姑 시어미 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女,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コ | ||||||
일본어 훈독 | しばら-く, しゅうと, しゅうとめ | ||||||
- | |||||||
표준 중국어 | g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姑는 '시어미 고'라는 한자로, '시어머니' 등등을 가리킨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시어미 |
음 | 고 | |
중국어 | 표준어 | gū |
광동어 | gu1 | |
객가어 | kû | |
민동어 | gŭ | |
민남어 | ko͘ | |
오어 | ku(T1) | |
일본어 | 음독 | コ |
훈독 | しばら-く, しゅうと, しゅうとめ | |
베트남어 | cô |
우리말 훈은 '시어미'지만, 실제로는 시어머니만이 아니라 '혼인으로 집안의 범위에 들어온 여자'를 두루 가리키는 한자라고 보아야 한다. 그래서 여자 입장에서는 시어머니나 시누이, 남자 입장에선 장모를 가리키는 의미로 쓰였다. 시집간 여자를 가리키는 데에서 그냥 '부녀자'란 뜻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고모'란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가문 간 혼인동맹이 중첩될 경우 시어머니가 고모인 경우가 많아서 혼용되었을지도 모른다. 원 간섭기 시절 공주들도 대부분 시어머니가 고모 또는 고모뻘이었다.
부사로는 '잠깐' '잠시' '아직'이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유니코드에는 U+59D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JR(女十口)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고감(姑減)
- 고고(姑姑)
- 고고매(姑姑妹)
- 고공(姑公)
- 고광대(姑廣大)
- 고구(姑舅)
- 고낭(姑娘)
- 고랑채(姑娘菜)
- 고립마(姑立馬)
- 고면(姑免)
- 고모(姑母)
- 고방(姑放)
- 고보(姑保)
- 고부(姑婦)
- 고부(姑夫)
- 고사(姑捨)
- 고서(姑徐)
- 고선(姑先/姑洗)
- 고숙(姑叔)
- 고식(姑息)
- 고식(姑媳)
- 고유(姑惟)
- 고의(姑依)
- 고자(姑姉)
- 고종(姑從)
- 고질(姑姪)
- 고침(姑寢)
- 고파(姑婆)
- 구고(舅姑)
- 군고(君姑)
- 금복고(金僕姑)
- 기고(箕姑)
- 노고(老姑)
- 달고적(達姑狄)
- 담파고(談婆姑)
- 마고(麻姑)
- 발고(勃姑)
- 사고갱(師姑秔)
- 소고(小姑)
- 서고(鼠姑)
- 옹고(翁姑)
- 외고(外姑)
- 이고(尼姑)
- 자고(慈姑)
- 조고(祖姑)
- 존고(尊姑)
- 홍고랑(紅姑娘)
- 황고(皇姑)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 강원도 고성군 수동면 고미성리(姑味城里)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고소성리(姑蘇城里)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고산길(姑山길)
-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고소리(姑蘇里)
-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노고단로(老姑壇路)
- 전라남도 여수시 고소동(姑蘇洞)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姑堂里)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估/𧵑(값 고)
- 跍(걸터앉을 고)
- 𦍩(검은암양 고)
- 𦙶(넓적다리 고)[1]
- 䀦(노려볼 고)
- 鈷(다리미 고)
- 酤(단술 고)
- 蛄(땅강아지 고)
- 枯/𤖲(마를 고)
- 㱠/𣧮(말라죽을 고)
- 鮕(물고기이름 고)
- 䑩(배 고)
- 秙(벼여물지않을 고)
- 𩊉(북 고)[2]
- 沽(살/팔 고)
- 軲(수레 고)
- 𧣗(술잔 고)[3]
- 牯(암소 고)
- 狜(오랑캐이름 고)
- 𢏆(작은활 고)
- 詁(주낼 고)
- 咕(투덜거릴 고/구)
- 𥿍(풀이름 고)
- 𡲞/𤿛/𢩍/𡱨(허물 고)
- 骷(해골 고)
- 𡊜(경계 점)
- 怙(믿을 호)
- 䊀(반죽할 호)
- 祜/𧙖(복 호)
- 𩚩(죽 호)
- 𪏻(차질 호)
- 岵(초목이우거진산 호)
- 𩰯(풀칠할 호)[4]
- 姡(교활할 활)
- 𦧒(고)
- 𠳬(긍)
- 𧮴(행)
- 𩢪(호)
- 𠷞
- 𡪻
- 𪡻
- 𡳰
- 𢫈
- 𤇌
- 𣗺
- 𦹵
- 𪻕
- 𥑮
- 𥩪
- 𨈰
- 𩾀
- 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