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141414 20%, #141414 80%, #0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52525,#252525><colcolor=#ffffff,#ffffff> 사부 | <colbgcolor=#fff,#1f2023><colcolor=#181818,#e5e5e5>누르시아의 베네딕토 | |
정보 일반 | 베네딕도회 · 아빠스 | ||
베네딕도회 총연합 | <colbgcolor=#3b3b3b,#3b3b3b><colcolor=#ffffff,#ffffff> 총연합 | 베네딕도회 총연합 · 성 안셀모 수도원 ·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교 | |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올리베따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수비아코-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바이에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발롬브로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보이론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브라질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성모영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솔렘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아메리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슬라브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실베스트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잉글랜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코노-수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헝가리 연합회 | ||
해외 주요 수도원 | 몬테카시노 수도원 · 성 오틸리엔 대수도원 · 몬테 올리베토 마조레 대수도원 ·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 | ||
국내 수도원 |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원 · 성 베네딕도회 요셉수도원 | ||
독립 수사회 | 몬테 코로나의 까말돌리 독수도승회 | ||
수녀회 | 연합기구 | 국제 베네딕도회 공동체 | |
개별 수녀회 |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 ||
비가톨릭 | 성공회 | 성공회 베네딕트회 공동체 | |
정교회 | 성 라브렌티오스 베네딕토스회 · 해외 러시아 정교회 베네딕트 수도원 | ||
베네딕도회 수도자 |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 Congregatio Austriaca ab Immaculata Conceptione | |||||
| |||||
<colbgcolor=#C8102E,#C8102E><colcolor=#fff,#fff> 이명 | 오스트리아 베네딕도연합회 (Österreichische Benediktinerkongregation) | ||||
표어 | <colbgcolor=#C8102E,#C8102E><colcolor=#fff,#fff> 라틴어 | {{{#C8102E,#fff 'Ora et Labora'}}} | |||
영어 | Pray and Work | ||||
한국어 | 기도하고 일하라 | ||||
설립 시기 | 오스트리아 연합회 | 1625년 8월 3일 ([age(1625-08-03)]주년) | |||
잘츠부르크 연합회 | 1641년 ([age(1641-01-01)]주년) | ||||
통합 연합회 출범 | 1930년 12월 8일 ([age(1930-12-08)]주년) | ||||
설립 허가 | 교황 우르바노 8세 (오스트리아 연합회) 파리스 로드론 대주교[1] (잘츠부르크 연합회) 교황 레오 13세 (연합회 재인가[2]) 교황 비오 11세 (연합회 통합) | ||||
총재아빠스 | 초대 | 아달베르트 둥겔 O.S.B. (무염시태 연합회) 로무알트 호너 O.S.B. (성 요셉 연합회) | |||
현재 | 요하네스 페르크만 O.S.B. | ||||
규모 | 254명 (사제 194명) | ||||
종교 | 가톨릭 | ||||
소속 | 베네딕도회, 베네딕도회 총연합 | ||||
대표 수도원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성 베드로 대수도원 (Sankt-Peter-Bezirk 1, 5020 Salzburg, Österreich) | ||||
<nopad> | |||||
언어별 명칭 | |||||
{{{#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8102E,#C8102E> 라틴어 | <colbgcolor=#fff,#1f2023>Congregatio Austriaca ab Immaculata Conceptione | |||
독일어 | Österreichische Kongregation von der unbefleckten Empfängnis | ||||
프랑스어 | Congrégation bénédictine d'Autriche de l'Immaculée Conception | ||||
이탈리아어 | Congregazione benedettina d'Austria dell'Immacolata Concezione | ||||
영어 | Benedictine Congregation of Austria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
링크 | |||||
{{{#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8102E,#C8102E> 웹사이트 | <colbgcolor=#fff,#1f2023> | }}}}}}}}}}}} |
|
연합회 소속 람브레흐트 수도원의 아빠스와 수사들 |
1. 개요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 혹은 성 베네딕도회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는 오스트리아 내의 베네딕도 수도원들로 구성된 연합회이다.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는 17세기 초 개혁 운동을 바탕으로 1625년 우르바노 8세에 의해 설립된 '오스트리아 연합회(Österreichische Kongregation)'와 1641년에 잘츠부르크 대교구를 중심으로 설립된 '잘츠부르크 연합회(Salzburg Kongregation)'의 유산을 잇고 있으며 1930년 비오 11세에 의한 두 연합회의 통합을 통해 성립되었다.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는 기도와 교육, 지역 사목,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오스트리아 지역에서의 베네딕도 수도전통을 이어가고 있다.2. 역사
2.1. 오스트리아 연합회의 설립
종교개혁과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베네딕도회는 성 베네딕도 수도 규칙에 따른 공동생활과 규율,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내부 개혁에 나섰다. 합스부르크 제국, 특히 당시 '엔스(Enns)강 아래'의 니더외스터라이히와 '엔스강 위'의 오버외스터라이히 지역에서는 17세기 초 수도원들 사이에서 자발적인 개혁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들은 보다 긴밀한 협력을 통해 수도 규칙의 통일된 실천을 도모하고, 교육 활동의 질을 높이려는 목표를 공유하였다.1617년, 멜크와 크렘스뮌스터를 비롯한 11개 수도원이 연합을 결성하였다. 오스트리아 지역 수도회들의 연합으로서 '오스트리아 연합회'로 불린 이 연합회의 결성 과정에는 멜크 수도원이 중심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당시 아빠스 크리스토프 셰퍼(Christoph Schäfer)는 이 운동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다.
1625년 8월 3일, 교황 우르바노 8세는 교황 칙서 「In supremo apostolatus solio」를 통해 오스트리아 연합회를 공식 승인하여, 연합회의 규정을 확정하고 교회법적 지위를 부여하였다. 또한 1630년에는 그 내용이 한 차례 더 재확인되었다. 이후 오스트리아 연합회는 중부 유럽에서 베네딕도회의 삶과 제도를 새롭게 정비하는 데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2.2. 잘츠부르크 연합회의 기원
오스트리아 연합회의 결성 이후, 독일어권 남부 지역에서도 독자적인 베네딕도회 연합체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났다. 특히 잘츠부르크 대교구의 관할 지역이거나 그 영향을 받는 잘츠부르크, 케른텐, 티롤, 바이에른 일부 지역에는 오랜 전통을 지닌 베네딕도회 수도원들이 존재하였고, 이들은 각기 고유한 영성과 교육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1641년, 이들 수도원은 새로운 베네딕도회 연합체를 구성하였으며, 이는 '잘츠부르크 연합회'로 불리게 되었다.이 연합회는 교황 칙서에 의해 설립된 것이 아니라, 잘츠부르크 대주교이자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의 주교공인 파리스 로드론의 교회법적 권한 아래 구성되었다. 교회법에 따라, 교황청의 특별한 관할권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구장 주교가 수도원들의 연합을 인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리스 로드론은 관할권 내의 수도원장들을 소집하여 공동 회의를 열었고, 이 회의에서 연합회의 규정이 마련되고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잘츠부르크 연합회에는 잘츠부르크의 성 베드로 대수도원을 비롯해 아드몬트, 라반탈의 성 바오로, 미카엘보이른 등의 수도원이 참여하였고, 이후 제온, 마리엔베르크, 로트 강변의 성 비투스 수도원도 합류하였다. 이들 수도원은 잘츠부르크 교회의 전통과 바로크 시대 수도 교육 체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잘츠부르크 연합회는 정당한 교회법적 구조를 바탕으로 오스트리아 연합회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운영을 이어갔다.
2.3. 교황 레오 13세에 의한 재편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합스부르크 제국 내 베네딕도회 수도원들은 심각한 위기를 겪었다. 특히 요제프 2세의 계몽정책은 여러 수도원의 해산과 수도 생활의 자율성 축소, 그리고 남은 수도원들을 국가 중심의 교회 체제에 편입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오스트리아 연합회와 잘츠부르크 연합회 모두 사실상 해체되거나 기능을 잃은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1878년 교황으로 즉위한 레오 13세는 교회 전반의 쇄신을 추진하였고, 이 흐름 속에서 오스트리아 지역의 베네딕도회 수도 생활도 전면적으로 재조직되었다. 1889년 8월 23일, 레오 13세는 오스트리아 내에 두 개의 새로운 베네딕도회 연합회를 승인하였는데, 곧 무염시태 연합회와 성 요셉 연합회였다. 이 연합회들은 과거의 연합회들과의 역사적 연속성을 의도적으로 계승하였다. 무염시태 연합회는 오스트리아 연합회의 전통을 이어받았으며, 성 요셉 연합회는 잘츠부르크 연합회에서 존속 중이던 수도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무염시태 연합회의 초대 총재아빠스로는 아달베르트 둥겔(Adalbert Dungel) 아빠스, 성 요셉 연합회의 초대 총재아빠스로는 로무알트 호너(Romuald Horner) 아빠스가 각각 선출되었다.
2.4. 연합회 통합과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의 출범
무염시태 연합회와 성 요셉 연합회가 설립된 이후, 오스트리아 지역의 베네딕도회 수도원들은 서로 독립된 두 연합회의 병존기를 겪었다. 그러나 공통된 영적 전통과 점차 강화되는 상호 협력, 그리고 국가적 단위의 통합된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두 연합회를 하나로 재편하려는 논의가 이어졌다. 이러한 과정은 그 자신이 오스트리아 제국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의 데시오 출생이었던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구체화되었다.1930년 12월 8일, 비오 11세는 교황 칙서 「Anno Domini 1888」을 반포하여 기존의 두 연합회를 통합하여 '성 베네딕도회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를 새롭게 설립하였다. 새 연합회는 당시 오스트리아 공화국 영내에 있던 대부분의 베네딕도회 수도원을 하나의 조직 안에 통합하였으며, 교황청으로부터 정식으로 인가된 고유 규칙을 부여받았다. 또한 새 연합회는 1893년에 레오 13세에 의해 창설된 베네딕도회 총연합의 일원으로 공식 가입하였다.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는 역사적으로 오스트리아 연합회와 잘츠부르크 연합회의 전통을 모두 계승하는 구조로 자리잡았다. 연합회에는 오래된 수도원뿐 아니라 19세기에 신설되었거나 복원된 수도원들도 포함되었으며, 각 수도원은 법적으로 자율성을 보장받았다. 연합회 차원의 공동 운영은 여느 베네딕도회 연합회들과 같이, 정기적으로 열리는 연합회 총회(Kongregationskapitel)와 총회에서 선출된 총재아빠스를 통해 이루어졌다.
통합 직후,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는 정치적 격동기에 접어들었다. 권위주의적 신분국가 체제, 나치 정권, 제2차 세계대전은 여러 수도원에 심각한 제약을 가하였다. 괴트바이크(Göttweig) 수도원이 1939년 강제로 폐쇄되었으며, 그 외 여러 수도원이 국유화되거나 감시를 받았다. 일부 수도자는 체포되거나 박해를 겪었고, 많은 공동체는 비공식적이고 은밀한 방식으로 수도 생활을 이어갔다.
전쟁이 끝난 1945년 이후에는 복구가 시작되었다. 수도원들은 반환되었고, 교육, 사목, 학문, 문화 활동을 다시 시작하였다. 중등학교, 기숙사, 신학 교육기관 운영은 연합회의 주요 사역으로 자리 잡았으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1960~70년대 개혁은 수도 생활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전례의 쇄신, 공동체 중심의 생활, 새로운 사목 분야의 확대 등이 이 시기의 주요 변화였다.
이와 함께 연합회는 각 수도원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도 하나의 영적 네트워크로서 정체성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연합회 총회는 양성, 성소 사목, 회원 수용, 대외 홍보 등에서 공동 지침을 마련하였고, 일부 수도원은 에큐메니즘 활동을 비롯하여 스위스 연합회, 헝가리 연합회 등 물리적으로 이웃한 타 연합회와의 협력, 현대적 형태의 손님 맞이 등을 시작하였다.
2.5. 오늘날의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
현재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에는 약 10여 개 수도원이 소속되어 있으며, 연합회는 베네딕도회 총연합의 일원으로서 국제 시노드, 총회, 연합회 간 협력에 참여하고 있다. 연합회는 여전히 선출된 총재아빠스의 지도 아래 운영되며, 정기적인 총회를 통해 공동의 방향을 모색한다. 잘츠부르크의 성 베드로 대수도원은 상징적 중심지로서 여전히 특별한 위상을 지니고 있으나, 총재아빠스는 잘츠부르크가 아닌 자신이 직접적으로 속한 수도원에서 총재아빠스로서의 직무를 수행한다.오늘날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가 직면한 주요 과제는 다른 연합회들과 마찬가지로 성소자 감소, 고령화된 공동체 구조, 그리고 세속화된 사회 속에서 수도 생활의 미래를 어떻게 그려갈 것인가 하는 물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합회 내의 여러 수도원이 교육, 수도 관광, 영적 프로그램, 미디어 활동, 문화 유산 보존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력을 유지하고 있다.
3. 역대 총재아빠스
4. 소속 수도원
[1] Paris Lodron(1586 - 1653) 잘츠부르크 대교구장 겸 잘츠부르크 대주교령 주교공[2] 오스트리아 연합회 → 무염시태 연합회(Kongregation v. d. Unbefleckten Empfängnis) & 잘츠부르크 연합회 → 성 요셉 연합회(Kongregation v. hl. Jose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