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석가모니의 외모에 관해 서술하는 문서. 본 문서는 석가모니불의 외모 묘사에 관해 이야기하므로, 다른 불상의 외형 묘사와는 혼동되지 않도록 서술한다.[1]2. 들어가기에 앞서
[ruby(凡, ruby=범)][ruby(所, ruby=소)][ruby(有, ruby=유)][ruby(相, ruby=상)] [ruby(皆, ruby=개)][ruby(是, ruby=시)][ruby(虛, ruby=허)][ruby(妄, ruby=망)] [ruby(若, ruby=약)][ruby(見, ruby=견)][ruby(諸, ruby=제)][ruby(相, ruby=상)][ruby(非, ruby=비)][ruby(相, ruby=상)] [ruby(則, ruby=즉)][ruby(見, ruby=견)][ruby(如, ruby=여)][ruby(來, ruby=래)]
신체적 특징들은 모두 헛된 것이니,
신체적 특징이 신체적 특징 아님을 본다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
금강경의 제1구게
신체적 특징들은 모두 헛된 것이니,
신체적 특징이 신체적 특징 아님을 본다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
금강경의 제1구게
[ruby(若, ruby=약)][ruby(以, ruby=이)][ruby(色, ruby=색)][ruby(見, ruby=견)][ruby(我, ruby=아)] [ruby(以, ruby=이)][ruby(音, ruby=음)][ruby(聲, ruby=성)][ruby(求, ruby=구)][ruby(我, ruby=아)] [ruby(是, ruby=시)][ruby(人, ruby=인)][ruby(行, ruby=행)][ruby(邪, ruby=사)][ruby(道, ruby=도)] [ruby(不, ruby=불)][ruby(能, ruby=능)][ruby(見, ruby=견)][ruby(如, ruby=여)][ruby(來, ruby=래)]
형색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으면,
삿된 길 걸을 뿐,
여래 볼 수 없으리.
금강경의 제3구게
형색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으면,
삿된 길 걸을 뿐,
여래 볼 수 없으리.
금강경의 제3구게
석가모니불의 외모는 아무도 알 수 없으며, 현존하는 정형화된 불상들 역시 석가모니가 사망하고 한참 후에 제작된 것들이다. 불교에서는 형색(形色; 형상과 빛깔)에 따라서는 부처님을 찾을 수 없다고 가르친다. 마음으로 나투거나,[2] 법으로 나투거나, 하다못해 나무위키의 어느 글귀를 통해서도 나툴 수 있는 것이 부처님이기에 '어떻게 생겼다', '석가모니불의 외모는 이렇다'는 편견 또는 집착을 갖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석가모니불의 외형을 불상으로 표현하는 것은 그 외모나 화려한 모습을 명확히 정하거나 숭배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며, 전승을 통해 전해지는 부처님의 모습을 통해 그 가르침을 되새기고 부처님께 존경심을 표하는, 일종의 상징을 세우는 행위다.
3. 불경에서의 언급
세존께서는 바라문 쑨다리까 바라드와자의 발자국 소리 때문에 머리의 두건을 벗었다.
그러자 바라문 쑨다리까 바라드와자는 생각했다.
[쑨다리까] ‘이 존자는 머리를 빡빡 깎았네, 이 존자는 머리를 빡빡 깎았네.’
숫타니파타 3장의 4. 쑨다리까 바라드와자의 경(sundarika bharadvaja sutta)
그러자 바라문 쑨다리까 바라드와자는 생각했다.
[쑨다리까] ‘이 존자는 머리를 빡빡 깎았네, 이 존자는 머리를 빡빡 깎았네.’
숫타니파타 3장의 4. 쑨다리까 바라드와자의 경(sundarika bharadvaja sutta)
[쎌라] “당신은 몸이 완전하고 탁월하게 빛나며, 훌륭하게 태어나, 보기에도 아름답고, 용모는 금빛으로 빛나며, 치아는 아주 흽니다.
스승이시여, 당신은 정진력을 갖춘 분입니다.
참으로 위대한 사람의 특징으로서 태생이 좋은 사람이 갖추는 모든 상호들이 당신의 몸에 있습니다.
맑은 눈, 잘 생긴 얼굴 훤칠하고 단정하고 위엄있어 수행자들 속에서도 마치 태양처럼 빛납니다.
보기에도 선한 수행승이 황금빛 같은 피부와 이렇듯 빼어난 용모를 지니셨는데 수행자의 삶에 만족하십니까?
전륜왕이 되시어 전차 위의 정복자, 사방에 승리하는 세계의 지배자가 되셔야 합니다.
숫타니파타 3장의 7. 쎌라의 경(sela sutta)
스승이시여, 당신은 정진력을 갖춘 분입니다.
참으로 위대한 사람의 특징으로서 태생이 좋은 사람이 갖추는 모든 상호들이 당신의 몸에 있습니다.
맑은 눈, 잘 생긴 얼굴 훤칠하고 단정하고 위엄있어 수행자들 속에서도 마치 태양처럼 빛납니다.
보기에도 선한 수행승이 황금빛 같은 피부와 이렇듯 빼어난 용모를 지니셨는데 수행자의 삶에 만족하십니까?
전륜왕이 되시어 전차 위의 정복자, 사방에 승리하는 세계의 지배자가 되셔야 합니다.
숫타니파타 3장의 7. 쎌라의 경(sela sutta)
또한 다른 부분에서는 맑은 눈과 잘 생긴 얼굴, 키크고 단정하며 위엄을 지닌 귀티가 나는 상으로 묘사하고 있다.
・ 발바닥이 편평하다.
・ 발바닥에 수레바퀴 자국이 있다.
・ 손가락이 가늘고 길다.
・ 손발이 매우 부드럽다.
・ 손가락 발가락 사이에 얇은 비단 같은 막이 있다.
・ 발꿈치가 원만하다.
・ 발등이 높고 원만하다.
・ 장딴지가 사슴 다리 같다.
・ 팔을 늘어뜨리면 손이 무릎 아래까지 내려온다.
・ 남근이 오므라져 몸 안에 숨어 있는 것이 말의 것과 같다.
・ 키가 두 팔을 편 것과 같다.
・ 모공에 새까만 털이 나 있다.
・ 몸의 털이 위로 쏠려 있다.
・ 온몸이 황금빛이다.
・ 항상 몸에서 솟는 광명이 한 길이나 된다.
・ 살이 부드럽고 매끄럽다.
・ 발바닥과 손바닥, 정수리가 모두 판판하고 둥글며 두껍다.
・ 두 겨드랑이가 편편하다.
・ 몸매가 사자와 같다.
・ 몸이 크고 단정하다.
・ 양 어깨가 둥글고 두툼하다.
・ 치아가 40개이다.
・ 이가 희고 가지런하며 빽빽하다.
・ 송곳니가 희고 크다.
・ 뺨이 사자와 같다.
・ 목구멍에서 향기로운 진액이 나온다.
・ 혀가 길고 넓다.
・ 목소리가 맑고 멀리 들린다.
・ 눈동자가 검푸르다.
・ 속눈썹이 소의 것과 같다.
・ 두 눈썹 사이에 흰 털이 나 있다.
・ 정수리에 살이 있다.
바바린의 부탁을 받은 아지따는 석가모니에게서 바바린이 언급한 32상을 확인하고 가르침을 청한다. 여기에서 부처의 32상은 재가에 태어나면 전륜성왕이 되고, 출가한 사람이면 수많은 사람을 구원하는 성인된다는 관상이다. 본래 32상은 영적인 훈련을 받은 브라민만이 볼 수 있는 상이며, 일반적인 사람은 볼 수 없는 것이었으나 점차 누구나 볼 수 있는 특징인 것으로 전승되었다.・ 발바닥에 수레바퀴 자국이 있다.
・ 손가락이 가늘고 길다.
・ 손발이 매우 부드럽다.
・ 손가락 발가락 사이에 얇은 비단 같은 막이 있다.
・ 발꿈치가 원만하다.
・ 발등이 높고 원만하다.
・ 장딴지가 사슴 다리 같다.
・ 팔을 늘어뜨리면 손이 무릎 아래까지 내려온다.
・ 남근이 오므라져 몸 안에 숨어 있는 것이 말의 것과 같다.
・ 키가 두 팔을 편 것과 같다.
・ 모공에 새까만 털이 나 있다.
・ 몸의 털이 위로 쏠려 있다.
・ 온몸이 황금빛이다.
・ 항상 몸에서 솟는 광명이 한 길이나 된다.
・ 살이 부드럽고 매끄럽다.
・ 발바닥과 손바닥, 정수리가 모두 판판하고 둥글며 두껍다.
・ 두 겨드랑이가 편편하다.
・ 몸매가 사자와 같다.
・ 몸이 크고 단정하다.
・ 양 어깨가 둥글고 두툼하다.
・ 치아가 40개이다.
・ 이가 희고 가지런하며 빽빽하다.
・ 송곳니가 희고 크다.
・ 뺨이 사자와 같다.
・ 목구멍에서 향기로운 진액이 나온다.
・ 혀가 길고 넓다.
・ 목소리가 맑고 멀리 들린다.
・ 눈동자가 검푸르다.
・ 속눈썹이 소의 것과 같다.
・ 두 눈썹 사이에 흰 털이 나 있다.
・ 정수리에 살이 있다.
4. 불교 미술에서의 묘사
전해지는 불상의 이미지나 불화(佛畵)의 이미지는 대체로 또아리처럼 말은 머리카락(나발)과 큰 귀(특히 동아시아권에서는 후덕한 턱과 가느다란 눈, 미간의 점)를 지닌 것으로 표현되나, 모두 후대에 창작된 것이다. 전술되었듯이 석가모니가 진짜로 어떻게 생겼을지는 아무도 모른다.일반적인 불교 미술에서의 묘사는 다른 여러 부처와 마찬가지로 32상 80종호(참조)를 지닌 것으로 묘사되며, 이로 인해 다른 부처와 비슷해 보이는 까닭에 수인(손 동작)을 항마촉지인[3] 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미술의 등장 이전까지, 석가모니는 사람의 형상을 본뜬 조각상이 아닌, 주로 보리수 나무의 형상이나 윤회와 불교의 가르침을 떠오르게 하는 법륜[4]으로 표현됐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인도 원정 이후, 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은 인도인들은 석가모니를 본격적으로 구체적인 전신 조각상 또는 부조(浮彫)로 표현하기 시작했는데, 이 시기의 불상을 간다라 불상이라 부른다. 머리의 상투처럼 보이는 것은 육계(ushnisha)라 하는 것으로, 깨달음을 상징한다. 간다라에서 융성한 법장부에서부터 이런 식의 묘사가 전해져 내려온 것이다. 육계 위에 불꽃이 타오르는 식의 묘사도 자주 발견된다. ushnisha는 크샤트리아가 쓰는 터번을 뜻하기도 하는데, 이를 두고 본래는 숫타니파타에도 나온 것처럼 크샤트리아에 속한 붓다가 삭발한 머리 위에 쓴 두건을 묘사한 것이 상투처럼 형태가 변해 내려왔다는 설도 있다.
초기 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불상의 모습 |
간다라 불상은 동아시아권에서 묘사하는 석가모니의 외모와는 차이가 있다. 기독교의 예수의 이미지가 창작자, 창작 시기에 따라 이탈리아인처럼 묘사되기도, 아나톨리아인처럼 묘사되기도, 심지어 아랍인처럼 묘사되기도 하였듯이, 석가모니의 이미지는 묘사하는 국가와 시기에 따라 그 이미지가 크게 달랐다.
파키스탄에는 석가모니가 고행을 하던 시절의, 매우 마른 모습을 조각한 간다라 불상이 있어 특기할만하다. 이를 석가모니 고행상이라고 한다.
후한(後漢)시기에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래되고, 불교가 크게 융성한 위진남북조시대에는 왕즉불(왕이 곧 부처)사상에 따라 석가모니 불상조차 군주의 모습을 참고해 만들기도 하였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석가모니 상은 점차 황인처럼 묘사되기 시작했다.
당시 신라인이 생각하는 자비롭고 후덕한 성자의 이미지로 묘사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민간에서도 석가모니 불상이 많이 제작되면서, 조형미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좋게 말하면 개성이 뛰어난 석가모니 상도 많이 제작되었다.(예시)
일본의 석가모니상의 외형은 일본에 불교를 전래한 백제의 불상의 영향을 받았으며, 백제 멸망 이후에도 자체적으로 변화, 발전하였다.
힌두교 미술과 유사한 느낌으로 석가모니를 묘사한 그림[6] |
색감과 얼굴의 인상이 도리어 브라흐마, 시바와 같은 힌두교 신들의 그림과 비슷하다. 붉은 입술도 눈여겨볼만 하다. 유의할 점은 힌두교가 본격적으로 융성하기 이전에도 인도에서는 인도 특유의 개성을 더한 불상, 불화(佛畵)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따라서 불교의 석가모니 묘사가 힌두교 미술의 영향을 일방적으로 받았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밖에도 붓다의 전처인 야쇼다라가, 붓다가 성불한 이후 석가족을 찾아올 때 먼 발치에서 오는 모습을 보면서 아들인 라훌라에게 했던 노래에 붓다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 발에는 바퀴, 불자(拂子), 파라솔의 문양이 있다.
- 발뒤꿈치가 길다.
- 얼굴이 보름달같다.
- 코가 길고 높다.
- 눈이 푸른 색이다.
- 눈썹은 무지개 모양에 감청색이다.
- 속눈썹은 어린 암소의 그것과 같다.
- 목이 둥글고 매끄럽다.
- 턱은 사자의 턱이다.
- 몸이 매끄럽고 밝은 금빛이다.
- 목소리가 낮고 굵다.
- 치아가 40개다.
- 머리카락이 감청색이다.
- 미간에 금성처럼 흰 털이 있다.
상좌부 불교가 크게 융성한 동남아시아에서는, 동남아시아 특유의 미(美)를 가미한 석가모니상이 많이 제작되었으며, 힌두교 미술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1] 대체로 동아시아권에서 부처의 얼굴 묘사는 거의 비슷하나, 부처가 들고 있는 것이나 손의 수인(手印)을 통해 어떤 부처인지 구분한다.[2] '나투다'는 불교에서 쓰는 표현으로 부처가 깨달음을 주기 위해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3] 석굴암의 부처님이 하고 있는, 오른손을 무릎 위에 얹은 채 땅바닥을 가리키는 수인이다. '바로 이 땅이 깨달음을 증명한다.'는 의미로, 석가모니 부처님의 깨달음을 막으려던 마왕(마라 파피야스)과 그의 군대가 이 증명을 끝으로 완패했다고 전해진다.[4] 바퀴(Wheel). 팔정도를 나타내는 8개 축이 달린 '다르마 차크라'나 12연기의 양면을 나타내는 24개의 축이 달린 '아소카 차크라' 등[5] 아미타불이라는 설도 존재한다. 그러나 대중적인 인식도 그렇도, 주변에 제자상들이 배치되어 있어 석가모니불로 보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6] 이 이미지의 출처는 인도네시아 웹으로 확인되므로 참조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