聖 성인 성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耳,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セイ, ショウ | ||||||
일본어 훈독 | ひじり | ||||||
圣 | |||||||
표준 중국어 | shè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聖은 '성인 성'이라는 한자로, '성인(聖人)', '성(聖)스럽다', '신성(神聖)하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성스러울 성'이라고도 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05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尸口竹土(SRHG)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耳(귀 이)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呈(드릴 정)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귀가 잘 들리다 → 사리(事理)에 잘 통하고 있다 → 뭐든지 다 알고 있는 사람, 곧 성인을 일컫는다.
간체자로는 圣이라고 쓰는데, 巠(물줄기 경)의 신자체와 겹친다. 반면 간체자에서는 巠을 𢀖(ス 아래에 工)으로 쓴다.
3. 용례
3.1. 단어
- 극성(極聖) : '더할 나위없는 성인'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일컫는 말.
- 성삼(聖三) : 성부, 성자(聖子), 성신(聖神)의 삼위.
- 성삼주일(聖三主日) : 삼위(三位) 일체(一體) 주일.
- 성인(聖人) : 사리(事理)에 통달(通達)하고 덕과 지혜(智慧ㆍ知慧)가 뛰어나 길이 길이 우러러 받들어지고 만인(萬人)의 스승이 될 만한 사람을 일컫는 말
- 성칠일(聖七日) : 성주간(聖週間)
3.2. 고사성어/숙어
① 성인(聖人)은 인위(人爲)를 쓰지 않음
3.3. 인명
3.3.1. 실존 인물
- 김성경(金聖鏡)
- 김성주(金聖柱)
- 다나베 세이코 (田辺 聖子)[1]
- 마츠다 세이코(松田 聖子)
- 명성왕후(明聖王后)
- 소성대비(昭聖大妃)
- 양성봉(梁聖奉)
- 이성경(李聖經)
- 이성미(李聖美)[2]
- 진성여왕(眞聖女王)
- 황제성(黃帝聖)
3.3.2. 가상 인물
- 나루미 세나(成海聖奈)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
- 시라사기 치사토(白鷺千聖) - BanG Dream!
- 사토 세이(佐藤聖)
- 히지리 뱌쿠렌(聖 白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