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16:58:44

시어미 고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しばら-く, しゅうと, しゅうとめ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姑는 '시어미 고'라는 한자로, '시어머니' 등등을 가리킨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시어미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gu1
객가어
민동어
민남어 ko͘
오어 ku(T1)
일본어 음독
훈독 しばら-く, しゅうと, しゅうとめ
베트남어
뜻을 나타내는 (계집 녀)와 소리를 나타내는 (예 고)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우리말 훈은 '시어미'지만, 실제로는 시어머니만이 아니라 '혼인으로 집안의 범위에 들어온 여자'를 두루 가리키는 한자라고 보아야 한다. 그래서 여자 입장에서는 시어머니나 시누이, 남자 입장에선 장모를 가리키는 의미로 쓰였다. 시집간 여자를 가리키는 데에서 그냥 '부녀자'란 뜻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고모'란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가문 간 혼인동맹이 중첩될 경우 시어머니가 고모인 경우가 많아서 혼용되었을지도 모른다. 원 간섭기 시절 공주들도 대부분 시어머니가 고모 또는 고모뻘이었다.

부사로는 '잠깐' '잠시' '아직'이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유니코드에는 U+59D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JR(女十口)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 시어미
    • (며느리 부)
  • 고모
    • (이모 이)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넓적다리 고)의 동자[2] (북 고)의 속자[3] (술잔 고)의 고자[4] (풀칠할 호)의 동자[5] (허물 고)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