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하늘신 | <colbgcolor=white,#000>하느님 · 환인 · 옥황상제도교 · 천지왕제주도 |
통치신 | 환웅 · 대별왕과 소별왕제주도 | |
국조신 | 단군 · 해모수 · 동명성왕 · 박혁거세 · 수로왕 · 고을나왕제주도 | |
자연신 | 마고할미 · 미륵불교 · 웅녀 · 해당금이 · 손돌 · 도수문장 · 설문대할망제주도 · 오늘이제주도 | |
산신 | 산신령 · 선도성모 · 정견모주 · 석탈해 · 운제산성모 · 단종 · 금성대군 | |
수신 | 유화부인 · 용왕 · 사해용왕도교 · 경강적룡 | |
사방신 | 청룡도교 · 백호도교 · 현무도교 · 주작도교 | |
무조신 | 바리데기 · 걸립신 | |
농업신 | 풍백 · 우사 · 운사 · 고수레 · 자청비제주도 | |
탄생신 | 삼신할미 | |
운명신 | 구삼승할망 · 사라도령 · 할락궁이 · 감은장아기제주도 | |
사신 | 염라대왕불교 · 강림도령 · 이덕춘 · 해원맥 · 연직사자불교 · 시직사자불교 | |
복신 | 칠성신(북두칠성) · 부근신 | |
재물신 | 칠성신(뱀)제주도 | |
가택신 | 성주신 · 조왕신 · 삼신할미 · 터주신 · 문전신 · 철륭신 · 업신 · 정랑각시 · 제석신 · 우물신 | |
수호신 | 장승 · 선묘 · 두두리 · 괴목신 · 지귀 · 부군신 · 궤네깃또제주도 | |
역병신 | 역신 · 호구별성 | |
왕신 | 경순왕 · 공민왕 · 궁예 · 문무왕 · 단종 | |
군웅신 | 이순신 · 강감찬 · 최영 · 김유신 |
1. 개요
마고(麻姑)할미는 한국 신화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여신 또는 창조신, 거인신이다. 마고할망, 마고할미, 마고 할머니, 혹은 마고선녀[1] 등으로도 불린다. 본명은 마고이며 할미는 존칭에 해당한다.중국의 마고선녀에게서 영향을 받아 이름이 마고로 변경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한국 무속 신앙에서 창조신 위치에 있는 여신[2][3]이었으나, 무속의 힘이 약해지고 외래 종교가 거듭 유입됨에 따라서 위상이 축소되어, 현대에는 무속 신앙 속 미미한 존재의 여신이 되었다. 그러나 지금도 한반도 각 지방의 마고 관련 전설이나 마고를 모시는 사당은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신당(神堂)의 일종인 노고당의 할미도 마고할미일 가능성이 있다.
2. 내용
전승에 따르면 마고할미는 하늘도 땅도 없는 세상에서 잠을 자면서 코를 골다가 하늘을 내려앉게 해서 카오스 상태를 만들고, 깨어나면서 하늘을 밀어서 갈라지게 만들어 해와 달이 생기게 하고, 땅을 긁어서 산과 강을 만들고, 큰 홍수를 막고, 마지막으로 무당에게 자신의 힘을 내려주고 자신은 승천했다고 한다.이러한 소임은 세계 각지 신화의 거인 신, 특히 중국의 반고나 제주도의 설문대할망과 유사하다. 물론 스케일은 이쪽이 훨씬 크다. 또한 이름만 다르고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여신들의 사당을 대한민국에서 여럿 찾을 수 있다.#
3. 설화
할미로 불리고 있지만 사실 무속 신화에서는 젊은 미녀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경우도 흔하다.[4] 사실 과거 우리나라에서 ~할매(혹은 할미), ~할배는 노인을 가리키는 호칭이 아니라 찬양하기 위한 경칭(일종의 권위를 주는 존칭)으로 쓰였다. 할배 또는 할미란 말은 지금 쓰이는 할아버지, 할머니의 뜻이 아니라 어원적으로 한+아비(大父)와 한+어미(大母)였던 것이 오늘날에 변형된 것이다. 즉, 마고할미라는 이름이 가진 의미는 "마고 할머니"가 아니라 "마고 여신님"에 더 가깝다. 마고할미나 설문대할망이 노파의 모습으로 묘사되는 것은 후대에 언어의 뜻이 변화되어 신격이 격하된 것에 가깝다 할 수 있다.임팩트가 크기 때문인지 각종 설화 속에서 계속 등장하는데, 예컨대 바리공주의 전승에서 바리 공주에게 빨래를 시키는 할머니도 마고할미라고 한다.
마고할미가 거한 산은 지리산, 천태산 등. 거제도에는 마고할미가 쌓은 성이 남아 있다는 전승도 존재한다.
마고할미가 자신의 능력을 시험하거나 창조의 과정에서 최후를 맞는다는 계열의 설화도 전해져 오는데, 이에 대해 외래 거대 종교나 아예 무속을 배격한 유교 사상의 유입에 따라 전통적으로 권위를 갖던 무속 신들의 신격을 격하한 영향으로 보기도 한다. 이는 마고할미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비슷한 신격에도 나타난다.
- 제주도의 설문대할망의 경우 다리를 놓는 데 실패하고 물에 빠져 익사했다는 바리에이션이 추가되기도 했다. 또한 오백장군 이야기와 뒤섞여 죽 솥에 빠져 죽었다는 이야기가 추가되기도 했다. 이 이야기들은 후대에 다른 이야기가 혼입되어 신격이 격하된 사례의 대표적인 예제.
- 강원도의 서구할미는 창세신의 지위를 완전히 잃고 요괴의 이미지가 덧씌워졌다. 아이들에게 홍역을 옮겨 죽이거나 미녀로 둔갑해 남자를 홀리고, 행인들을 습격해서 제물을 뺏는데 나라에서도 이를 어찌하지 못하고 있던 상황에서 효심이 지극했던 효자가 나서 서구할미의 머리에 쑥 뜸을 놓자 '효자가 벌을 주는데 받겠다'며 한 다음 며칠 후에 세상을 떠났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서구할미가 효자에게 퇴치 된다는 이야기는 민간 신앙을 억압한 조선 시대의 유교 이념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3.1. 평양 구빈마을 설화
북한 평양시 강동군 남쪽 구빈마을에는 마고할미에 대한 전설이 하나 내려온다. 최창조 교수가 남북교류가 활발했을 때 직접 방북해서 수집한 설화이다.단군이 거느리는 박달족이 마고할미가 족장인 인근 마고성의 마고족을 공격했다. 싸움에서 진 마고할미는 도망친 후 박달족과 단군의 동태를 살폈는데, 단군이 자신의 부족에게 너무도 잘해주는 것을 보게 된다. 마고는 단군에게 진심으로 복종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단군은 투항한 마고할미와 그 아래 아홉 장수를 귀한 손님으로 맞아 극진히 대접했다. 아홉 손님을 맞아 대접한 곳이 구빈(九賓)마을이고, 마고가 항복하기 위해 마고 성으로 돌아오면서 넘은 고개를 왕림(枉臨)고개라고 한다.
조현설 저, <우리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조현설 저, <우리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3.2. 지리산 노고단의 노고할미
“노고산에 있는 노고할미는 얼마나 몸집이 큰지 노고산과 불국산에 다리를 걸치고 오줌을 누었는데 문학재 고개에 있는 큰 바위가 오줌발에 깨져나갔어.” 옆에 있던 노인들이 웃으며 한 마디씩 거든다. “노고할미는 순한 할머니여서 사람들한테 해를 끼치지 않는대.” “노고산성도 노고할미가 쌓았다지.”
3.3. 삼척 서구암의 서구할미
강원도 취병산 서쪽 백월산 중턱 바위굴에 서구할미가 살았는데 어린애들을 홍역 같은 병에 걸려 죽게 했다. 요염한 여인의 모습으로 변신해 남자들을 홀리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재물을 바치지 않으면 해도 입혔다. 생김새도 산발에 낚시코에, 손톱은 길다랗고 앙상했다. 나라에서도 어쩌지 못했는데 효자인 최아무개가 머리에 쑥뜸을 뜨자 “효자가 벌을 주니 달게 받겠다”고 하면서 며칠만에 죽었다고 한다. 서구할미가 죽어서 바위로 변한 것이 서구암이다. [5]
3.4. 산청 공개바위 설화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에 있는 공개바위에도 마고할미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원래 공개바위의 바윗돌들은 지리산의 산신이었던 거인신 마고할미가 심심하여 가지고 놀던 공기돌인데 그것을 마고할미가 다시 탑으로 쌓아올려 지금의 공개[6]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다. 배경이 된 공개바위는 지리산 중턱에 위치해있는 탑 형태의 큰 바위인데 실제로는 편마암의 풍화침식 작용으로 형성되었다. #4. 대중매체
- 고스트 메신저 - 마고할미(고스트 메신저)
- 설화를 먹은 도깨비 - 마고할멈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의 비밀 - 마고할망
- 호텔 델루나 - 마고신
[1] 다만 마고를 선녀에 비유하는 것은 중국 도교의 영향이며, 한국 신화의 마고는 엄연히 다른 신이다. 이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상전벽해 문서 참고.[2] 고대인들의 세계관은 그들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였기에 세상을 창조한 신을 여신으로 비정한 경우가 상당수 발견되는데, 마고도 이러한 예에 해당한다. 생명을 잉태하고 아이를 낳는 걸 신비롭게 여겨 이러한 여성의 생산성을 신격화한 형태로 세상 전체를 대상으로 확대하였기 때문. 다만 후대의 유일신 종교의 영향으로 창세신이라면 무조건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 주신이자 가장 출중한 능력을 가진 신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다신교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큰 영향력과 능력을 발휘하는 주신이 따로 있는 경우가 더 많으며, 창조신은 창조의 임무를 완수한 후 세상을 다른 신들에게 인계해 주는 사례가 많다. 고대인의 신앙 속 등장 시기가 창조신이 먼저일 것으로 잘못 생각하기 쉬우나, 고대인들의 세계관은 우선 주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이 주변 세계에서 가장 힘센 신인 주신에 대한 신앙이 먼저이고, 고대인들의 관심이 그 주변 세계의 시작이 어떻게 일어났느냐 하는 데까지 옮겨갈 수 있을 만큼 성장한 후에야 비로소 창조신이 비정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예 창조신이 비정되지 않은 신화 체계도 상당수이다. 하늘과 땅과 물의 구분도 없던 혼돈 세계에서 이를 구분하고 세상을 창조한 창조신의 능력과는 별개로 하늘과 땅과 물이 구분된 현세계에서 가장 큰 권능과 능력을 발휘하는 신은 새로 등장한다고 이해한 것이며 주로 천신(天神)이 주신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창조신이 남신이냐 여신이냐 와도 별개이다. 예를 들어 힌두교만 보아도 세상을 창조한 것은 브라흐마(남성 신)이고 비록 이 브라흐마도 힌두교 3대 신으로 쳐 주기는 하지만, 훨씬 뛰어난 능력과 영향력을 발휘하는 주신은 비슈누와 시바다. 마고 전승에서도 마고할미가 세상 창조를 완료한 이후에는 자신의 힘을 샤먼에게 내려주고 하늘로 다시 승천했다고 하고 있다.[3] 또한 남성 창조신의 경우에는 후대의 거대 종교의 대다수 남성 신에 쉽게 흡수되고 치환되어 버리면서 아예 그 신화 자체가 후대의 거대 종교 남성 신이 행한 일에 대한 신화로 둔갑해버리고 기존 남성 창조신에 대한 전승은 소실되기 매우 쉬웠으나, 여성 창조신의 경우는 이러한 일이 비교적 어려워 그 전승이 좀 더 유지되었던 탓도 있다. 당장 우리나라만 해도 산신이 남성 신인 경우에는 그냥 산신령 내지는 심지어는 천지신명신으로 뭉뚱그려 통합되어 버렸으나, 여성 신인 경우에는 각각의 부족 사회 단위 별로 붙였을 이름이 해당 산마다 각각 따로 남아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4] 설문대할망 같이 한반도 민간 설화나 무속 신화에서 '할미' 또는 '할망'으로 불리고 있는 여신들 중 대부분은 젊은 미녀의 모습으로 묘사된다.[5] 링크1 백업1[6] 경남방언으로 공기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