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사(사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표시는 뒷 시기와의 단절, ●색은 주류 학파 | ||||||
<rowcolor=white> (~ 1776년) | 경제학의 태동 (1776년 ~ 1860년대) | 미시경제학 확립 (1870년대 ~ 1920년대) | 거시경제학 발전 (1930년대 ~ 1940년대) | 거시정책 논쟁 (1950년대 ~ 1960년대) | 합리적 기대 수용 (1970년대 이후) | ||
중농주의† 중상주의† | 고전파 경제학 노동가치설 비교우위론 화폐수량설 스미스 리카도 맬서스 | 한계학파 일반균형이론 제본스 발라스 멩거 | 신고전학파 고전적 이분성 세이의 법칙 마셜 | 케인스학파 유효수요론 | 시카고학파 통화주의 프리드먼 | 새고전학파 실물경기변동이론 루카스 | |
신케인스학파 신고전파 종합 새뮤얼슨 | 새케인스학파 경직성모형 맨큐 | ||||||
맨체스터학파 자유무역 | 케임브리지학파 케인스 | 포스트 케인스학파 임금주도성장론 로빈슨 민스키 | |||||
오스트리아학파 주관적 가치설 하이에크 | |||||||
독일 역사학파† | 미국 제도학파 베블런 | 신제도학파 게임 이론 법경제학 거래비용경제학 행동경제학 공공선택론 신경경제학 내시 사이먼 코즈 윌리엄슨 | 행동경제학 카너먼 | ||||
마르크스 경제학† 마르크스 | 생태경제학 스라피언 경제학 페미니즘 경제학 |
1. 개요
貨幣數量說 / Quantity Theory of Money고전학파의 이론 중 하나로, 물가 수준이 화폐공급과 비례한다는 이론이다.
2. 내용
화폐수량설은 기본적으로 어빙 피셔의 [math(MV≡PT)] 라는 항등식에서 출발한다. [math(M)]은 화폐공급(통화량), [math(V)]는 화폐유통속도, [math(P)]는 물가 수준, [math(T)]는 거래량이다. 우변 PT는 국민경제에서 이루어지는 총 거래액을 뜻하고, 이것이 통화량과 유통속도를 곱한 MV와 반드시 일치하여야 한다.우변에서 T를 Y(산출량)로 대체하면 우변은 PY, 즉 명목 GDP가 된다. 이때 V는 사회의 관습과 제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고, Y 역시 장기적으로 자연산출량에 수렴하므로 상수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P는 M에 비례한다는 것이 화폐수량설의 내용이다. 실제로 화폐수량설은 장기적으로 유의미한 이론이라 평가된다.
3. 비판
화폐수량설은 노동시장이 언제나 완전고용상태를 유지한다는 전제에서만 성립한다.마르크스 경제학에서는 화폐수량설이 MV≡PT 항등식을 곡해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 항등식은 단지 M≡PT/V를 만족하여야 한다는 것, 즉 통화량이 총거래액을 화폐유통속도로 나눈 값이 되게끔 조절하여야 한다는 뜻이지, M의 수준에 따라 P가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본다.
케인스학파에서는 V가 안정적이라는 가정을 부정한다. 유동성 선호 이론에 따르면 화폐수요는 이자율과 산출량에 대한 함수로 표현되며, 이자율에 대해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산출량에 대해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본다. 따라서 V가 이자율의 함수로 표현되므로 상수라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밀턴 프리드먼의 신화폐수량설에 의해 일정 부분 수용된다. 프리드먼은 화폐수요가 이자율에 영향을 받음을 인정하였으나, 그 영향력은 유동성 선호 이론에서 가정하는 것보다 작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