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0:32:56

서브웨이 시리즈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184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wiki style="color:#181818"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로고.svg파일:탬파베이 레이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로고.svg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파일:미네소타 트윈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로고.svg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파일:워싱턴 내셔널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로고.svg파일:신시내티 레즈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모자 로고.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로고.svg파일:신시내티 레즈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파일:워싱턴 내셔널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파일:몬트리올 엑스포스 로고(1992~2004).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MLS에서 뉴욕 레드불스와 뉴욕 시티 FC의 더비에 대한 내용은 허드슨 강 더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파일:서브웨이 시리즈.jpg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New York Mets
NYM
정규시즌 전적
2024년 7월 24일 기준.
뉴욕 양키스
New York Yankees
무승부 뉴욕 메츠
New York Mets
80 0 66
포스트시즌 전적
2000년 10월 26일 기준.
뉴욕 양키스
New York Yankees
무승부 뉴욕 메츠
New York Mets
4 0 1
최근 5경기 전적
일시 장소 결과
2024년 7월 24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12 - 3 양키스
2024년 7월 23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3 - 2 양키스
2024년 6월 26일 시티 필드 양키스 2 - 12 메츠
2024년 6월 25일 시티 필드 양키스 7 - 9 메츠
2023년 7월 26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1 - 3 양키스
1. 개요2. 어원3. 시장 트로피 경기4. 정규시즌으로의 서브웨이 시리즈5. 기타
5.1. 양팀에서 모두 뛴 선수
6. 클럽의 성공
6.1. 결과 요약
7. 역대 전적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라이벌리로, 지하철로 양 팀의 경기장이 이어짐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는 뉴욕 양키스뉴욕 메츠간 경기를 말한다. 과거에는 뉴욕 양키스, 뉴욕 자이언츠브루클린 다저스의 경기도 서브웨이 시리즈라고 부르기도 했다.

2. 어원

이 명칭의 어원은 꽤 오래되었다. 1889년 당시 뉴욕을 연고지로 두었던 뉴욕 자이언츠브루클린 다저스간의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가 그 시초였는데, 당시 뉴욕은 트롤리가 다니던 시절이라 서브웨이가 아닌 트롤리 시리즈로 불렸다.[1] 브루클린 다저스의 팀명인 다저스도 ‘트롤리 다저스’에서 기원한 것으로 당시 뉴욕시 대중교통이 트롤리였기에 이를 피하면서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 붙여진 것이다. 게다가 년도를 보면 알다시피 뉴욕 양키스가 창단도 되기 전이었고[2] 아울러 아메리칸 리그가 설립된 년도가 1901년이었으며[3]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 우승팀간의 경기인 월드 시리즈가 제정된 것이 1903년이었다.[4]

여하튼 이후 한동안 뉴욕 연고지 팀들간의 경기가 없었다가 1921년 뉴욕 자이언츠와 뉴욕 양키스간의 월드 시리즈가 성사되면서 이 명칭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듬해 다시 한번 이 두 팀들간의 매치가 성사되면서 두 번째로 불려지게 되었다. 그리고 1923년, 양팀간의 3년 연속 매치 성사로 3회 연속으로 불려지는 호칭이 된다.

1956년, 다저스와 자이언츠가 캘리포니아로 연고지 이전을 하기 2년전 양키스와 다저스간의 월드 시리즈에 붙여진 이후 무려 44년만의 공백끝에 뉴욕 양키스와 뉴욕 메츠간의 2000년 월드 시리즈가 성사됨으로써 서브웨이 시리즈가 귀환하였다.

3. 시장 트로피 경기

시즌 날짜 경기장 원정팀 결과 홈팀 관중수 역대 전적
1963 6월 20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6-2 양키스 50,742 메츠 1-0-0
1964 8월 24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6-4 메츠 55,396 1-1-0 동점
1965 5월 3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2-1(10) 양키스 22,881 메츠 2-1-0
1966 6월 27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5-2 메츠 56,367 동점 2-2-0
1967 7월 12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4-0 양키스 31,852 메츠 3-2-0
1968 5월 27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3-4 메츠 35,198 메츠 4-2-0
1969 9월 29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6-7 메츠 32,720 메츠 5-2-0
1970 8월 17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4-9 양키스 43,987 메츠 5-3-0
1971 9월 8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2-1 메츠 48,872 메츠 5-4-0
1972 8월 24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1-2 양키스 52,308 동점 5-5-0
1973 5월 10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4-8 메츠 - 메츠 6-5-0
1974 5월 30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9-4 메츠 35,894 동점 6-6-0
1975 5월 15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9-4 메츠 - 양키스 7-6-0
1976 6월 14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4-8 양키스 36,361 양키스 8-6-0
1977 6월 23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4-6 메츠 15,510 양키스 8-7-0
1978 4월 27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3-4(11) 양키스 9,792 양키스 9-7-0
1979 4월 16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1-1(5) 메츠 13,719 양키스 9-7-1
1982 5월 27일 양키 스타디움 메츠 4-1 양키스 41,614 양키스 9-8-1
1983 4월 21일 셰이 스타디움 양키스 4-1 메츠 20,471 양키스 10-8-1

4. 정규시즌으로의 서브웨이 시리즈

1997년 메이저리그는 사상 첫 리그 교류전인 인터리그를 실시한다. 이 인터리그는 다수의 연고지 팀들을 보유한 캘리포니아, 뉴욕, 시카고, 텍사스에서[5] 관심을 끌어모았는데 이중 당연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을 둔 캘리포니아, 시카고 화이트삭스시카고 컵스를 둔 시카고, 그리고 뉴욕 양키스와 뉴욕 메츠를 둔 뉴욕의 반응이 뜨거웠다.

특히 뉴욕은 자이언츠와 다저스가 나란히 서부로 이전한 1958년 이후 4년동안 양키스 혼자 독점적 위상을 누려왔고 1962년 메츠가 창단된 이후에도 메츠의 허접한 성적으로 인해 거의 양키스 왕국으로 불리던 지역이었다. 다만 1969년 메츠의 창단 첫 월드 시리즈 우승과 80년대의 대활약과 더불어 양키스의 암흑시대가 시작되면서 양팀 팬들의 기세가 역전되던 상황에서 인터리그 신설 소식이 알려지자 팬들은 누가 실세인지를 가릴 수 있는 기회가 왔다며 반기는 분위기가 된다.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1997년 6월 16일, 양키스와 메츠와의 사상 첫 정규시즌 리그 교류전이 (구)양키스 스타디움에서 벌어졌고 당시 메츠의 선발이었던 데이브 믈릭키의 완봉승 호투에 힘입어 메츠가 양키스에 6-0으로 승리, 기선을 제압한다.

2022년 이 라이벌전의 명칭으로 인해 샌드위치 체인점인 써브웨이에서 스폰서를 맡게 되었다.

2025년의 시리즈는 후안 소토가 메츠와 초대형 계약을 맺은 것을 계기로 한단계 진화할것으로 보인다. 서로 소 닭보듯 하던 관계에서 그야말로 철천지 원수 사이로 돌변했기 때문[6].

5. 기타

  • 현재까지 총 14회 서브웨이 시리즈가 치러졌는데 양키스의 압도적인 우세이다. 11회나 위닝 시리즈를 가져갔다.
  • 2024년 치러진 4번의 맞대결에선 뉴욕 메츠가 4전 전승으로 양키스를 압도했다.
  • 최악의 실책을 상징하는 히 드랍 더 볼의 유명세도 여기서 유래되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5.1. 양팀에서 모두 뛴 선수

배열은 가나다순, 명예의 전당 헌액자는 볼드체
이름 양키스 소속 메츠 소속
게리 셰필드 2004~2006 2009
게리 산체스 2015~2021 2023
닐 워커 2018 2016~2017
드와이트 구든[7] 1996~1997 1984~1994
데이비드 로버트슨 2008~2014, 2017~2018 2023
데이비드 콘[8] 1995~2000 1987~1992, 2003
대럴 스트로베리[9] 1995~1999 1983~1990
델린 베탄시스[10] 2011~2019 2020~2021
로빈슨 카노[11] 2005~2013 2019~2022
리키 헨더슨 1985~1989 1999~2000
바톨로 콜론 2011 2014~2016
요기 베라[12] 1946~1963 1965
애덤 오타비노 2019~2020 2022~2024
루이스 세베리노 2015~2023 2024
클레이 홈즈 2021~2024 2025~
후안 소토 2024 2025~

6. 클럽의 성공

월드 시리즈 타이틀 리그 페넌트 부문 타이틀 와일드 카드 자리 플레이오프 출전 월드 시리즈 출전 정규 시즌 역대 기록 승률 플레이한 시즌
뉴욕 메츠 2 5 6 5 11 5 4,816-5,148-8 .483 63
뉴욕 양키스 27 41 21 9 59 41 10,778-8,148-88 .569 122
메츠 + 양키스 29 46 27 14 70 46 15,594-13,296-96 .540 뉴욕에 122개, 총 185개
2024년 10월 30일 기준.

6.1. 결과 요약

메츠 승리 양키스 승리 메츠 득점 양키스 득점
정규 시즌 66 80 663 692
월드 시리즈 1 4 16 19
67 84 679 711

7. 역대 전적

1997: NYY 2-1
1998: NYY 2-1
1999: 3-3
2000: NYY 4-2
2000 WS: NYY 4-1
2001: NYY 4-2
2002: 3-3
2003: NYY 6-0
2004: NYM 4-2
2005: 3-3
2006: 3-3
2007: 3-3
2008: NYM 4-2
2009: NYY 5-1
2010: 3-3
2011: NYY 4-2
2012: NYY 5-1
2013: NYM 4-0
2014: 2-2
2015: NYY 4-2
2016: 2-2
2017: NYY 4-0
2018: 3-3
2019: 2-2
2020: 3-3
2021: NYM 4-2
2022: 2-2
2023: 2-2
2024: NYM 4-0

8. 둘러보기

닉스 - 네츠 라이벌리
아일런더스 - 레인저스 라이벌리
데블스 - 레인저스 라이벌리
허드슨 강 더비
자이언츠 - 제츠 라이벌리

[1] 뉴욕시에 지하철이 개통된 때는 1904년이다.[2] 1903년 창단. 다만 창단 당시 팀명은 뉴욕 하이랜더스였다가 1913년 팀명을 개칭한다.[3] 내셔널 리그는 1876년 창설.[4] 여담으로 1921년과 1922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자이언츠가 우승, 2연패를 달성했으나 1923년에 양키스가 창단 첫 우승으로 자이언츠의 3연패를 막았다.[5] 캘리포니아, 뉴욕, 시카고의 연고팀은 서로 다른 리그에 속해있어서 인터리그가 아닌 이상 만나기가 쉽지 않지만 텍사스는 텍사스 레인저스휴스턴 애스트로스가 똑같은 아메리칸 리그 서부지구에 있어서 1년 내내 피터지게 싸운다. 이는 2013년부터 애스트로스가 내셔널 리그에서 아메리칸 리그로 소속 리그를 옮겨서 생긴 일이다.[6] 사실 양키스-메츠 라이벌전은 라이벌이라고도 할 수 없었던게 양키스의 성적이 압도적이었기 때문이었다. 때문에 양키스 팬덤의 메츠에 대한 반응은 “응, 어서오고,“ 정도에 불과했었다.[7] 메츠에서 MVP급 활약을 하며 투수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거나 사이 영 상수상하는 등 정상급 투수로 군림하다가 마약 문제로 인해 추락하다가 FA로 뉴욕 양키스로 이적했다. 이적 이후 노히트노런을 달성하거나 10승을 기록하며 쏠쏠한 활약을 펼쳤으며 월드시리즈 우승 반지도 얻었다.[8] 뉴욕 메츠에서 기량을 만개해 최전성기를 누리며 드와이트 구든 대신 메츠의 에이스 역할을 수행하다 캔자스시티 로얄스를 거쳐 양키스로 이적해서 퍼펙트 게임과 4번의 우승반지를 획득하며 에이스 역할을 했다.[9] 1980년대 메츠의 상징하는 선수로 메츠의 영웅 소리를 들으며 승승장구 했으나 자기관리 실패로 망해갔지만 양키스 이적 후 쏠쏠한 활약을 펼치며 양키스의 3번의 우승에 기여하였다.[10] 양키스에서 데뷔 후 2010년대 최고의 우완 불펜투수라고 평가받으며 한시대를 풍미한 불펜투수[11] 양키스 시절 데릭 지터, 호르헤 포사다, 버니 윌리엄스, 앤디 페티트, 마리아노 리베라 5스타 라인 이후 간만에 등장한 팜 출신 프랜차이즈 스타로서 향후 데릭 지터를 이어 팀의 간판이 될 것으로 주목받았으나 두 번의 금지약물 적발로 몰락한 선수이다.[12] 양키스에서 포수로서 리그 정상급 성적을 냈지만 감독 부임 첫해 월드시리즈 진출이라는 쾌거를 거두며 상대였던 카디널스와 7차전 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는데 문제는 양키스 수뇌부가 요기베라를 짜르고 당시 카디널스의 감독을 대려오는 뻘짓을 저지르며 버림받자 곧장 새로 창단한 메츠에 은사 케이시 스텡겔을 따라 건너가 플레잉 코치로서 뛰었고 양키스는 그 후 요기베라와 화해할 때까지 11년간 암흑기를 겪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