의 대표 브랜드가 다르다. 영국 지사의 대표적인 브랜드는 던힐과 궐련형 전자담배 브랜드인 글로가 있으며, 미국 지사의 대표적인 브랜드는 럭키 스트라이크와 켄트가 있다.
2. 역사
영국계의 임페리얼 토바코 컴퍼니와 미국계의 아메리칸 토바코 컴퍼니의 합작사로 1902년 설립되었다. 양사는 각국의 내수 시장을 침범하지 않으며, 해외 시장만을 대상으로 영업할 것에 합의했다. 중국과 캐나다, 독일 등의 국가를 중심으로 담배를 판매했다. 1911년 아메리칸 타바코 컴퍼니가 지분을 매각하였고, 1969년 자회사가 되었으며 1994년 인수하면서 완전히 합병했다. 1912년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일본 내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철수하였으나, 1945년 종전 이후 재진출하였다.중국 본토에서도 잘 나가는 담배회사였지만,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며 본토가 공산화되자 공산당 정부는 미국 자본의 중국 내 영업활동을 금지하였다. 이 때문에 주요 판매국이었던 중국에서 철수했으며, 1979년 미국이 중국과 수교를 맺으면서 재진출하였다.
1994년 아메리칸 타바코와 완전 합병하였으나, 합작 기업이기 때문에 현재도 영국 지사와 미국 지사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영국과 미국을 제외한 해외에서는 BAT International 발주로 제품을 생산/판매하지만, 각국 내에서는 자회사에서 판매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던힐 인터네셔널이 던힐을 판매하며, 미국에서는 2004년 자회사로 편입된 R.J. 레이놀즈가 판권을 인수받아 제품의 생산/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3. 대한민국 시장
1904년 대한제국에 '영미연초주식회사' 법인을 세우며 진출했으며 일제강점기 때도 꾸준히 영입했지만, 1941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철수했다.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 정부가 강력한 양담배 규제 정책을 피면서 재진출이 계속 미루어져왔다.그러던 1986년 전두환 정부가 미국의 압력으로 양담배 규제를 해제하자 2년 뒤인 1988년 BAT 코리아 법인을 세우고 대한민국에 재진출하였다. 2002년 9월 경상남도 사천시에 위치한 사천제1일반산업단지에 담배 공장을 준공하고 이듬 해인 2003년 완공하였으며, 이 때부터 BAT의 국내 판매품은 모두 이 곳에서 생산하고 있다. BAT코리아제조라는 별도의 법인이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1999년 영국 본사가 로스만스와 합병하면서, 같은 해 7월 1일 로스만스의 한국법인이 로스만스 코리아와 합병하였다. 2021년 8월 31일,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BAT코리아를 네덜란드 법인인 BAT로스만스에 통합하면서, 운영사무소로만 남게 되었다.[2]
2024년 기준 한국 담배시장에서 KT&G, 필립 모리스에 이어 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로 3위다.
4. 브랜드
영국지사 제품- 던힐 - BAT의 대표 브랜드.
- 로스만스(Rothmans)
- 윈필드(Winfield) - 호주 담배로, BAT 호주지사에서[3] 생산한다.
- 스테이트 익스프레스 555(State Express 555)
- 폴 몰(Pall Mall)
미국지사 제품[4]
- 럭키 스트라이크 - 1871년 아메리칸 타바코 컴퍼니에서 첫 생산. 던힐과 더불어 BAT의 또 다른 대표 브랜드.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의 보급용 담배로 사용됨.
- 켄트 - 1952년 로릴란드 타바코 컴퍼니에서 생산, 1977년 아메리칸 타바코 컴퍼니에 인수 합병.
- 노스 스테이트(North State)
- 바이스로이(Viceroy)
5. 스폰서십
1997년부터 포뮬러 1의 티렐 레이싱 팀을 약 3천만 파운드에 인수하면서 광고효과를 보기 시작했다. 이 팀은 1998 시즌까지 티렐 팀으로 활동하다가 브리티시 아메리칸 레이싱(BAR)으로 팀명을 변경했다.2004년 BAR는 기술 파트너인 혼다가 45%의 지분을 매입했다고 발표했고, 2005년 9월에는 혼다가 나머지 55%의 지분을 매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팀은 럭키 스트라이크의 스폰서십 마지막 해인 2006년에 혼다 레이싱 F1 팀으로 출전했다가 스폰서십에서 탈퇴했다. 2006 시즌에는 팀 이름이 혼다 F1 레이싱 팀으로 바뀌었고, BAT는 몇 번의 레이스에서만 광고를 진행했으며 2007년에는 완전히 후원을 중단했다.
2019년, 맥라렌 포뮬러 1 팀은 '더 나은 내일(A Better Tomorrow)'라는 혁신 아젠다를 통해 BAT와 다년간의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는 2006년부터 포뮬러 1이 담배 광고를 금지한 이후 두 번째로 체결한 담배 관련 계약이기도 했다.[5] 2019년 말, BAT와 맥라렌은 강화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여 BAT가 맥라렌의 주요 파트너가 되어 브랜딩 입지를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맥라렌은 F1 및 인디카 차량에 BAT의 새로운 카테고리 제품 브랜드인 Vuse(이전 Vype) 및 Velo(이전 Lyft)를 광고하기 시작했다. 또한 Vuse는 맥라렌 F1 팀과 제휴하여 2021~2023 아부다비 그랑프리에서 신진 아티스트가 디자인한 맞춤형 리버리로 적용되었고 2024년 4월 맥라렌은 파트너십을 네옴 맥라렌 포뮬러 E 팀으로 확장하는 것을 포함한 BAT와의 파트너십을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6. 여담
- 프리티 파텔 영국 내무장관이 여기서 컨설턴트로 근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