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4 23:32:36

상명대학교/학사제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상명대학교
파일:상명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상권
학교 정보
재단 역사 상징 대외교류
학사제도 학부 총학생회 입시
교육기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기타
교통 사건사고 동문 정보창고
}}}}}}}}} ||
1. 개요2. 서울캠퍼스
2.1. 수강신청2.2. 학적 변동2.3. 교육과정2.4. 전공제도2.5. 성적
2.5.1. 성적평가
2.5.1.1. 성적 이의 신청 방법2.5.1.2. 성적 열람 방법2.5.1.3. 결석자 및 시험 미응시자, 휴학자 성적 처리2.5.1.4. 재수강시
2.5.2. 학사경고
2.5.2.1. 참고 사항들
2.5.3. 학점포기(2013학번까지만 가능)
2.5.3.1. 참고 사항
2.6. 등록
2.6.1. 고지서 발급법2.6.2. 납부 방법2.6.3. 납부 확인법2.6.4. 그 밖의 참고 사항들
2.7. 졸업
2.7.1. 졸업 요건
2.7.1.1. 논문2.7.1.2. 고사
2.7.2. 졸업인증제
2.7.2.1. 외국어졸업인증제2.7.2.2. 한국어졸업인증제
2.7.3. 조기졸업
2.7.3.1. 신청 자격2.7.3.2. 참고사항들
2.8. 계절 수업
2.8.1. 신청절차2.8.2. 그 밖의 참고사항들
2.9. 교직
2.9.1. 비사범대학 교직과정 이수신청 방법(일반)2.9.2. 비사범대학 교직과정 이수신청 방법(편입자)2.9.3. 비사범대학 교직과정이수예정자 선발절차2.9.4. 무시험검정 합격 기준 1
2.9.4.1. 조건들
2.9.5. 무시험검정 합격 기준 22.9.6. 교직과정에서의 다전공2.9.7. 현장 실습(교육실습영역)2.9.8. 그 외
3. 천안캠퍼스

1. 개요

학사제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학교 사정에 따라서 변경 될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학교 홈페이지를 참고.

2. 서울캠퍼스

2.1. 수강신청

2.2. 학적 변동

  • 학적 변동은 휴학, 복학, 자퇴 및 제적, 재입학, 전과를 말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명대학교/학사제도/학적 변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명대학교/학사제도/학적 변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명대학교/학사제도/학적 변동#|]][[상명대학교/학사제도/학적 변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교육과정

상명대학교 교육 과정
파일:capture-20191104-222424.png
파일:capture-20191104-222644.png

2.4. 전공제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명대학교/학사제도/전공제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명대학교/학사제도/전공제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상명대학교/학사제도/전공제도#|]][[상명대학교/학사제도/전공제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성적

2.5.1. 성적평가

  • 학업 성적 부여 절차는 학기전과 중 그리고 후에 따라서 다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트를 참고.
  • 상명대학교 성적 평가는 상대평가 1, 2 그리고 예외로 나누어진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상명대학교 알아두면 좋은 정보 문서를 참고.
  • 2015년 입학자부터는 재수강을 해도 최대 B+까지로 학점 제한이 생겼다.
2.5.1.1. 성적 이의 신청 방법
  • 성적 이의 신청 기간에 인터넷 학부학사 시스템을 통해 직접 신청을 하면 된다.
2.5.1.2. 성적 열람 방법
  • 성적 열람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강의평가 및 교육만족도 설문 조사를 완료해야 한다.
  • 성적 확인은 상명대학교 학사정보시스템에 들어간 다음 금학기 성적조회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5.1.3. 결석자 및 시험 미응시자, 휴학자 성적 처리
  • 매학기 총 수업 시간의 1/4이상 결석 할 경우 해당 과목은 F 처리가 된다[1]
  • 공결 및 질병으로 인한 시험 미응시자의 경우에는 공결, 질병이 발생한 후 1주일 이내에 시험 미응시신고서를 담당 교수에게 제출해야 한다. 시험 미응시신고서 양식지는 사이트로 들어가서 출력을 하면 된다. 담당 교수의 허가를 받은 이후 소속학부(과) 사무실에 제출을 하면 된다. 이후에 교수님의 재량에 따라 추가시험을 보거나 또는 중간 또는 기말 시험의 성적을 참작해서 나온다.
  • 질병휴학, 군휴학, 모성보호 휴학을 할 경우 매 학기 수업 시간의 2/3 이상을 출석 및 자기가 희망하는 경우 해당 학기의 성적을 인정받을 수 있다. 쉽게 말해 이 세 개에 해당하는 휴학을 할 경우 성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휴학원서 제출할 때 성적인정원을 함께 제출해야한다. 성적인증원 서류는 사이트로 들어간 다음에 학적양식 3 한글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2.5.1.4. 재수강시
  • 재수강은 c+이하 과목 중에서 학수번호가 동일한 경우에 희망 시 재수강을 할 수 있다.
  • 재수강 성적이 확정될 경우 이전에 받은 성적은 없어지고 새 성적이 부여되지만 학사경고는 취소가 되지 않으니 주의.
  • 폐지, 분리, 통합된 교과목에 한해서는 재수강을 할 수 없다.
  • 2015학번부터는 재수강을 하면 최대 B+까지 학점 제한이 생겼다.
  • 2016학번부터는 재수강 할 수 있는 과목이 최대 6과목이다. 교양 필수, 전공필수, 교직교과목, 외국인 학생이 수강한 교과목에 F등급을 받은 경우는 예외적으로 과목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2.5.2. 학사경고

학사 경고는 해당 학기의 평점 평균이 일정 이하일 경우에 받는데, 1학년과 2학년은 1.6미만일때, 3학년과 4학년은 1.75미만일 경우 학사 경고를 받는다.
2.5.2.1. 참고 사항들
  • 재학 중에 연속으로 학사 경고를 3회 받으면 제적 처리가 된다. 단, 졸업대상자의 경우 제적처리에서 제외된다.
  • 휴학자 및 재입학자는 복학 및 재입학시기부터 학사 경고 횟수를 재산정한다.
  •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은 개별적으로 학사 경고가 통지 된다.
  • 학사 경고를 받은 학생이 다음 학기에 재학을 할 경우 지도교수 및 학부(과)장과 면담을 진행한다. 만약 자신이 외국인 유학생이라면 외국인유학상담센터에서 면담을 진행한다.
  • 학사 경고를 받은 학생은 다음 학기 재학 중에 학생상담센터, 교수학습개발센터의 프로그램에 참여를 해야한다.
  • 학사 경고를 연속 2회 받은 학생은 개강전에 소속학부(과)와 국제학생지원팀에서 학사지도를 받는다.
  • 학사 경고는 계절수업 및 8학기를 초과하여 등록한 학생은 학사 경고를 받지 않는다.

2.5.3. 학점포기(2013학번까지만 가능)

2013 이전 학번 중 4학년(7학기)에 재학중인 학생에 한해서는 학점을 포기할 수 있다. 하지만 학점을 포기하는 과목은 정해져 있는데, 2013년 동계 계절학기까지 취득한 학점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2.5.3.1. 참고 사항
  • 학점 포기는 2013 이전 학번만 가능하며 2013년도 동계 계절학기까지 취득한 학점에 한해서만 학점 포기를 할 수 있다.
  • 신청 시기는 4월, 10월 초에 할 수 있으며 관련 공지사항이 학교홈페이지에 올라오니 참고하자. 신청 시기 동안에 상명대학교 학사정보시스템에 로그인 한 후에 학점 포기를 진행하면 된다.
  • 학점을 포기할 학기의 취득 학점이 학점을 포기할 학점을 제외하고 12학점 이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1학년 1학기 취득 학점이 18학점인데 이 중에서 3학점을 포기한다고 하면 1학년 1학기의 취득학점이 15학점이 되니 학점 포기가 정상적으로 가능하다.
  • 계절학기는 취득 학점과 관계 없이 학기당 3학점 까지만 학점 포기를 할 수 있다.
  • 한번 포기한 학점은 복구 할 수 없다.
  • 포기한 과목은 졸업 성적 산출에서 제외되며, 제외에 따라 평점 평균이 새로 산출된다.

2.6. 등록

  • 등록금 납부기간은 2월, 8월 중으로 정해지니 학교 홈페이지를 참고.

2.6.1. 고지서 발급법

고지서 발급 방법
파일:capture-20191106-173920d.png
  • 학사정보시스템, 등록정보에 들어가면 등록금 고지서를 출력할 수 있다. 등록금 고지서는 따로 우편으로 발송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서만 발급이 되니 이 점 참고.

2.6.2. 납부 방법

납부 방법은 총 3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창구납부와 온라인 입금 그리고 우리은행 간편서비스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를 참고.

2.6.3. 납부 확인법

등록금 납부 확인법
파일:capture-20191106-174608.png

우리은행 홈페이지 또는 학사정보시스템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또 등록금을 내면 학사정보시스템에 입력한 핸드폰 번호로 등록금 납부가 완료되었다는 문자 메시지가 날라온다. 이를 통해 등록금을 납부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2.6.4. 그 밖의 참고 사항들

  • 상명대학교의 등록금은 우리은행 홈페이지 또는 학사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등록금을 납부하면 학사정보시스템에 등록된 휴대폰 번호로 납부 완료 문자가 발송된다. 등록금 반환과 관련된 사항은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등록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미등록 제적 처리되며, 학과 수석의 경우 등록금이 0원이지만 반드시 0원 납부 등록을 해야 한다. 0원 납부는 우리은행 창구, 학생경비 입금, 우리은행 간편서비스 등을 통해 가능하다. 중간고사 시작 전 휴학하면 등록금이 이월되지만, 중간고사 시작 이후 휴학하면 등록금을 다시 납부해야 한다.

2.7. 졸업

2.7.1. 졸업 요건

졸업 요건
파일:capture-20191106-175715.png
  • 전공 학점은 입학년도 또는 복학원 학년 기준으로 이수해야 하며, 2016학번부터 다전공, 부전공, 심화전공 중 하나를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교양 학점은 입학년도 기준으로 이수해야 하며, 교양 필수와 교양 선택으로 나뉜다. 복학해도 입학 당시 학번 기준으로 교양을 이수해야 한다. 전공과 교양 이수 학점을 충족한 후에는 나머지 학점을 원하는 과목으로 자유롭게 채울 수 있으며, 타 학과 전공 과목을 수강해도 무방하다. 총 이수 학점은 2013학번 이전의 경우 140학점, 2013학번 이후는 130학점이다.
졸업요건 자가진단방법
졸업 요건 자가 진단법
파일:capture-20191106-180536.png
  • 졸업을 위해서는 졸업논문, 고사, 작품, 실기 발표 심사에서 합격해야 하며, 8학기 이상 등록(조기 졸업자는 6학기, 학석사 연계과정은 7학기)해야 한다. 외국인 특별전형 입학자의 경우 한국어 졸업 인증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전 학년 총 평점 평균은 일반 졸업자의 경우 1.7 이상, 조기 졸업자는 4.0 이상을 만족해야 한다. 졸업요건 자가진단 로드맵이 학교 홈페이지에 제공되어 있으므로 참고하면 된다. 졸업 유예, 재수, 수료를 원하는 경우에는 신청서를 정해진 기간 내 학부(과) 사무실에 제출해야 한다.
2.7.1.1. 논문
  • 4학년(7학기) 이상 예정자인 경우 졸업 논문 및 고사, 실기 등을 볼 수 있으며, 논문 계획서는 졸업 예정 학년도 3월과 9월에 학과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논문 지도교수는 전임교원 또는 비전임교원(시간강사 제외)이어야 하며, 논문 지도교수 1인당 학생 수는 10명을 적정 인원으로 한다. 논문 제출 시기는 전기 졸업 대상자는 졸업 학년도 11월 말, 후기 졸업 대상자는 5월 말까지이며, 학과 사무실에 제출해야 한다.
2.7.1.2. 고사
  • 졸업고사는 본시험과 재시험으로 진행되며, 본시험은 졸업 학년도 6월(후기는 4월), 재시험은 10월(후기는 6월) 중에 실시된다. 다만, 학과별로 졸업고사 일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할 것.

2.7.2. 졸업인증제

  • 졸업 인증제는 외국어졸업인증제와 한국어졸업인증제로 나뉜다.
2.7.2.1. 외국어졸업인증제
  • 외국어졸업인증제는 공인어학능력시험 또는 대체 인정 교과목을 이수하여 외국어 어학능력을 인증하는 제도이며, 졸업을 원하는 학기의 졸업식 2개월 전까지 한 차례 인증을 완료해야 한다. 2006학년도 이후 입학생 및 2008학년도 이후 3학년 편입생 중 재학생과 수료자가 대상이며, 특수교육대상자, 외국인학생 특별전형, 시간제 등록생, 계약학과 및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전형 입학자, 의료인양성과정 편입학자는 제외된다.
  • 각 학과별 요구 점수는 학교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되며, 토익 기준 일반 계열은 600점 이상, 예체능 계열은 500점 이상, 영어교육과는 800점 이상이어야 한다. 영어 외에도 제2외국어 성적으로 인증이 가능하지만, 영어교육과의 경우 제2외국어로 인증받을 수 없다.
  • 공인어학능력시험 성적 제출 외에도 학교에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이수하여 인증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양 필수 영어 과목(English Foundations: Speaking and Listening) 또는 교양 교과목(기초 중국어, 중급 중국어, 실용 한자, 한문 등)을 들으면 되지만, 성적이 최소 B등급 이상이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재수강하거나 다른 대체 교과목을 들어야 한다. 단, 공인어학능력시험 성적으로 졸업 필수 영어 교과목을 대체할 수는 없으므로 반드시 해당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 외국어 졸업인증 절차는 공인어학능력시험 성적 제출 또는 대체 인정 교과목 이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이며, 성적 제출은 1학기의 경우 36월, 2학기는 912월 중 학부(과) 사무실에 하면 된다. 인증 여부는 상명대학교 학사정보시스템에서 성적 정보의 ‘외국어졸업인증 취득 여부’ 항목에서 확인 가능하며, P라고 표시되면 통과한 것이다.
  • 대체인정 교과목인 교양 영어 과목과 제 2외국어 교양 과목은 다음과 같다.
교과목명 학수번호
English Foundations (Speaking and Listening) LR1034
English Foundations (Reading and Writing) LR1036
English Enrichment (Speaking) LF0321
English Enrichment (Current Issues) LF5017
English Enrichment (Listening) LF9255
English Enrichment (Writing) LF9256
기초베트남어 LF9354
교과목명 학수번호
기초중국어 LF5001
중급중국어 LF9079
실용한자 · 한문 LF5014
기초일본어 LF0325
중급일본어 LF9078
기초프랑스어 LF5018
기초스페인어 LF9299
2.7.2.2. 한국어졸업인증제
2011년도 이후부터 외국인특별전형으로 입학한 신,편입학생은 한국어졸업인증대상에 포함된다. 한국어 졸업인증 자격을 받기 위해서는 공인어학능력시험인 토픽(TOPIK)이 일정 등급이상 나와야 한다. 이 등급은 일반계열과 예체능 계열에 따라서 점수가 다르다.
구분 등급
일반게열 TOPIK 4급 이상
예·능계열 TOPIK3 3급 이상
  • 한국어졸업인증제는 2011학년도 이후 외국인특별전형으로 입학한 신입생 및 편입생이 대상이며, 졸업을 위해서는 공인어학능력시험(TOPIK)에서 일정 등급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일반 계열과 예체능 계열에 따라 요구되는 점수가 다르며, 성적 유효기간은 없다. 신청은 매 학기 진행되며, 한국어졸업인증신청서 1부 또는 TOPIK 성적증명서 1부를 제출하면 된다.
  • 한국어 졸업인증 여부는 학사정보시스템에서 성적 정보의 ‘한국어졸업인증 취득 여부’ 항목에서 확인 가능하며, P라고 표시되면 통과한 것이다.

2.7.3. 조기졸업

2.7.3.1. 신청 자격
  • 조기졸업을 신청하려면 일정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2013학번 이전 학생은 5학기 또는 6학기 말까지 117학점 이상을 이수하고 총 평점 평균이 4.0 이상이어야 하며, 2014학번 이후 학생은 5학기 또는 6학기 말까지 108학점 이상을 이수하고 총 평점 평균이 4.0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학번과 관계없이 졸업논문, 졸업고사 또는 실기 발표 등의 심사를 통과해야 하며, 이를 통과하지 못하면 조기졸업이 불가능하다.
2.7.3.2. 참고사항들
  • 조기졸업 자격을 상실하면 8학기까지 반드시 등록해야 하며, 편입학자나 재입학자는 조기졸업이 불가능하다. 또한, 징계처분을 받은 학생은 조기졸업 대상에서 제외된다. 조기졸업 신청은 매 학기 초(3월, 9월)에 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안내된다.

2.8. 계절 수업

  • 계절수업은 여름과 겨울 방학 동안 운영되며, 학점이 부족한 학생이 필수 학점을 이수하거나 미리 학점을 취득하기 위해 신청할 수 있다.

2.8.1. 신청절차

  • 계절수업 신청 절차는 개설희망 교과목 조사, 수강신청, 개설 확정 교과목 공고, 타교생 수강신청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전 재학생을 대상으로 1인당 최대 2개 교과목까지 개설 희망 신청이 가능하며, 학사정보시스템에서 계절수업 메뉴를 통해 원하는 과목을 검색하고 신청하면 된다. 이후 정식 수강신청 절차를 거쳐야 하며, 수강신청은 학사정보시스템의 계절수업 메뉴에서 진행된다.
  • 개설 확정은 수강 신청자가 10명 이상인 강좌에 한해 이루어지며, 10명 미만인 경우 폐강된다. 이로 인해 학교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특정 과목 수강 신청을 요청하는 글이 올라오는 경우가 많다. 타교생의 경우 별도로 정해진 기간에 신청 및 등록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2.8.2. 그 밖의 참고사항들

  • 계절수업에서 취득한 학점은 해당 학기의 평점 평균에는 반영되지 않지만, 최종 평점 평균에는 포함된다. 예를 들어, 2019년 1학기 여름 계절수업에서 취득한 학점은 2019년 1학기의 평점 평균에는 반영되지 않지만, 전체 평점 평균에는 포함된다. 계절수업 성적이 평점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정보는 잘못된 것이므로 유의해야 한다.
  • 성적 평가는 상대평가로 진행되며, 계절수업에서 취득한 학점은 졸업 이수 학점에 포함된다.
  • 계절수업의 최소 개설 인원은 전공과 교양에 따라 다르다. 전공 교과목은 15명 이상(단, 서울권역 e-러닝 강좌는 제외), 교양 교과목은 10명 이상이 되어야 개설된다.
  • 계절수업 수강 가능 학점은 입학 연도에 따라 다르다. 2014년도 신입학자 및 2016년도 편입학자는 최대 6학점, 2013년도 이전 신입학자 및 2015년도 이전 편입학자는 최대 9학점까지 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의 입학 연도에 따라 신청 가능한 학점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수업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진행되며, 1교시는 오전 9시에 시작된다. 하계 계절수업에서는 1학기 개설 교과목을, 동계 계절수업에서는 2학기 개설 교과목을 운영한다. 강의 시간표는 사전에 공지되며, 강의실은 계절수업 시행 전에 확정되어 발표된다.
  • 대학 간 학점 교류 일정은 교류 대학별로 확정된 이후 별도로 공지되며, 타 대학 계절수업을 수강할 경우 본교 성적 산정 시까지 취득 성적이 도착하지 않으면 졸업 및 장학 산정에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2.9. 교직

상명대학교에서 교직과정은 사범대학의 모든 학과[2]와 일부 비사범대학 학과[3]에서만 이수가 가능하다.

2.9.1. 비사범대학 교직과정 이수신청 방법(일반)

  • 비사범대학 교직과정 이수신청 방법(일반)
    • 교직과정이수희망신청카드 작성
    • 2학년 초 신청 날짜에 본인의 학과 사무실에 제출

2.9.2. 비사범대학 교직과정 이수신청 방법(편입자)

  • 비사범대학 교직과정 이수신청 방법(편입자)[4]
    • 전적 대학에서 교직과정 이수예정자로 선발된 경우.[5]
    • 해당 학과에 교직과정 이수예정자 결원이 있어야 신청 가능.
    • 초등학교 준교사 이상의 자격증을 보유한 경우.

2.9.3. 비사범대학 교직과정이수예정자 선발절차

  • 교직과정 이수예정자 선발절차는 학과장이 신청자의 인성과 적성을 평가한 후, 교직지원센터장이 신청서와 대장을 수합하여 교원양성위원회에 전달한다. 교원양성위원회는 성적순으로 심사하여 적격자를 선발하며, 부적격자는 제외된다. 선발된 학생은 교직과정이수신청서를 작성하여 교직지원센터에 제출한다.

2.9.4. 무시험검정 합격 기준 1

교직과정이수예정자[6]들은 상명대학교 내에서 진행하는 교직과정을 이수해야 하고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2.9.4.1. 조건들
  • 전공과목 : 50학점 이상[7]
  • 교직과목
교직과목영역 사범대학(23학점이상) 비사범대학(22학점이상)
교직이론 12학점(6과목) 이상
교직소양 7학점(4과목)이상 6학점(3과목) 이상
교육실습 4학점(3과목) 이상
  • 전공과목 100점 중 75점, 교직과목은 100점 중 80점 이상이어야 한다.
  • 졸업 전에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에서 2회 적격 판정을 받아야 한다.
  • 졸업 전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이수를 2회 이상 받아야 한다.

2.9.5. 무시험검정 합격 기준 2

  • 교직과정에서 교육학과는 교직이론영역 교과목을 전공과목으로 개설하여 이수할 수 있으며, 중복 이수는 허용되지 않는다. 주전공과 다전공의 선발 시기가 다를 경우, 다전공 검정 기준은 주전공 검정 기준을 따른다.

2.9.6. 교직과정에서의 다전공

  • 사범대학 학생과 교직과정 이수예정자는 다른 사범대학의 학과나 교직과정 설치학과를 다전공할 수 있으며, 다전공을 할 경우 제 1전공 및 다전공 학과의 기본이수영역 지정교과목, 교과교육영역 교과목을 각각 최소 50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2.9.7. 현장 실습(교육실습영역)

  • 교직과정 이수예정자와 사범대학 학생은 학교 현장 실습과 교육봉사활동을 해야 한다. 학교 현장 실습은 상명대학교에서 지정한 중등학교에서 실시되며, 교직목적 다전공자는 제 1전공으로 학교현장실습을 하되, 학교 현장실습 대상 학교가 부족한 경우 다전공 표시과목으로 현장실습을 할 수 있다. 학교현장실습을 원하는 학생은 일정 기간 내에 교직지원센터에 신청해야 하며 관련 서식은 대학생활, 행정서식, 교직관련 서식에서 확인할 수 있다.

2.9.8. 그 외

  • 교직과정 관련 양식들은 상명대학교의 교직관련 서식들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교직과목은 교직과 일반선택(일선)으로 구분되며, 사범대학 학생이나 교직과정이수예정자가 아닌 다른 학생들이 교직과목을 수강하면 일반선택(일선)으로 인정된다. 졸업 전까지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에서 두 번 이상의 적격 판정을 받아야 하며,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교육을 두 번 이상 이수해야 한다. 또한, 중등학교 정교사 2급 자격증 또는 사서교사(2급)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교직원센터에 교원자격 무시험 검정원서를 제출해야 한다. 교원자격증은 사범대학 학과와 교직과정이수예정자에게만 발급된다.

3. 천안캠퍼스


[1] 만약 취업계를 제출하여 허가를 받았다면 최저 성적이 부여된다.[2]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교육학과, 수학교육과.[3] 문헌정보학과, 경영학과, 식품영양학과(외식영양학과).[4] 편입생의 경우 일반적으로 교직과정 이수가 불가능하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신청할 수 있다.[5] 상명대학교의 동일 표시 과목 교직과정 설치 학과로 편입해야 한다.[6] 사범대학 포함.[7] 기본이수과목 21학점(7과목)이상, 교과교육영역 8학점(3과목)이상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