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22:28:29

프랜차이즈 선수

프랜차이즈 스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내셔널 풋볼 리그의 선수 계약 제도에 대한 내용은 프랜차이즈 태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프랜차이즈 선수
Franchise player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축구국내 축구 · 해외 축구(독일 · 스페인 · 이탈리아 · 잉글랜드 · 프랑스)
야구KBO · MLB · NPB
기타농구 · 배구 · 미식축구 · e스포츠
}}}}}}}}} ||


1. 개요2. 목록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A king should never leave his kingdom."
(왕은 왕국을 버리지 않는다.)
- 전 NBA 선수, 레지 밀러의 어록이다.[1]
Franchise player. 소위 말하는 '간판 선수'로, 해당 구단에 소속되어 활약하며 해당 구단의 이미지를 보인 선수를 일컫는 말이다.[2][3]

자로 잰 듯한 정의가 있진 않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구단의 이미지를 보이며 팬들의 지지를 받는 선수라는 것. 단순히 한 곳에서만 뛰지 않았더라도 하비에르 사네티처럼 오랫동안 구단에서 헌신했거나 카네모토 토모아키처럼 역사에 길이길이 남을 기록을 세웠다거나 구로다 히로키처럼 해외 리그에서 뛰다가 친정으로 돌아와도 인정해 준다. 또한 구단을 떠나더라도 선수는 원치 않았지만 강제로 이적했다거나[4] 충분히 구단에 헌신한 후 선수 생활 말년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보려는 것[5]이라면 대개 프랜차이즈 선수로 인정해 준다. 다른 곳에서 데뷔를 했다가 이적한 후 포텐셜이 터진 것[6]도 물론 인정해 준다.

NFL의 브렛 파브같은 선수는 그린베이 패커스의 프랜차이즈 스타였지만 선수 생활 연장을 위해 하필 지역 라이벌 미네소타 바이킹스로 이적하는 바람에 한동안 완전히 배신자 취급을 당하기도 했다.[7][8] 하지만 2014년 ESPN 방송 스케줄로 그린베이를 다시 찾았을 때는 그린베이 주민들의 환호를 받았으며 결국 2015년에는 패커스에서 영구 결번이 결정된 바 있다.

선수 생활의 시작과 끝을 한 곳에서만 한 프랜차이즈 선수는 '원 클럽 플레이어(One Club Player)'라 칭한다. 단, 한국에서는 군 복무로 인해 상무, 경찰청 등에 소속되는 경우가 많아 원 클럽 맨이 나오기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군 복무를 위한 이탈 기간을 제외하고 한 클럽에서만 뛰면 대개 원 클럽 맨이라고 지칭해준다. 외국에 갔다 온 경우도 너그럽게 봐 주는 편. 아예 출신지와 프로 데뷔를 시작한 구단의 연고지가 같다면 '로컬 보이(Local Boy)'라고 해서 원클럽맨 계열 프랜차이즈 선수 중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쳐준다.

2. 목록

범례
원 클럽 플레이어로 은퇴한 선수(★)
출신지와 연고지가 일치하는 경우(☆)
  • 출신지와 연고지가 일치하는 선수를 구분할 때는 당시의 연고지를 기준으로 한다.
  • 상무 팀, 공군 ACE 등은 자의로 팀을 이적한 게 아닌 병역의무이므로 당연히 제외한다.

2.1. 개별 문서

2.2. e스포츠

2.2.1.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2.2.1.1. 한 팀에 정하기 애매한 선수

2.2.2. 리그 오브 레전드

2.2.2.1. LCK

2.2.2.2. LPL

2.2.2.3. 기타

2.2.3. 오버워치

오버워치 리그의 창설시점과 해체시점을 전후하여 참가팀의 큰 변동이 발생했다. 따라서 해체된 팀의 로스터를 계승하는 팀[34]으로 이적하여 4시즌 이상 활동한 선수도 기재한다.

2.2.4. 카트라이더 시리즈

중소 프로팀의 창단과 해체가 자주 일어나는 리그 특성상 3년 이상 한 팀에서 활동하는 선수가 드물다. 그래서 팀에 활동했던 기간이 적어도 3년차 이상을 기준으로 작성한다.[47][48] 굵게 표시한 프랜차이즈 선수는 특정 팀을 떠오르게 하는 독보적으로 대표되는 선수들이다.

2.2.5.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는 선수들은 보통 계약이 끝나면 보통 타 팀으로 이적을 많이 하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선수가 많이 없다. 따라서 한 팀에서 3년 동안 활약한 선수도 포함하여 기재한다.

3. 관련 문서



[1] 실제로, 레지 밀러는 수많은 이적 제의를 거절하고 인디애나 페이서스에 은퇴할 때까지 활약했고, 결국 영구결번까지 등록된다.[2] 그야말로 그 구단의 이미지를 보이는 선수이기에 대표적인 경우가 원클럽맨이며, 원클럽맨이 아니더라도 10년 언저리 동안 해당 구단에서 활약한 선수를 보통 프랜차이즈 선수로 여긴다. 혹은 그 기간에 조금 못 미치더라도 꾸준한 성적을 보였던 경우에도 프랜차이즈 선수 대우를 받는다. 공식 타이틀 홀더와 같이 구단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경우에도 프랜차이즈 선수로 여겨지기도 한다.[3] 세부 항목으로 프랜차이즈 스타가 있는데, 이는 야구 선수로서의 능력인 성적을 바탕으로 스타로 활약하며 해당 구단에 일정 이상의 기여를 한 선수를 말한다. 단순히 오래 소속되어 있음으로 주어지는 칭호는 아니며, 소속 기간 보단 기여도를 바탕으로 주어지기에 쉬이 얻어지지 않는 칭호다. 다만 원클럽맨의 경우 그 기여도가 다른 프랜차이즈 스타 보다 근소하게 못미치더라도 프랜차이즈 스타로 대우해주는 경우도 있다.[4] 최동원, 패트릭 유잉, 리오넬 메시 등이 있다.[5] 칼 말론, 필 니크로, 최은성,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등이 있다.[6] 박병호, 데이비드 오티즈, 프랭크 램파드 등이 있다.[7] 사실 이건 노쇠화하는 파브를 계속 두고 있다가는 구단 성적을 유지하기 힘든 패커스와, 어쨌든 풋볼을 계속하고 싶은 파브의 이해관계의 충돌의 결과라 파브의 탓만을 할 수는 없다.[8] 심지어 패커스는 파브를 자기 구단에서 은퇴시키기 위해 더이상 NFL에서 뛰지 않는 조건으로 10년간 500만불을 제안하기도 했다.[9]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다시 돌아왔다.[10]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화승 오즈로 다시 돌아왔다.[11] 제8게임단, 그러니까 진에어 그린윙스는 사실상 화승의 후신팀이다. 명목 상으로는 위메이드 폭스, 화승 오즈, MBC GAME HERO 3개 구단의 선수단을 통합했지만, 위메이드 출신은 전태양 하나 뿐인데다 진에어 그린윙스로 개편하기 직전에 결국 kt 롤스터FA 이적했고, MBC게임에서는 프로토스 선수단이 넘어왔지만 모두 은퇴 후 아프리카TV로 떠났기 때문. 이 때문에 진에어 그린윙스에는 화승 출신이 항상 과반수였다. 다만 이제동은 얼마 지나지 않아 EG에 임대 선수로 이적했다가 완전히 이적하여 활동 무대를 해외로 옮겼다.[12]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다시 돌아왔다.[13]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다시 돌아왔다.[14] 스타리그 우승과 양대리그 동시 결승 진출, 강도경과의 역대 최강 팀플조합 등[15] 이윤열, 홍진호는 임대 선수[16] 홍진호, 임재덕과 각각 20승씩 쌓았다. 승률도 엄청 좋다.[17]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다시 돌아왔다.[18] 군 복무로 공군 ACE에서 활동 후 은퇴했다.[19] 추후 CJ 엔투스와 합병[20] 중간에 CJ 엔투스로 임대 후 다시 돌아왔다.[21] 2020년에 T1과 3년 재계약, 파트오너 계약을 맺으며 T1의 공동 소유주가 되었다. 사실상 T1 원클럽맨 확정이며 선수 생활 이후에도 관계자로서 T1에서 계속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22] T1의 페이커와 함께 현재 LCK에 남은 유이한 원 클럽 플레이어다.[23] 은퇴 이후 젠지 감독을 거쳐 2024년 11월에 kt 롤스터 감독으로 복귀했다.[24] 2017년에 Vici Gaming으로 이적했다가, 2018년에 SK telecom T1 코치로 복귀하였다. 이후 2군 감독, 1군 코치, 1군 감독을 차례로 맡았다가 2023년 7월에 사임했다.[25] 2021시즌 부터 젠지 스트리머로 활동 중이다.[26] (2019.11.19~2020.05.29)까지 휴식 후 서머 복귀
(2020.05.29~2020.11.16)까지 복귀 후 경력
[27] 은퇴 이후에도 2022시즌까지 같은 팀에서 코치로 활동했다.[28] 2부팀 Team WE Academy 시절 포함.[29] 2019시즌 이후 은퇴하고 EDG의 감독으로 부임 하였다가 2021시즌에 선수 복귀. 이후 다시 감독으로 부임했다.[30] 2013시즌과 14시즌을 Royal Club에서 보냈다. RNG는 공식적으로는 Royal Club을 계승하는 팀이 아니지만, 어찌됐든 로얄 클럽 시절에도 우지가 프랜차이즈 스타였기에 RNG의 얼굴마담으로 인식되고 있다.[31] C9 Academy 시절 포함.[32] 은퇴 이후에도 Cloud 9의 소유주 및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33] 페이커와 마찬가지로 TSM의 지분을 받는 계약을 체결, 2020시즌 이후 은퇴하고 TSM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다만 이후 감독직에서 내려와 Team Liquid의 미드라이너로 복귀하였다.[34] 리그 이전의 Lunatic-Hai가 리그 창설 이후 서울 다이너스티로 계승된 경우, 리그의 항저우 스파크가 리그 해체 이후 Once Again으로 계승된 경우 등.[35] 오버워치 이전에는 Lunatic-Hai 스페셜 포스 팀에서 활동한 적도 있으나 일단 이 문단에는 기간에 포함하지 않았다. 2021년에는 Gen.G Esports 소속 스트리머로 활동했다. 서울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오버워치 최초의 영구결번 사례였다.[36] 류제홍이 서울을 떠난 뒤 유일하게 남은 루나틱 출신 서울 선수였다. 2020시즌 종료 후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2021 시즌에는 필라델피아 퓨전으로 이적하여 활동했고 해당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2022시즌에는 서울로 돌아와 감독직을 맡았으며 이는 2023시즌까지 이어졌다.[37] 뉴욕은 새별비와의 계약을 종료하면서 Forever Our Captain이라는 헌정 영상을 업로드했다. 2022년 뉴욕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38] LW BLUE에는 8월 10일에 입단을 했지만 22일에 LW BLUE가 기권 선언을 하며 LW BLUE 소속으로 경기를 뛰진 않았다. 2021년 뉴욕팀의 대대적 리빌딩 이후에는 프랜차이즈 스타를 넘어서 정신적 지주이자 주장으로 팀을 이끌었다. 이후 서울 다이너스티에 입단했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시즌 시작 전 은퇴 선언을 하면서 사실상 뉴욕 엑셀시어의 원클럽맨이라 봐도 무방하다.[39] 출범시즌부터 2022시즌까지 다섯 시즌 동안 퓨전의 선수로서 활동했다. 2023년부터는 같은 구단의 발로란트 팀으로 넘어가 활동했으며, 동시에 인페르날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40] 출범시즌부터 2021시즌까지 네 시즌 동안 퓨전의 선수로서 활동했다. 2023시즌에는 인페르날의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했으나 선수 로스터에 등록되어 있었고 실제로 출전하여 경기도 치렀다. 2023년 인페르날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41] 출범시즌부터 2021시즌까지 휴스턴의 선수로서 활동했고 2022시즌에는 휴스턴의 코치로서 활동했다. 중간에 선수 은퇴를 선언했다가 번복하여 복귀한 공백이 있는데, 이때 휴스턴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42] 2019시즌부터 2022시즌까지 네 시즌 동안 애틀랜타의 선수로서 활동했고 2023시즌에는 선수 은퇴 후 애틀랜타의 감독으로 활동했다. 이로써 게이터는 리그에서의 모든 기간을 애틀랜타 소속으로 활동했고, 애틀랜타 또한 창단부터 해체까지의 모든 기간을 게이터와 함께했다. 또한 2019시즌에는 투웨이 계약을 통해 아카데미 팀에서도 활동했다.[43] 2019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0시즌부터 애틀랜타에서 활동했다.[44]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항저우에서 활동했다.[45]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런던에서 활동했다.[46] 2019~2020시즌에는 아카데미 팀에서 활동했고, 이후 콜업되어 2021시즌부터 런던에서 활동했다.[47] 정식 창단 이후 3년차를 채운 게임단이 리브 샌드박스, 광동 프릭스, DFI 블레이즈, 락스밖에 없기 때문이다.[48] 현재는 남아있는 프로팀이 리브 샌드박스 밖에 없다.[49] 듀얼 레이스 1부터 문호준과 같은 팀이었다.[50] 현재도 광동 프릭스에서 파트너 BJ를 맡고 있다.[51] 샌드박스 게이밍의 카트라이더 팀 창단을 이끌었고 현재는 군입대를 했다.[52] 카트라이더 리그 정규시즌 한정으로 원클럽맨이다. 이벤트리그인 듀얼 레이스 X에서 현 소속팀인 광동 프릭스의 전신인 아프리카 플레임 소속이었기 때문이다.[53] 2020년에 타 팀으로 이적한 뒤 은퇴하였다가 2021년에 다시 젠지에 선수로 돌아왔다. 2022년에 최종적으로 은퇴하며 영구결번 선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