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6:11:04

고을나왕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군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3f36, #8d473d 20%, #8d473d 80%, #7e3f36);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화
시대
신화상 족보상
<rowcolor=#8d473d> 첫째 둘째 셋째 초대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 고을나왕
삼국
시대
족보상 (~6세기)
<rowcolor=#8d473d> 제15대 제26대 제27대 제30대
고후 담왕 지운왕 담왕
문헌상 기록 (7세기)
<rowcolor=#8d473d> 제?대 제?대 제?대
도동음률 유리도라 고여
족보상 (9~10세기)
<rowcolor=#8d473d> 제43대 제44대 제45대
경직왕 민왕 자견왕
기타 고후 | 고청 | 고계
담왕 | 도동음률
고려
시대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조선
시대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우도지관
문충세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

고을나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d473d> 역사 <colcolor=#000,#fff>연표 · 주호국 · 탐라총관부 · 탐라만호부
왕사 시조 · 역대 군주 · 성주 및 왕자
외교 신라-탐라국 관계
지리 무근성 · 제주성지 · 성주청 · 삼성혈
문화 탐라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하늘신 <colbgcolor=white,#000>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통치신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국조신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자연신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산신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수신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사방신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무조신 바리데기 · 걸립신
농업신 풍백 · 우사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탄생신 삼신할미
운명신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사신 염라대왕불교 · 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복신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재물신 칠성신(뱀)제주도
가택신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수호신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궤네깃또제주도
역병신 역신 · 호구별성
왕신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군웅신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

<colbgcolor=#8d473d><colcolor=#fbe673> 탐라국 초대 군주
고을나왕 | 髙乙那王
파일:고을나왕.jpg
본관 제주 고씨(濟州 髙氏)
형제 양을나(良乙那)[1], 부을나(夫乙那)[2]
출생지 삼성혈(三聖穴)
생몰년도 ? ~ ?
재위기간 ? ~ ?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탐라국 삼성신화(또는 설화)의 등장인물. 제주 고씨의 시조이다. 사실상 신화의 영역에 있는 인물이라 실존 여부는 불확실하다.

2. 생애

탐라국을 세우고 1000년을 살았다고 한다. 한라산 북쪽에 있는 삼성혈에서 고을라, 부을라, 양을라 삼신인이 솟아났는데, 그들의 용모는 매우 크고 비범한 모습이었다고 하며,[3] 이 세 명이 돌을 세우고 살 곳을 정하고 활로 쏘아 북두칠성을 보면서 3개로 나누어 수도를 정하고 국호를 탐라라 하였다. 이 때 일도동 이도동 삼도동으로 나뉘었다고 한다.
탐라현(耽羅縣)은 전라도(全羅道)의 남쪽 바다 가운데에 있다. 그 『고기(古記)』에서 말하기를 “태초(太初)에 사람이 없었는데, 세 신인(神人)이 땅으로부터 솟아 나왔으니[4], 맏이는 양을나(良乙那)라고 하였고, 그 다음을 고을나(髙乙那)라고 하였으며, 셋째는 부을나(夫乙那)라고 했다. 세 사람은 거친 땅에서 사냥질을 하면서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먹었다. 하루는 자주색 진흙으로 봉해진 나무 상자가 바다에서 떠다니다 동쪽 바닷가에 닿은 것을 보고 가서 열어보니, 상자 안에 또 돌 상자가 있었으며, 붉은 띠와 자주색 옷을 입은 사자(使者) 한 사람이 따라 나왔다. 돌 상자를 여니 푸른 옷을 입은 처녀 세 사람과 망아지와 송아지[駒犢]들과 오곡(五穀)의 종자가 나왔다. 사자가 ‘우리는 일본국(日本國)의 사신입니다. 우리 왕이 이 세 딸을 낳고는, 「서해(西海)의 중악(中嶽)에 신자(神子) 세 사람이 내려와 장차 나라를 열고자 하나 배필이 없구나」 하고는 저에게 분부하여 세 딸을 모시고 여기에 오도록 한 것입니다. 마땅히 배필로 삼아 대업(大業)을 이루십시오.’라고 말한 후 홀연히 구름을 타고 가버렸다. 세 사람이 나이 순서에 따라 세 여자를 나누어 아내로 삼고서, 샘이 달고 땅이 비옥한 곳으로 가서, 화살을 쏘아 땅을 점치고는 양을나가 사는 곳을 제일도(第一都)라 하였고, 고을나가 사는 곳을 제이도(第二都)라 하였으며, 부을나가 사는 곳을 제삼도(第三都)라 하였다. 처음으로 오곡을 파종하고 또 가축을 길러 나날이 부유하고 자손이 번성하게 되었다.
고려사 지리지 탐라현조.

3. 여담

  • 을나(乙那)라는 이름은 탐라어를 음차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같은 이름은 여진족의 이름을 음차할 때도 쓰였다. 이름자에 을나가 들어가는 여진족 인물로는 고려 현종 시기 기록에 나타나는 추장 서을나(徐乙那), 동여진의 오을나(烏乙那) 등이 있다.


[1] 제주 양씨의 시조[2] 제주 부씨의 시조[3] 출처[4] 원주 그 주산(主山)의 북쪽 기슭에 구멍이 있는데, 모흥(毛興)이라고 한다. 이곳이 그 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