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4 21:12:09

미륵 신앙

1. 개요2. 한국3. 일본4. 중국

1. 개요

미륵 신앙()이란 미륵불을 주불로 하는 불교 신앙을 말한다. 미륵불에 의해 모순된 세상이 바른 세상이 된다는 점 때문에 주로 사회가 혼란할 때 많이 유행하였다.

극동 지역에 미륵신앙이 처음 전파된 것은 4세기 미륵을 주불로 하는 법상종[1]이 중국에 전래되면서부터이다. 미륵 신앙은 크게 미륵상생 신앙(미륵이 있는 도솔천에서 환생하고 싶다는 신앙)과 미륵하생 신앙(미륵이 현세에 강림하기를 바라는 신앙)으로 나뉜다.

2. 한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하늘신 <colbgcolor=white,#000>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통치신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국조신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자연신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산신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수신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사방신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무조신 바리데기 · 걸립신
농업신 풍백 · 우사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탄생신 삼신할미
운명신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사신 염라대왕불교 · 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복신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재물신 칠성신(뱀)제주도
가택신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수호신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궤네깃또제주도
역병신 역신 · 호구별성
왕신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군웅신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


하생신앙이 주류를 이루는데 특히 세상이 혼란할 때 현실 도피적인 성향으로 크게 흥했다.

미륵신앙이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퍼진 건 6세기 무렵 삼국시대 백제에서부터로 보인다. 이때 백제에서는 미륵사, 미륵불광사(彌勒佛光寺) 등의 절이 세워졌고, 미륵반가사유상의 제작이 성행하였다. 미륵선화설화(彌勒仙花說話)에 의하면, 위덕왕 때 신라의 승려 진자(眞慈)가 미륵화신(彌勒化身)을 직접 뵙고자 웅진성의 수원사(水源寺)를 찾아왔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초기의 미륵신앙이 현 공주시 일대를 중심으로 유행하기 시작해 퍼져나갔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후 삼국 전체적으로 미륵하생신앙이 널리 유행하게 됐는데, 왕즉불사상과 연계하여 앞으로 올 부처=왕이 누구냐가 중요해졌고 이 영향으로 신라에서는 선덕여왕이 즉위했다. 또한 어느 나라에 미륵이 내려오느냐를 두고 삼국 사이에서 쟁탈전이 발생했다.[2] 서동요의 주인공인 무왕(백제)선화공주의 미륵사 창건 설화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신라에서는 선덕여왕이 미륵불의 현신으로 여겨지면서 미륵이 점차 여성화되어 가기 시작했는데,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이 선덕여왕의 자화상적인 작품이라는 설도 있으나 출토 지역 논란 때문에 확정짓기에는 애매하여 정설은 아직 없다.

삼국시대의 미륵신앙은 천신 신앙/용신 신앙 등의 토착신앙과 결합/흡수하여 인간의 복과 풍요, 그 중에서도 특히 농업적인 이익에 크게 영향을 주는 성격이 두드려졌다. 때문에 <삼국유사>에 실린 미륵 관련 설화들이나, 현재까지 남은 민담들을 보면 돌미륵이 호수에서 솟구쳤다거나, 미륵불을 모시는 사찰을 지을 때 호수나 늪을 메워 만들었다던가 하는 창건설화나 미륵님께 기도를 올리니 좋은 일이 생겼다 등의 기복적 설화도 이런 영향이다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에서는 삼국 유민들을 단합시키기 위해 아미타불관세음보살을 중심으로 한 정토신앙이 보급되면서 미륵신앙이 조금 주춤하다가 후삼국시대 사회가 혼란해지면서 다시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궁예가 이 미륵신앙을 기초로 하여 태봉을 건설하였으나 잦은 실정과 으로 왕건쿠데타에 의해 축출, 고려가 건국된다. 견훤을 비롯한 다른 호족들 역시 미륵신앙을 많이 이용하였고, 그 영향으로 고려시대에는 거대한 야외 석조 미륵불상이 유행하게 된다.

미륵 신앙은 고려 시대의 향도들의 매향[3]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3. 일본

오키나와 지역에서 많이 발달하였다. 특히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창세가와 유사한 미륵-석가 경쟁담도 있다. 다른 점이 있다면 한국의 창세가에서는 생쥐가 불의 근본과 물의 근본을 미륵불에게 알려주고 곡식 창고를 털 권한을 얻은 뒤 석가가 나타나 대결하지만, 오키나와 설화에서는 미륵과 석가의 대결 후 화난 미륵이 불의 근본을 숨기고 사라졌는데 메뚜기가 석가에게 불의 근본을 알려주자, 석가가 메뚜기에게 나뭇잎 위에서 편하게 죽을 권리를 준다.

4. 중국

두 가지로 나타난다. 하나는 포대화상 신앙이다. 포대화상은 당나라 때 실존인물로 법명은 계차(契此)이며, 뚱뚱한 몸매에 불룩 나온 배를 내밀고 등에는 큰 포대를 매고 항상 껄껄 웃고 다니며 사람들을 도와주었다. 그를 미륵의 화신으로 추앙하면서 포대화상을 묘사한 불화나 불상을 만들고 복을 비는 신앙이 퍼졌고, 이 신앙은 한국에도 퍼졌으며 이후 일본에도 전해져 칠복신 중 하나가 되었다. 미국에서는 화교들에 의해 포대화상 신앙이 이어지다 보니 '붓다' 하면 석가모니상이 아닌 포대화상 불상을 가장 먼저 떠올리는 미국인들도 많다. 대표적으로 심슨가족에서 묘사되는 붓다는 포대화상의 모습으로 나온다.[4] 심슨가족이 한국을 찾은 시즌 30의 에피소드에서도 조계사의 불상이 석가모니가 아닌 포대화상의 모습과 가깝다.

다른 형태는 백련교(白蓮敎)로, 본래 남송 때 승려 모자원(茅子元)이 창시한 진언종 종파인 백련종(白蓮宗)이 미륵신앙과의 결합과 원나라의 탄압을 겪으면서 반원적(청나라 때는 반청적) 비밀 종교단체가 되었다. 백련교 교파 중 팔괘교(八卦敎)가 훗날 의화단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도 있다.


[1] 유식학파계통이다.[2] 사실 56억 7천만 년 설은 미륵하생에 대한 여러 설 중 잡심론에 기초한 설로, 초기경전인 증일아함경과 대승불교 경전인 화엄경에 기초한 설에서는 불멸 3000년 뒤다.* 남방불기 기준으로 2015년은 2599년이고, 지금은 공식적인 곳에서는 쓰이지 않는 북방불기 기준으로는 3041년이다.[3] 미륵에게 향을 공양하고자 향목을 바다 갯벌에 묻는 것.[4] 대머리와 배가 나왔다는 점에서 호머 심슨과 닮았다는 내용으로 자주 연결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