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1:20:08


면할 면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7획
중학교
[1]
일본어 음독
メン
일본어 훈독
まぬか-れる
-
표준 중국어
mi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免은 '면할 면'이라는 한자로, '면(免)하다', '벗어나다', '해직(解職)하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14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弓日竹山(NAHU)으로 입력한다.

잘 쓰이지 않는 뜻과 음으로 '해산할 문'이 있다.

자원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아기를 낳는 여자의 모습을 딴 상형자(낳을 만)의 원 글자였다는 설과, 모자 쓴 사람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면류관 면)의 원 글자였다는 설이 있다. 어쨌든 원 의미에서 인신해서 '면하다'로 쓰이게 되었다. 금문에서 전서로 넘어가면서 갑자기 (토끼 토)와 매우 비슷한 모양이 되었고 지금의 글자도 그러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토끼 토)

[1] 중간의 사각형에서 가로획을 뚫고 지나가 삐치는(丿) 획을 두 획에 나누어서 긋는다. 따라서 총획이 8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