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f00><tablebgcolor=#f00,#f00> | 2025 포뮬러 1 [[포뮬러 1/팀|{{{#fff {{{+1 참가 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맥라렌 포뮬러 1 팀[1] | |||
McLaren Formula 1 Team | |||
<colbgcolor=#ff8000,#ff8000><colcolor=#000> 법인명 | McLaren Racing Ltd[2] | ||
국적 |
| ||
모기업 | 맥라렌 (McLaren) | ||
타이틀 스폰서 | 없음 | ||
주요 스폰서 | 마스터카드[3]| OKX | 올윈 | 구글(Android | Chrome | Google Cloud) | ||
창단 | 1963년 ([age(1963-09-02)]주년) | ||
레이스 참가 횟수 | 979회 (975회 출발) | ||
설립자 | |||
본부 | 영국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서리 주 워킹 맥라렌 테크놀로지 센터 | ||
CEO | |||
CCO | |||
팀장 | |||
전무 이사 | <colbgcolor=#ff8000,#ff8000><colcolor=#000> 파트너십 & 촉진 담당 | ||
기술 담당 | |||
전략 담당 | |||
드라이버 개발 담당 | |||
신 사업 담당 | |||
엠버서더 | |||
드라이버 | 4. 81. | ||
테스트 드라이버 | 88. 89. -. | ||
드라이버 개발 프로그램 | 맥라렌 드라이버 개발 프로그램 | ||
공식 웹사이트 | |||
차량 | |||
섀시 | MCL39 | ||
엔진 | 메르세데스-AMG F1 M16 E 퍼포먼스 | ||
우승 기록 | |||
드라이버 챔피언 (12회) | 1974, 1976, 1984, 1985, 1986, 1988, 1989, 1990, 1991, 1998, 1999, 2008 | ||
컨스트럭터 챔피언 (9회) | 1974, 1984, 1985, 1988, 1989, 1990, 1991, 1998, 2024 | ||
경기 기록 | |||
레이스 우승 | 200회 | ||
포디움 | 531회 | ||
폴 포지션 | 167회 | ||
패스티스트 랩 | 174회 | ||
최근 시즌 성적 (2024) | 1위 (666 pts) |
1. 개요
|
WHATEVER IT TAKES / #TEAM PAPAYA |
맥라렌[8]은 영국 서리 주 워킹[9]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포뮬러 1 팀으로, 스쿠데리아 페라리에 이어서 현재 포뮬러 원에서 두번째로 역사가 오래된 팀이다. 차량은 MCL39.
1963년, 뉴질랜드의 포뮬러 1 드라이버 브루스 맥라렌(Bruce McLaren)에 의해 팀이 설립되었고, 1966년 모나코 GP부터 F1에 참가하기 시작해 1968년 벨기에 GP에서 팀 창단 이후 첫번째 우승을 거둔 뒤 현재까지 192회의 그랑프리 우승과 12번의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 9회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이뤄낸 모터스포츠 명문 팀이다.
그리고 F1의 레전드 아일톤 세나, 그와 같은 팀 동료이자 라이벌이였던 알랭 프로스트가 함께 몸 담은 팀으로 유명하다.[10]
2.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맥라렌 포뮬러 1 팀/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맥라렌 포뮬러 1 팀/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논란 및 사건 사고
- 스파이 게이트 - 2007년에 대표적인 경쟁 팀 페라리의 기술 정보들이 맥라렌으로 유출된 사건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4. 여담
론 데니스의 결벽증을 드러내듯이 깨끗하고 미래적인 분위기의 팩토리로 유명하다. 맥라렌 테크놀로지 센터로 이름 붙여진 이 팩토리의 건축가는 그 유명한 노먼 포스터로, 그의 또다른 작품 중 하나인 한국 타이어 테크노돔과도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11] 이러한 특유의 분위기로, 영화 분노의 질주: 홉스 & 쇼에서는 하이테크놀로지 테러 조직인 에테온 주식회사의 본사 배경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 드라마 안도르 시즌 1에선 코러산트 공항 내부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F1을 소재로 한 F1 창설 75주년 영화 F1 더 무비에서는 주인공 팀인 에이펙스의 본부로 사용되었다.
신차 런칭 행사가 꽤 이르고 성대한 편이다. 최근에는 팩토리에서 런칭 행사를 간략히 하기는 하지만, 그래픽 이미지만 공개하거나 합동 테스트 아침에 짧게 공개 행사를 하는 팀들에 비하면 팬들도 초청하는 등 꽤나 공을 많이 들이는 편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차량 발표 전에도 조립 상황이나 차량 일부를 SNS를 통해 보여주는 등 신차가 이목을 끌 수 있도록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유명한 예시인 2011년 베를린에서의 MP4-26 런칭행사 때는 전무후무한 공개 차량 조립 퍼포먼스라는 기행을 저지르기도 할 정도.
- 차가운 이미지의 론 데니스 시대가 끝난 후 잭 브라운이 리드하면서 거꾸로 팬과의 소통에 굉장히 적극적인 팀으로 바뀌었다. SNS를 열심히 활용하는 팀 중 하나이며, 각종 이벤트나 유튜브를 통해 업로드 되는 컨텐츠도 다양하다. 레이스 후 올라오는 Vlog인 'McLaren Unboxed'는 레이스 주말 동안 F1 팀의 모습을 자세히 담아내어 인기가 많은 컨텐츠이다.[12] 잭 자신도 보통 스포츠 팀에서 생각할 법한 엄격하고 권위적인 리더라는 선입견과 달리 팀원 누구와도 자유롭게 소통하고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려고 한다. 코로나 사태로 버추얼 GP가 열린 2020년에는 드라이버인 랜도 노리스가 자신의 생방송에서 팀 리더인 잭 브라운에게 전화를 걸었더니 "What's going on dude" 이라며 정말로 친구 전화 받듯 친근하게 대하는 모습을 보여줬다.#[13]
- 영 드라이버 프로그램에서 레드불 레이싱과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한 두 명의 적은 드라이버에게 집중적으로 투자를 하며, 만족스러운 드라이버가 없는 경우에는 투자를 아예 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맥라렌 영 드라이버 프로그램으로 데뷔한 드라이버로는 루이스 해밀턴, 케빈 마그누센, 스토펠 반두른, 랜도 노리스가 있으며, 기에도 반데가르데와 알렉산더 알본도 한때 지원을 받은 적이 있어, 키우는 드라이버 수에 비해 F1 데뷔하는 드라이버의 비율이 꽤 높은 편이다. 2021년 현재는 미국의 카트 주니어 우고 우고추쿠[14]를 지원 중.
드라이버보다는 팀의 성적을 우선하는 편이다. 맥라렌은 대부분의 시즌에서 퍼스트 드라이버와 세컨드 드라이버를 구분하지 않았으며, '첫 코너를 먼저 통과하는 드라이버가 그 레이스의 퍼스트'라는 팀 내 지침으로도 유명하다. 1998년 호주 그랑프리에서 첫 코너를 먼저 통과했던 미카 해키넨이 교신 문제로 잘못된 피트스탑을 하여 순위가 내려가자 데이비드 콜사드가 자리를 양보해준 건 유명한 일화.[15]
트로피를 드라이버에게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팀들이 컨스트럭터 트로피만을 소유하며, 드라이버 트로피의 경우 레플리카로 제작하거나 가끔 일부의 트로피만을 보유하는 것과는 반대로, 한때 맥라렌의 프렌차이즈 스타였던 루이스 해밀턴도 이에 대해 불만을 품은 적이 있다. 트로피를 주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우승을 위하여 드라이버 뿐만 아니라 수많은 팀 멤버들이 함께 노력했으며, 팀에서 이 트로피를 보유함으로써 우승을 위해 노력했던 모두가 팀워크와 업적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드라이버보다 팀을 우선하는 맥라렌의 성격을 볼 수 있는 부분. 실제로도 MTC에서 직원들이 가장 많이 다니는 곳에 위치한 트로피 캐비넷에는 1995년의 르망 24시 우승 트로피에서 아일톤 세나의 우승 트로피 등 맥라렌이 얻었던 업적의 대부분이 전시되어 있다. 그리고 2014년 이후 이 캐비넷이 다시 열리기까지는 5년이 걸렸다.
5. 스폰서
6. 역대 레이스카 목록
- 하단 틀에 나와있는 차량의 명칭 중, 초기부터 70년대 말~1980년까지 쓰인 차량들의 작명법인 M**은 F1과 인디카, Can-Am 시리즈 차량들 제작 순서대로 정해져 있기에 중간에 F1 차량이 아닌 다른 카테고리 참가 차량은 제외하므로 공백이 생긴 것이다.
- 차량 명칭과 관련해서, 숫자 30과 15를 전후로 작명형식이 바뀌는 편이다. 초대 M1에서부터 M30까지, MP4부터 MP4/15까지 슬래시로 구분짓다가 MP4-16부터 하이픈으로 바뀌었고, MP4-30 다음으로 MCL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folding [ 196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1966 | M2B | | 406 | 3.0L V8 | |||||||
세레니시마 | M166 | ||||||||||
<colbgcolor=#FF8000> 1967 | M4B | BRM | P56 | 2.0L V8 | |||||||
M5A | P142 | 3.0L V12 | |||||||||
1968 | M5A | ||||||||||
M7A | 포드 코스워스 | DFV | 3.0L V8 | ||||||||
1969 | M7A M7B M7C M9A | }}}}}}{{{#!folding [ 197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1970 | M7D M14A M14D | 포드 코스워스 | DFV | 3.0L V8 | |||||||
M7D M14D | | T33 | |||||||||
<colbgcolor=#fff> 1971 | M14A M19A | 포드 코스워스 | DFV | ||||||||
1972 | M19A M19C | ||||||||||
1973 | M19A M19C M23 | ||||||||||
1974 | M23 | ||||||||||
1975 | M23 | ||||||||||
1976 | M23 M26 | ||||||||||
1977 | M23 M26 | ||||||||||
1978 | M26 | ||||||||||
1979 | M26 M28 M28B M28C M29 | }}}}}}{{{#!folding [ 198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fff> 1980 | M29B M29C M30 | 포드 코스워스 | DFV | 3.0L V8 | |||||||
1981 | M29F MP4 | ||||||||||
1982 | MP4B | ||||||||||
1983 | MP4/1C | ||||||||||
DFY | |||||||||||
MP4/1E | 태그 포르쉐 | TTE PO1 | 1.5L V6 T | ||||||||
1984 | MP4/2 | ||||||||||
1985 | MP4/2B | ||||||||||
1986 | MP4/2C | ||||||||||
1987 | MP4/3 | ||||||||||
1988 | MP4/4 | | RA168E | ||||||||
1989 | MP4/5 | RA109E | 3.5L V10 | }}}}}}{{{#!folding [ 199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fff> 1990 | MP4/5B | | RA100E | 3.5L V10 | |||||||
1991 | MP4/6 | RA121E | 3.5L V12 | ||||||||
1992 | MP4/6B | RA122E | |||||||||
MP4/7A | RA122E/B | ||||||||||
1993 | MP4/8 | | HBE7 | 3.5L V8 | |||||||
1994 | MP4/9 | | A6 | 3.5L V10 | |||||||
1995 | MP4/10 MP4/10B MP4/10C | | FO110 | 3.0L V10 | |||||||
1996 | MP4/11 | ||||||||||
1997 | MP4/12 | FO110E FO110F | |||||||||
1998 | MP4/13 | FO110G | |||||||||
1999 | MP4/14 | FO110H |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c9c9c9> 2000 | MP4/15 | | FO110J | 3.0L V10 | |||||||
2001 | MP4-16 | FO110K | |||||||||
2002 | MP4-17 | FO110M | |||||||||
2003 | MP4-17D | ||||||||||
FO110P | |||||||||||
2004 | MP4-19 | FO110Q | |||||||||
2005 | MP4-20 | FO110R | |||||||||
2006 | MP4-21 | FO108S | 2.4L V8 | ||||||||
2007 | MP4-22 | FO108T | |||||||||
2008 | MP4-23 | ||||||||||
2009 | MP4-24 | FO108W | 2.4L V8 +KERS |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ff4230> 2010 | MP4-25 | | FO108X | 2.4L V8 | |||||||
2011 | MP4-26 | FO108Y | 2.4L V8 +KERS | ||||||||
2012 | MP4-27 | FO108Z | |||||||||
2013 | MP4-28 | FO108F | |||||||||
2014 | MP4-29 | PU106A Hybrid | 1.6L V6 T +ERS | ||||||||
2015 | MP4-30(* MP4-X) | | RA615H | ||||||||
2016 | MP4-31 | RA616H | |||||||||
2017 | MCL32 | RA617H | |||||||||
2018 | MCL33(* X2) | | R.E.18 | ||||||||
2019 | MCL34(* MCL익스트림) | R.E.19 | |||||||||
* 가상 프로토타입 |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즌 | 차량 | 엔진 제조사 | 엔진 | ||||||
<colbgcolor=#FF8000> 2020 | MCL35 | | R.E.20 | 1.6L V6 T +ERS | |||||||
2021 | MCL35M | | F1 M12 E 퍼포먼스 | ||||||||
2022 | MCL36 | F1 M13 E 퍼포먼스 | |||||||||
2023 | MCL60 | F1 M14 E 퍼포먼스 | |||||||||
2024 | MCL38 | F1 M15 E 퍼포먼스 | |||||||||
2025 | MCL39 | F1 M16 E 퍼포먼스 | }}}}}} | 굵은 글씨 - 드라이버 챔피언 차량 기울어진 글씨 - 컨스트럭터 챔피언 차량 |
7. 역대 출전 드라이버 및 기록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출전 시즌 | 드라이버 | 레이스 엔트리 | 레이스 스타트 | 우승 | 폴 포지션 | 패스티스트 랩 | 포디움 | 포인트 | 월드 챔피언 |
<colcolor=#000> 1966~1970 | 37 | 33 | 1 | 0 | 0 | 7 | 60 | 0 | ||
1968~1974 | 86 | 83 | 6 | 1 | 6 | 21 | 174 | 1(1967) | ||
1969 | 1 | 1 | 0 | 0 | 0 | 0 | 0 | 0 | ||
1970~1971 | 14 | 14 | 0 | 0 | 0 | 0 | 1 | 0 | ||
1970 | 3 | 3 | 0 | 0 | 0 | 0 | 1 | 0 | ||
1970 | 10 | 4 | 0 | 0 | 0 | 0 | 0 | 0 | ||
1970 | 1 | 0 | 0 | 0 | 0 | 0 | 0 | 0 | ||
1971 | 3 | 3 | 0 | 0 | 0 | 0 | 0 | 0 | ||
1972~1973 | 23 | 23 | 2 | 1 | 0 | 8 | 61 | 0 | ||
1972 | 3 | 3 | 0 | 0 | 0 | 0 | 4 | 0 | ||
1972~1973 | 6 | 6 | 0 | 0 | 0 | 0 | 0 | 0 | ||
1973 | 1 | 1 | 0 | 0 | 0 | 1 | 4 | 0 | ||
1974~1975 | 28 | 27 | 5 | 2 | 1 | 13 | 100 | 1(1974) | ||
1974 | 11 | 11 | 0 | 0 | 0 | 1 | 12 | 0 | ||
1974 | 2 | 2 | 0 | 0 | 0 | 0 | 0 | 0 | ||
1974~1977 | 49 | 49 | 1 | 0 | 1 | 8 | 64 | 0 | ||
1976~1978 | 49 | 47 | 9 | 14 | 5 | 14 | 117 | 1(1976) | ||
1977 | 1 | 1 | 0 | 0 | 0 | 0 | 0 | 0 | ||
1977~1978 | 6 | 6 | 0 | 0 | 0 | 0 | 0 | 0 | ||
1978~1979 | 28 | 26 | 0 | 0 | 0 | 0 | 8 | 0 | ||
1979~1983, 1985 | 73 | 70 | 4 | 0 | 3 | 13 | 109 | 0 | ||
1980, 1984~1989 | 109 | 105 | 30 | 10 | 24 | 63 | 430.5 | 3(1985,1986, 1989) | ||
1980 | 1 | 0 | 0 | 0 | 0 | 0 | 0 | 0 | ||
1981 | 15 | 14 | 0 | 0 | 0 | 0 | 1 | 0 | ||
1982~1985 | 59 | 54 | 8 | 0 | 8 | 15 | 128 | 1(1984) | ||
1986 | 16 | 16 | 0 | 1 | 0 | 0 | 22 | 0 | ||
1987 | 16 | 16 | 0 | 0 | 0 | 5 | 30 | 0 | ||
1988~1993 | 96 | 94 | 35 | 46 | 12 | 55 | 447 | 3(1988,1990, 1991) | ||
1990~1992 | 48 | 48 | 3 | 4 | 7 | 18 | 135 | 0 | ||
1993 | 13 | 13 | 0 | 0 | 0 | 1 | 7 | 0 | ||
1993~2001 | 132 | 129 | 20 | 26 | 25 | 51 | 407 | 2(1998,1999) | ||
1994 | 1 | 1 | 0 | 0 | 0 | 0 | 0 | 0 | ||
1994 | 16 | 16 | 0 | 0 | 0 | 2 | 16 | 0 | ||
1995 | 15 | 15 | 0 | 0 | 0 | 0 | 13 | 0 | ||
1995 | 2 | 2 | 0 | 0 | 0 | 0 | 0 | 0 | ||
1995 | 1 | 1 | 0 | 0 | 0 | 0 | 0 | 0 | ||
1996~2004 | 150 | 149 | 7 | 12 | 14 | 51 | 412 | 0 | ||
2002~2006 | 88 | 87 | 9 | 11 | 19 | 36 | 337 | 0 | ||
2005~2006 | 14 | 12 | 3 | 2 | 1 | 7 | 86 | 0 | ||
2005~2006 | 9 | 9 | 0 | 0 | 1 | 1 | 23 | 0 | ||
2005 | 1 | 1 | 0 | 0 | 0 | 1 | 6 | 0 | ||
2007, 2015~2018 | 95 | 94 | 4 | 2 | 5 | 12 | 241 | 0 | ||
2007~2012 | 110 | 109 | 21 | 26 | 12 | 49 | 913 | 1(2008) | ||
2008~2009 | 35 | 35 | 1 | 1 | 2 | 3 | 75 | 0 | ||
2010~2017 | 137 | 136 | 8 | 1 | 6 | 26 | 908 | 0 | ||
2013 | 19 | 19 | 0 | 0 | 1 | 0 | 49 | 0 | ||
2014~2015 | 20 | 19 | 0 | 0 | 0 | 1 | 55 | 0 | ||
2016~2018 | 42 | 41 | 0 | 0 | 0 | 0 | 26 | 0 | ||
2019~2020 | 38 | 37 | 0 | 0 | 1 | 2 | 201 | 0 | ||
2019~ | 145 | 145 | 9 | 13 | 18 | 39 | 1306 | 0 | ||
2021~2022 | 44 | 44 | 1 | 0 | 1 | 1 | 152 | 0 | ||
2023~ | 63 | 63 | 9 | 5 | 8 | 24 | 713 | 0 | }}}}}}}}} |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margin-top: -7px; margin-bottom: -7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 맥라렌 레이싱 관련 문서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8000,#2d2f34><colcolor=#fff> 맥라렌 | 맥라렌 레이싱 · 맥라렌 · 맥라렌 드라이버 개발 프로그램 · 맥라렌 유나이티드 AS | |
역사 | 포뮬러 1 참여 역사 · 역대 맥라렌 포뮬러 1 레이스카 · 역대 맥라렌 레이스카 · 역대 맥라렌 드라이버 및 기록 랜도 노리스 | 오스카 피아스트리 | ||
기타 | 브루스 맥라렌 · 맥라렌 어플라이드 · 맥라렌 테크놀로지 센터 · 맥라렌 그룹 · 애로우 맥라렌 · 포뮬러 1 ·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50개 스포츠팀 | }}}}}}}}} |
[1] 7R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레이스 도중 충돌로 사망[2] 10라운드 이탈리아 GP 연습 주행 도중 사고로 사망[3] 14라운드 이탈리아 GP 레이스 도중 사고로 사망[4] 5라운드 벨기에 GP에서 예선 도중 사고로 사망.[5] 3라운드 산 마리노 GP 레이스 도중 충돌로 사망.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 포뮬러 1 {{{#fff {{{-1 컨스트럭터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 <colbgcolor=#f5f5f5,#2e2f34> 남아프리카 공화국 | LDS(1962-1963, 1965, 1967-1968) · 알파 스페셜(1963, 1965) |
네덜란드 | 보로(1976-1977) · 스파이커(2007) | |
뉴질랜드 | 아몬(1974) | |
독일 | 페리타스(1951-1953) · 알렉스 폰 팔켄하우젠 모토렌바우(1952-1953) · 그라이프추(1953) · 아이제나허 모토렌베르크(1953) · 메르세데스(1954-1955, 2010-현재) · 클렝크(1954) · 포르쉐(1957-1964) · 베라-포르쉐(1959-1960) · 아이펠란트(1972) · ATS(1977-1984) · 카우젠(1979) · 차크스피트(1985-1989) · 리알(1988-1989) · 아우디(2026 예정) | |
러시아 | 미들랜드(2006) · 버진(2010-2011)[1] · 마러시아(2012-2015)[2] | |
로디지아 | 리알파(1965) | |
말레이시아 | 로터스(2010-2011) · 케이터햄(2012-2014) | |
멕시코 | 레바케(1979) | |
미국 | 니컬스(1950, 1954) · 디트(1950-1952) · 랭글리(1950) · 레소브스키(1950-1953, 1956-1960) · 레이(1950) · 마르케이즈(1950-1951) · 무어(1950-1959) · 스노버거(1950) · 스티븐스(1950-1956) · 애덤스(1950) · 올슨(1950) · 왓슨(1950-1960) · 웨터로스(1950) · 유잉(1950, 1960) · 브롬메(1951-1954) · 셔먼(1951-1952) · 슈로더(1951-1955) · 쿠즈마(1951-1960) · 트레비스(1951-1952, 1955, 1960) · 폴(1951, 1954-1955) · 홀(1951) · 델로이(1953) · 터너(1953) · 팬크라츠(1954-1955) 필립스(1954-1960) · 에퍼리(1955-1960) · 던(1957-1960) · 살리(1957-1960) · 서턴(1959) · 엘더(1959) · 커티스(1959) · 크리스텐슨(1959-1960) · 메스코우스키(1960) · 스캐랩(1960) · 이글(1966-1969) · 섀도우(1973-1980)[3] · 펜스키(1974-1977) · 파넬리(1974-1976) · | |
벨기에 | 에키프 나시오날 벨주(1962) | |
브라질 | 피치파우지(1975-1982) | |
스위스 | MBM(1961) · 벨라시(1970-1971) · 아폴론(1977) · 자우버(1993-2018, 2024-현재)[4] | |
스페인 | ||
아일랜드 | 조던(1991-2005) | |
영국 | 알타(1950-1952) · 잉글리시 레이싱 오토모빌스(1950-1952) · 쿠퍼(1950, 1952-1969) · BRM(1951, 1956-1977) · HWM(1951-1955) · 애스턴 버터워스(1952) · 코노트(1952-1959) · 프레이저 내시(1952) · 반월(1954-1960) · 에머리슨(1956, 1961-1962) · 로터스(1958-1994) · 애스턴 마틴(1959-1960, 2021-현재) · JBW(1959-1961) · 프라이(1959) · 길비 엔지니어링(1961-1963) · 퍼거슨 리서치(1961) · 롤라(1962-1963, 1967-1968, 1974-1975, 1985-1991, 1993, 1997) · 브래범(1962-1987, 1989-1992) · BRP(1963-1964) · 시로코(1963-1964) · 맥라렌(1966-현재) · 섀넌(1966) · 마치(1970-1977, 1981-1982, 1987-1989, 1992) · 서티스(1970-1978) · 티렐(1970-1998) · 콘유(1972) · 프랭크 윌리엄스 레이싱 카즈(1972-1976) · 엔사인(1973-1982) · 린카(1974-1975) · 토큰(1974) · 트로잔(1974) · 헤스케스(1974-1978) · 힐(1975) · LEC(1977) · 애로우즈(1978-2002) · 윌리엄스(1978-현재) · 톨먼(1981-1985) · RAM(1983-1985) · 스피릿(1983-1985) · 오닉스(1989-1990) · 레이턴 하우스(1990-1991) · 심텍(1994-1995) · 퍼시픽(1994-1995) · 스튜어트(1997-1999) · BAR(1999-2005) · 재규어(2000-2004) · | |
오스트리아 | 레드불(2005-현재) | |
이탈리아 | 마세라티(1950-1960) · 밀라노(1950) · SVA(1950) · 알파 로메오(1950-1951, 1979-1985, 2019-2023)[5] · 페라리(1950-현재) · 오스카(1951-1953, 1958) · 치시탈리아(1952) · 란치아(1954-1955) · 아르차니-볼피니(1955) · 데 토마조(1961-1963, 1970) · ATS(1963) · 테크노(1972-1973) · 메르치오(1978-1979) · 오셀라(1980-1990) · 미나르디(1985-2005) · 베네통(1986-2001)[6] · 콜로니(1987-1991) · 달라라(1988-1992) · 유로브룬(1988-1990) · | |
인도 | 포스 인디아(2008-2018) | |
일본 | 혼다(1964-1968, 2006-2008) · 마키(1974-1976) · 코지마(1976-1977) · | |
캐나다 | 스테브로(1963) · 울프(1977-1979) | |
프랑스 | 심카-고르디니(1950-1953) · 탈보-라고(1950-1951) · 고르디니(1952-1956) · 부가티(1956) · 마트라(1967-1972) · 리지에(1976-1996) · 르노(1977-1985, 2002-2011, 2016-2020)[7] · 마르티니(1978) · AGS(1986-1991) · 벤투리(1992) · 라루스(1993-1994) · | |
호주 | 맥과이어(1977) | |
홍콩 | 시어도어(1978, 1981-1983) | |
밑줄: 현재 포뮬러 1 시즌에 출전 중인 컨스트럭터 기울임체: 인디애나폴리스 500에만 출전했던 컨스트럭터 | ||
{{{#!folding [ 각주 보기 ] | }}}}}}}}}}}} |
[1] 버진은 2010년까지 영국 국적 팀이었으나 이후 러시아로 국적을 변경했다.[2] 마러시아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러시아 국적 팀이었으나, 2015년에는 영국 국적으로 변경했다.[3] 섀도우는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 국적으로 출전했지만 이후 영국 국적으로 바꿔 출전했다.[4] BMW가 자우버를 인수한 BMW 자우버 F1 팀은 독일 국적을 가지고 있었다.[5] 알파 로메오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는 자우버의 브랜드로 활동하며 스위스 국적을 가졌다.[6] 베네통은 1986년부터 1995년까지는 영국 국적을, 1996년부터 2001년까지는 이탈리아 국적을 가지고 있었다.[7] 2011년에 르노 F1 팀은 영국 국적을 가지고 있었다.
[1] 마스터카드와 네이밍 스폰서십을 체결함에 따라 2026시즌부터 맥라렌 마스터카드 포뮬러 1 팀이 될 예정이다.#[2] FIA 참가 리스트에 등록된 이름과 대외 명칭은 맥라렌 레이싱이 아닌 맥라렌 포뮬러 1 팀이다. 맥라렌 공식 홈페이지에는 맥라렌 레이싱으로 되어 있으나 F1 팀이므로 문서명은 참가 이름을 사용한다.[3] 2026년 부터 타이틀 스폰서 예정[4] 수석 보좌관은 클로이 토드(Chloe Todd)[5] 대부분의 레이스에서 피트월에 앉아있으며, 본능의 질주를 비롯해 미디어 인터뷰, 심지어 팀 프린시펄 프레스 컨퍼런스에도 주로 잭 브라운이 참여하기에 토토 볼프의 경우처럼 CEO이자 팀 프린시펄인 것으로 오해를 받으나, 직책은 엄연히 맥라렌 레이싱 CEO 하나다. 잭 브라운이 F1 팀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고는 있으나, '맥라렌 포뮬러 1 팀'이 아닌 '맥라렌 레이싱'의 CEO로서 인디카, WEC 등 다른 카테고리도 모두 지휘하고 있기 때문에, F1팀에 전념해야 하는 팀 프린시펄 직책은 안드레아 스텔라가 맡고 있다.[6] 레이스 엔지니어는 윌리엄 조세프 (William Joseph)[7] 레이스 엔지니어는 톰 스탈라드 (Tom Stallard)[8] (영어: McLaren 매클래런)[9] 이 팀의 전 수장인 론 데니스의 고향이기도 하다.[10] 맥라렌 포뮬러 1 팀은 페라리, 레드불, 메르세데스 등의 팀들과 함께 F1의 대표적인 인기 팀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페라리와 함께 F1 입문 팀으로도 사랑받고 있다.[11] MTC에 위치한 커다란 호수는 건물의 냉각 시스템 역할을 하며, 풍동 또한 이 호수에 의해 냉각된다. MTC의 디자인이 태극 문양과 비슷한 것 또한 건물과 호수가 상호작용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디자인 요소이다.[12] 이 Vlog 컨텐츠는 맥라렌의 인디카 팀인 애로우 맥라렌 SP에서도 'AMSP Unlocked'라는 이름으로 비슷하게 올라오고 있다.[13] 실제로 둘은 골프친구이기도 하다.[14] 2024년 마카오 그랑프리에서 열린 FIA F3 월드컵에서 우승했다.[15] 2025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도 같은 상황이 있었다. 랜도 노리스가 피트크루의 실수로 피트스탑이 크게 지연되어 오스카 피아스트리에게 추월당하자 팀오더로 오스카가 자리를 돌려주었다.[16] 이전 기록 1위는 레드불 레이싱이 규정 변경 이전에 '19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세운 1.82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