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 |||
상권 | ||||
학교 정보 | ||||
재단 | 역사 | 상징 | 대외교류 | |
학사제도 | 학부 | 총학생회 | 입시 | |
교육기관 |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기타 | ||||
교통 | 사건사고 | 동문 | 정보창고 |
1.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교통
대중교통 | ||
정류장(번호) | 버스 번호 | |
상명대학교 정문(01-278) | 서울 버스 7016, 서울 버스 서대문08, 서울 버스 종로13 | |
세검정, 상명대(01-134) | 서울 버스 163, 서울 버스 7730, 서울 버스 110B | |
상명대학교 입구 석파랑(01-287) | 서울 버스 1020, 서울 버스 1711, 서울 버스 7022, 서울 버스 7212 | |
상명대학교 입구 세검정 교회(01-142) | 서울 버스 1020, 서울 버스 1711, 서울 버스 7022. 서울 버스 7212 |
자가운전 | ||
출발 장소 | 오는 방법 | |
광화문/경복궁 | 1. 세종로에서 독립문 방면으로 좌회전 2. 경복궁역 사거리에서 효자동 방면으로 우회전 3. 자하문터널 방면으로 직진 4. 자하문터널 통과후 세검정삼거리에서 홍제동, 홍은 사거리 방면으로 좌회전 5. 40m 직진 후 상명대 방면으로 우회전 | |
내부순환도로 (자유로/성산대교) | 1. 내부순환도로 '홍제'에서 홍은사거리 방면으로 진출 2. 홍은사거리 방면으로 직진 3. 홍은사거리에서 북악터널 방면으로 직진 4. 세검정사거리에서 상명대 방면으로 좌회전 | |
불광동/역촌동 | 1. 불광역사거리에서 구기터널 방면으로 직진 2. 구기터널 통과 후 신영동 삼거리 방면으로 직진 3. 신영동삼거리에서 세검정 방면으로 우회전 4. 세검정사거리에서 상명대 방면으로 우회전 |
1.1. 남영역에서 오는 방법
- 7016번을 이용해 학교로 가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 남영역 개찰구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버스 정류장이 있으며, 횡단보도를 건너지 않고 조금 더 가면 7016번 버스 정류장이 있다.
- 7016번 외에도 1711번 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1711번은 언덕을 오르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
- 7016번은 약 30~40분 소요되며, 교통 상황에 따라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1.1.1. 붐비는 시간대
- 9시와 11시 수업 시간대가 가장 붐비며, 이 시간대에는 7016번 버스에서 자리를 잡기 어려울 수 있다. 학교까지는 약 30분 소요되며, 도로 상황에 따라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으므로 10분 정도 일찍 나가는 것이 좋다.
1.1.2. 7016 버스에 앉아서 가는 방법
1.1.2.1. 용산경찰서에서 출발
- 남영역에서 나온 후 왼쪽으로 계속 직진하면 신호등이 보이고, 그 신호등을 건너 직진하면 용산경찰서 버스 정류장이 나온다.
- 남영역에서 용산경찰서까지는 약 4~5분 정도 걸리며, 신호등에 걸리지 않으면 2분 내로 도달할 수 있다. 배차 간격이 길다면 용산경찰서에서 버스를 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1.2.2. 용산 꿈나무 종합타운에서 출발
- 용산경찰서에서 용산꿈나무종합타운까지는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이 구간은 신호등 때문에 더 빠르게 느껴질 수 있다.
- 용산경찰서에서 타기 어려운 경우, 용산꿈나무종합타운에서 7016번 버스를 타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1.1.2.3. 그 밖의 참고 사항
- 7016번 버스는 일부 정류장에서 뒷문 승차가 허용된다. 이는 광화문, 경복궁 이후의 정류장에서 주로 발생하며, 학생들이 많이 탑승하면 기사님이 뒷문을 열어준다.
- 일반 시민들도 탑승하는 버스이므로, 뒷문 승차가 민폐가 될 수 있다. 가능한 앞문으로 승차하며, 불가피한 경우에만 뒷문으로 승차하는 것이 좋다.
- 2024년 9월 2일부터 오르막길 사고 방지를 위해 상명대 정문을 지나는 시내/마을버스에 승차정원 제한이 시행된다. 만차 시에는 상명대와 관계없는 구간도 무정차 통과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1.2. 숙대입구역에서 오는 방법
- 서울역 이남 4호선을 타고 통학하는 학생들을 위한 팁: 숙대입구역 6번 출구로 나와 직진 후 왼편에 있는 신한은행 자동화코너를 지나 오른편 횡단보도를 건너면 중앙버스정류장이 있다. 이곳에서 1711번과 7016번을 탈 수 있다.
- 남영역에서 7016번을 간발의 차이로 놓친 후 1711번을 탔을 경우, 중앙버스정류장에서 내린 후 뛰어가 7016번을 탈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려우므로, 그냥 다음 7016번을 타는 것이 더 현실적이다.
- 숙대입구역과 남영역은 가까운 거리에 있어, 숙대입구역에서 오는 학생들은 남영역에서 7016번을 타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오전 11시 부근에는 숙대입구역에서 7016번을 앉아서 타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1.3. 서울역에서 오는 방법
- 서울역 9-1번 출구로 나오면 버스 정류장이 있다. 여기서 1711번, 7016번, 7022번을 탈 수 있다.
- 7016번을 탈 경우, 서울역에서 앉아서 갈 확률이 매우 낮다. 오후 한적한 시간대(2시~3시)에 가면 앉아서 갈 가능성이 있지만, 100% 앉고 가고 싶다면 남영역에서 타는 것이 좋다.
1.4. 시청역에서 오는 방법
- 시청역 4번 출구로 나와 직진하면 서울신문사(02-137) 정류장이 보인다. 여기에서 1711번과 7016번을 탈 수 있다.
- 피크 시간대에는 시청역에서 7016번을 탑승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배차 간격이 긴 경우, 1711번을 타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1.5. 광화문역에서 오는 방법
- 광화문역 2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버스 정류장이 있다. 여기에서 1020번, 1711번, 7016번, 7018번, 7212번 등을 탈 수 있다.
- 7016번은 지나치게 압축되어 승객을 더 이상 받지 못할 때가 있다. 이럴 경우, 1711번을 타고 언덕 아래에서 내린 후 종로13번을 타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 광화문역부터는 택시비가 부담스러울 경우, 택시팟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택시팟을 통해 택시비를 줄이고 더 빨리 이동할 수 있다.
1.6. 경복궁역에서 오는 방법
- 경복궁역 3번 출구를 이용하면 바로 버스정류장이 보인다. 1020번, 1711번, 7016번, 7018번, 7022번, 7212번 버스를 타고 학교로 올 수 있다.
- 아침 등교시간대에는 7016번을 타고 앉아갈 확률이 매우 낮다. 꽉 찬 7016번이 지나쳐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7016번 대신 다른 버스를 타는 것이 더 낫다.
- 광화문역처럼 택시팟을 구할 수 있는 글도 자주 올라오므로, 택시비를 아끼고 싶다면 택시팟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7. 불광역에서 오는 방법
- 불광역 2번 출구로 나와 녹번파출소 쪽으로 건너가서 직진하면 버스정류장이 있다. 여기서 7022번, 7211번, 7212번을 탈 수 있다.
- 7022번은 바로 가고, 7212번은 구기동 쪽으로 올라갔다 내려오는 경로이므로 소요 시간이 길다. 7211번은 구기동에서 종로13번으로 갈아타야 하므로, 시간이 더 걸린다.
- 수업을 학교 꼭대기에서 듣게 되면, 7022번이나 7211번을 타고 구기동 정류장에서 종로13번으로 갈아타면 된다.
1.8. 홍제역에서 오는 방법
- 홍제역은 서대문08번 마을버스, 110A, 163번 버스를 타고 올 수 있다.
- 서대문08번은 홍제역 1번 출구에서 바로 앞 마을버스 정류장에서 탈 수 있다.
- 110A, 163번은 1번 출구로 나와 유진상가 쪽으로 가서 시내버스정류장에서 탈 수 있다.
- 서대문08번 버스를 타면 언덕을 오르지 않고 바로 학교로 들어올 수 있다. 홍제역에서 걸어갈 경우 세무서길을 따라 올라가면 약 40분이 걸린다.
1.9. 길음역에서 오는 방법
- 성북구,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등에서 오는 학생들은 경복궁역보다 길음역에서 오는 것이 더 빠르다.
- 길음역 옆 길음뉴타운 정류장에서 163번 버스를 타고 정릉, 국민대, 북악터널을 지나 평창동주민센터에서 하차 후 13번 마을버스를 타면 학교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 길음에서 학교까지는 보통 30분 정도 걸리지만, 정릉로 일대는 일부 시간대에 차가 막힐 수 있다는 점을 유의.
1.10. 상암동에서 오는 방법
- 상암동에서 학교로 가는 버스는 7016번과 7730번이 있다.
- 7016번은 상암동에서 홍대를 지나 마포구를 관통하고, 강변북로를 통해 용산구를 경유한 후 서울역과 경복궁역을 지나 학교에 도착한다. 아침에는 7016번을 타지 않는 것이 좋다.
- 7730번을 타면 세검정, 상명대 정류장에서 하차 후 13번 마을버스를 타고 언덕 위까지 올라갈 수 있다.
2. 상명대학교 제 2캠퍼스 교통
대중교통 | ||
정류장 | 버스 번호 | |
상명대학교 | 천안 버스 14, 천안 버스 20, 천안 버스 200, 천안 버스 201, 천안 버스 700, 천안 버스 702 | |
안서동보아파트 | 천안 버스 24, 천안 버스 81 |
2.1. 두정역에서 오는 방법
2.1.1. 셔틀버스
- 두정역에서는 셔틀버스를 운영한다. [2] 정류장은 1번 출구로 나와서 왼쪽 계단으로 내려가면 바로 보인다. 셔틀버스 정류소는 단국대와 호서대가 같이 사용하고 있으니 버스를 잘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셔틀버스를 못 탈 거라는 걱정은 안 해도 된다. 08:25 이후의 차량은 아무리 사람이 많았어도 탈 수 있다. 급한 상황이 아니라면 셔틀버스를 이용하자. 돈도 아끼고 시간도 절약이다.
- 지각할 걱정 안 해도 된다. 무조건 08:53분 이내로 정문에 도착한다. 사고로 인한 교통체증을 제외한다면 도착시간보다 빨리 왔던 적만 있었지 늦은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 기사님들께 꼭 인사하자. 우리의 등하교를 책임지는 아주 고마우신 분이다. 거기다 매우 친절하시기까지 한다.
- 셔틀버스 시간표를 편하게 보고 싶다면 이 에타 게시글을 확인해주길 바란다. 앱으로 볼 수 있으며, 학식도 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3]
서울캠퍼스: https://everytime.kr/370450/v/353277272
천안캠퍼스: https://everytime.kr/370451/v/352479818
2.1.2. 시내버스 [4]
- 시내버스는 14번과 20번, 81번 3개의 버스가 존재하는데, 1번 출구로 나와 우회전하여 신호등을 건너면 된다. 14번과 20번은 상명대학교 정류장에서 내려 지하터널을 지나 왼쪽 언덕길을 오르면 바로 정문이 보인다.
- 81번은 안서동보아파트 정류장에서 내려주며, 신호등을 건너 번화가를 지나면 정문이 보인다. 여기서 디대생[5]과 스융과[6] 학생들의 꿀팁을 알려주자면, 81번 탑승 후 호서대학교 정류장에서 하차한다. 다음 신호등을 건너고 좌회전하면 동보아파트 바로 직전(인도가 끊기는 길)에 골목길이 나오는데 그 길을 들어가면 계당관 앞으로 바로 갈 수 있는 계단이 나온다. 디대생들은 계단을 올라오자마자 바로 우회전하면 나온다.
2.1.3. 기타
- 만약 오전 수업에 지각하기 직전이라면, 택시를 타는 것은 정말 어리석은 짓이다. 그 이유는
천안 교통이 참 뭐 같..차가 많이 막히고 버스 탑승인원이 심각하게 많은 데다, 소요시간도 버스보다 5~10분 단축되는 정도뿐이다. 그런 경우에는 공유 바이크를 타고 가는 것이 정말 최고의 방법이다[7].
- 1. 두정역 1번 출구에 나와서 왼쪽 계단을 내려가면 엘리베이터 바로 옆에 전동 킥보드와 공유 바이크가 무수하게 많다. 이것을 타고 바로 그 방향으로 직진한다.
- 2. 고가도로가 보인다면 그 밑에서 바로 좌회전하여 교차로를 거친다.
- 3. 하천 길이 보인다면 밑으로 내려가서 신세계백화점이 보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쭉 직진한다. 웬만하면 오른쪽 길을 가는 게 좋다.
- 4. 하천 길이 끝나면 올라간 대로 직진 후 길이 갈라지면 우회전을 한다. 왼쪽 길은 갈 수는 있지만 가면 안 된다. 천호지 산책로이기 때문에 자전거 출입 금지다. 길도 좁아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 5. 이때 큰 도로가 보인다면 왼쪽에 주유소가 보이는데 그 방향으로 쭉 직진하면 상명대학교 가는 길의 지하터널이 보인다. 바이크로 가면 진심 20분도 안 걸린다. 운 좋게 신호등 소요시간이 걸리지 않는다면 10~13분 정도 소요된다.
2.2. 천안역에서 오는 방법[8]
- 서울인천 또는 경기북부 통학생들은 무궁화호를 통해 오는 경우가 많아 천안역을 많이 거칠 것이다.
- 천안역 1번 출구로 나오면 택시들이 줄지어 있는 도로가 있다. 그 길에서 직진 후 우회전 하면 교차로가 보이는데, 그 교차로 방향으로 직진하여 신호등을 건나면 정류장이 나온다. 이때 200번 또는 201번을 타면 된다.
- 다른 정류장에서도 탈 수 있다. 천안역 2번 출구로 나와서 바로 도로로 나가면 정류장이 보인다. 신호등을 건너서 702번, 700번, 24번을 탈 수 있다. 24번은 두정역의 81번과 마찬가지로 안서동보아파트에서 하차한다.
[1] 여기 기록된 지하철역들 중 유일하게 정차안내멘트에서 상명대가 언급된다.[2] 상명대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에서 셔틀버스 또는 통학버스를 검색하면 해당 학기의 버스 운행 시간표와 정류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3] 이 앱은 천안캠 새내기 공대생이 만들었다고 한다. 24년도 기준 아직은 미완성이라고 한다.[4] 만일 오전 수업에 시내버스를 탈 생각인 사람이라면 진짜 1교시 잡지 마라. 출퇴근 시간대의 천안은 정말 지옥보다 더하다. 도로가 그냥 마비되는 수준으로 소요시간이 50분 가까이 걸리는데, 애초에 버스를 탈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안서동에는 상명대를 포함해 5개의 대학이 있고, 원조급 천안 시내라 불리는 터미널을 거치기 때문에 탑승 인원이 진짜 상상하지도 못할 급으로 많아 버스를 못 타는 경우가 많다. 2학기 때는 학생들이 잘 안 타게 되어 괜찮지만, 1학기 개강 시즌에는 새내기들이 잘 몰라 시내버스를 타는 경우가 많다. 잔말 말고 셔틀버스만 타라...[5] 디자인대학[6] 스포츠융합학부[7] 지각하기 직전일 때의 방법이지 웬만하면 셔틀버스나 시내버스를 타는 것을 권장한다. 한번 갈 때 3천원 가깝게 나온다.[8] 카카오버스 같은 실시간 버스정보 앱으로 확인하고 상황에 맞춰 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