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
12 | 13 | 14-1 | 14-2 | 15 | |
20 | 21 | 22 |
| |
1. 개요
안암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5가(성신여대입구역)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신설동역) | ||
종점 행 | 첫차 | 05:20 | 기점 행 | 첫차 | 05:32 |
막차 | 00:00 | 막차 | 00:11 | ||
평일배차 | 5~12분 | 주말배차 | 8~15분 | ||
운수사명 | 안암교통 | 인가대수 | 9대 | ||
노선 | 성신여대입구역 - (→ 돈암시장입구 → 성신여대정문[단독] →/← 삼선동주민센터 ← 성북구청 ← 보문2교 ←) - 홈마트 - 용문중고교 - 고려대이공대 - 고대병원 → 안암역 → 고대앞사거리 → 우신향병원 → 종암초등학교 → 용두시장 → 신설동역 → 대광고 → 안암오거리 → 개운사입구 → 고대병원 → 이후 역순 |
3. 역사
- 2004년 개편 이전에는 6번 마을버스였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성북04번으로 바뀌었다.
- 참살이길이 일방통행으로 바뀌면서 신설동역 방향 운행시 고대앞사거리 → 우신향병원으로 우회 운행하도록 바뀌었다.
- 현재 이 노선도 안내방송 시스템이 본시스템으로 교체되었다.
4. 특징
- 노선이 조금 복잡한 편인데, 8자 형태로 신설동 방향과 성신여대입구 방향이 겹치는 부분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 정도면 2개 노선을 합쳐놓은 수준이다.
- 성신여대 방면에서 신설동역 방향에서는 들어가는 참살이길에 들어가지 못하고 우신향병원 방면으로 돌아간다. 그 이유는 참살이길이 일방통행이기 때문이다.[2]
- 참살이길 공사나 고연전이 있을 경우, 참살이길을 통제하기 때문에 신설동역에서 성신여대 방면으로 갈때는 우신향병원을 거쳐 고대앞 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한 뒤에 원래 노선대로 운행을 한다. 성북 04번과 함께 참살이길을 경유하는 2115번도 같은 경로로 우회한다.
- 중간에 껴있는 용문고등학교의 통학버스로 이용되기 때문에 통학시간대 엄청난 규모의 인파로 붐비게 된다. 주로 성신여대입구역으로 몰려가므로 헬을 경험하고 싶지 않으면 건전한 마음으로 걸어가는걸 추천한다.
- 고려대학교를 거치는 만큼 고려대학교 학생의 이용 빈도가 매우 높다. 사실상 신설동역에서 출발하는 통학버스 수준. 과거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없었을 때부터 존재했던 마을버스인데 그 시절에는 고려대학교 통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이용했던 사실상의 학교 셔틀버스였다.[3] 인문사회계 쪽에서는 문과대나 정경대가 아닌 이상 이용하기 조금 애매하지만 이공계 학생들은 써볼만 하다. 많은 이공계 학생들이 하나과학관 앞 정류장에서 우루루 내리는 광경을 볼 수 있다.
- 정류장 찾는 것이 쉽지 않은 편인데, 신설동역에서는 1번 출구, 성신여대입구역에서는 3번 출구 앞에 있다.[4]
- 성북구 마을버스 중 유일하게 타 권역으로 진입하는 마을버스다.[5]
- 출근 시간에는 용두동사거리 - 신설동역구간이 매우 막히기 때문에, 원래 노선에서 경유하지 않는 버스 전용차로로 들어가기도 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04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6,315명 | - |
2014년 | 7,389명 | △ 1,074 |
2015년 | 7,725명 | △ 336 |
2016년 | 7,944명 | △ 219 |
2017년 | 7,768명 | ▽ 176 |
2018년 | 7,681명 | ▽ 87 |
2019년 | 7,443명 | ▽ 238 |
2020년 | 5,215명 | ▽ 2,228 |
2021년 | 4,917명 | ▽ 298 |
2022년 | 5,206명 | △ 289 |
2023년 | 4,996명 | ▽ 210 |
2024년 | 4,679명 | ▽ 317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신설동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서울 지하철 6호선: 안암역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입구역, 신설동역
6. 관련 문서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2] 참살이길은 매우 좁은 편이나, 2115번과 함께 이곳을 경유한다.[3] 그당시 지하철을 이용, 고려대학교에 오려면 신설동역이나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이 버스를 타고 와야 했다. 고려대학교를 경유하는 시내버스는 제법 있지만 동대문이나 신설동의 악명 높은 교통정체구간을 통과해야 하는 관계로 시간관계상 선호되지 않았다. 1998~1999년까지 고려대학교 어학원에 다녔던 샘 해밍턴도 당시에는 6호선이 없어서(고려대역과 안암역은 2000년 12월 개통) 신설동역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학교를 다녔다고 라디오 스타에 출연해 증언한 바 있다.[4] 성신여대입구역에는 경전철 환풍구로 인하여 승차 대기열과 하차 대기열이 붙어있으니 그걸 찾으면 되고, 신설동역에서는 1번출구로 나오면 바로 앞에 정류장이 있다. 보통 신설동역이나 성신여대입구역에서 대기를 하다가 출발하기 때문에 바로 탈 수 있다.[5] 2권역인 동대문구에 속해있는 용두동, 신설동, 대광고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