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5 21:52:38

새고전학파



경제학사(사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표시는 뒷 시기와의 단절, 색은 주류 학파
<rowcolor=white> (~ 1776년) 경제학의 태동
(1776년 ~ 1860년대)
미시경제학 확립
(1870년대 ~ 1920년대)
거시경제학 발전
(1930년대 ~ 1940년대)
거시정책 논쟁
(1950년대 ~ 1960년대)
합리적 기대 수용
(1970년대 이후)
중농주의
중상주의
고전파 경제학
노동가치설
비교우위론
화폐수량설

스미스 리카도 맬서스
한계학파
일반균형이론
제본스 발라스 멩거
신고전학파
고전적 이분성
세이의 법칙

마셜
케인스학파
유효수요론
시카고학파
통화주의
프리드먼
새고전학파
실물경기변동이론
루카스
신케인스학파
신고전파 종합
새뮤얼슨
새케인스학파
경직성모형
맨큐
맨체스터학파
자유무역
케임브리지학파
케인스
포스트 케인스학파
임금주도성장론
로빈슨 민스키
오스트리아학파
주관적 가치설
하이에크
독일 역사학파 미국 제도학파
베블런
신제도학파
게임 이론 법경제학 거래비용경제학 행동경제학 공공선택론
신경경제학

내시 사이먼 코즈 윌리엄슨
행동경제학
카너먼
마르크스 경제학
마르크스
생태경제학
스라피언 경제학
페미니즘 경제학
}}}}}}}}} ||


New classical economics.

신고전학파와는 다르다.[1]

기존의 주류 경제학에는[2] 미시적 기초가 없음을 지적하며,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존 무스 등이 말한 합리적 기대를 반영하면서 고전학파의 새로운 부흥을 이끈, 1970년대 들어 주류로 떠올랐던 경제학파다. 시카고학파의 주류 경제사상으로 여겨지며, 위기를 맞은 케인스학파가 미시적 기초를 일부 받아들이고 새 케인스학파로 발전하는데도 영향을 끼쳤다.

이론적으로 거의 완벽하기 때문에 논리적 모순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 학계의 의견이다.
그러나 새고전학파에 대한 비판적인 학자들은 경제학 이론의 역할 중 제일 중요한 역할인 현실 설명력이 낮다고 비판하며 새고전학파의 이론이 수학적 엄밀성만 추구하느라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1] 이쪽은 neoclassical economics. 고유어 'new'와 '새'는 대응하고, 고유어가 아닌 'neo'와 '신'이 대응한다.[2] 신고전학파 종합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