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5 19:03:20

성주(칭호)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d473d> 역사 <colcolor=#000,#fff>연표 · 주호국 · 탐라총관부 · 탐라만호부
왕사 시조 · 역대 군주 · 성주 및 왕자
외교 신라-탐라국 관계
지리 무근성 · 제주성지 · 성주청 · 삼성혈
문화 탐라어
}}}}}}}}} ||


한국사 군주의 칭호
{{{#!wiki style="min-height: 20px;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공통
임금 |
고조선 진국 · 삼한 백제 고구려· 신라
단군 한왕, 신지, 읍차 태왕
신라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신라· 가야 탐라 발해 고려
간지, 한기 성주, 왕자 가독부 대왕, 황제
조선 대한제국
, 대군주 황제, 대황제 }}}}}}}}}

1. 개요2. 상세3. 역대 성주

1. 개요

성주()는 탐라에서 사용한 군주의 칭호로, 왕자(王子) 및 도내(都內) 등과 함께 사용되었다. 현재의 제주 우체국이 일종의 탐라국 궁궐성주청(星主廳)이 있던 자리였다.

성주·왕자·도내 가운데 성주가 탐라국의 실질적인 국왕으로 추정되며, 왕자는 부왕(副王) 격으로 여겨진다. 도내는 신라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아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인 고려의 지방 행정구역으로 편입된 뒤에도 성주와 왕자는 세습이 지속되어, 제주도 내에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했다. 조선 태종이 탐라를 제주로 고쳤을 때, 성주와 왕자 칭호를 포기하여 '도지관(都知管)'이라는 토관(土官)직으로 개편되었다.

2. 상세

이원진(李元鎭)의 《탐라지》에 따르면,
“신라 때 고후(高厚), 고청(高淸), 고계(高季) 3형제가 바다를 건너와서 조공하니 왕이 기뻐해 작호를 주었는데, 고후에게는 성주(星主), 고청에게는 왕자(王子), 고계에게는 도내(都內)라 하고 국호를 주어 탐라라고 했다.”
라고 하여, 성주 등의 고유 칭호는 신라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별의 주인"이라는 의미인 '성주'를 칭한 이유는 당대 탐라사람들이 항해술에 이용되는 별자리와 북두칠성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관련된 호칭이 나옴과, 지금도 제주시 옛 저자 터에는 북두칠성 모양을 본 뜬 제사유적인 칠성대(칠성단)가 흔적으로 남아있다.

탐라국은 백제 때부터 복속되어 신라고려로 이어졌으나, 탐라국이 해체되어 지방 행정구역으로 편성된 것은 고려 중기인 1105년에 탐라군(耽羅郡)이 설치된 때였다. 그 전까지 탐라국은 '번국(藩國)' 지위로 취급되었기에 어느정도 독립성이 인정되는 '외국'이었으며, 탐라 출신인 사람은 고려에서 시행되는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빈공과(賓貢科)로 치러야 했다. 때문에 《책부원구(冊府元龜)》 등의 문헌에선 탐라국의 군주를 '탐라국왕'으로 기록하기도 했다.

탐라군의 설치로 사실상 고려에 합병된 이후에도 탐라왕의 후예들은 '성주'와 '왕자' 지위를 세습했다. 이 때부터 고려의 조정에서는 성주들에게 주로 무산계를 수여했는데, 대부분이 종5품의 유격장군이었으며, 정5품의 정원장군으로 승진하거나 처음부터 종3품의 운휘대장군에 오른 사례도 있다.

조선 때인 1404년부터 성주는 '좌도지관(左都知管)'으로 왕자는 '우도지관(右都知管)'으로 개칭했다가, 1445년에 세습제를 완전히 폐지하여 '상진무(上鎭撫)'와 '부진무(副鎭撫)' 체제로 개편된다.

3. 역대 성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탐라 문서
5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군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3f36, #8d473d 20%, #8d473d 80%, #7e3f36);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화
시대
신화상 족보상
<rowcolor=#8d473d> 첫째 둘째 셋째 초대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 고을나왕
삼국
시대
족보상 (~6세기)
<rowcolor=#8d473d> 제15대 제26대 제27대 제30대
고후 담왕 지운왕 담왕
문헌상 기록 (7세기)
<rowcolor=#8d473d> 제?대 제?대 제?대
도동음률 유리도라 고여
족보상 (9~10세기)
<rowcolor=#8d473d> 제43대 제44대 제45대
경직왕 민왕 자견왕
기타 고후 | 고청 | 고계
담왕 | 도동음률
고려
시대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조선
시대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우도지관
문충세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