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9:39:48

소닉 럼블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63ff><tablebgcolor=#0063ff> 파일: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로고.svg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ext-align:left"
<colbgcolor=#0063ff><colcolor=#fff>
1세대
<colbgcolor=#0063ff><colcolor=#fff> '''
2D
'''
가정용: 소닉 더 헤지혹(1991) · 소닉 더 헤지혹 2 · 소닉 더 헤지혹 CD · 소닉 더 헤지혹 3 · 소닉 & 너클즈 · 카오틱스 · 소닉 3D 블래스트
휴대용: 소닉 더 헤지혹(8비트) · 소닉 더 헤지혹 2(8비트) · 소닉 & 테일즈 · 소닉 & 테일즈 2 · 테일즈의 스카이패트롤 · 테일즈 어드벤처 · 소닉 래버린스 · G 소닉
리메이크 및 이식: 소닉 컴필레이션 · 소닉 & 너클즈 컬렉션 · 소닉 잼 · 소닉 메가 컬렉션/플러스 · 소닉 젬즈 컬렉션 · 소닉 더 헤지혹 제네시스 · 소닉 클래식 컬렉션 · 소닉 오리진스 (DLC)
2세대
3D
가정용: 소닉 어드벤처 · 소닉 어드벤처 2 · 소닉 히어로즈 · 섀도우 더 헤지혹 · 소닉 더 헤지혹(2006) · 소닉 언리쉬드 · 소닉 컬러즈 · 소닉 제너레이션즈 · 소닉 로스트 월드 (3DS) · 소닉 포시즈
리메이크 및 이식: 소닉 어드벤처 DX · 소닉 어드벤처 2 배틀 · 소닉 PC 컬렉션 · 소닉 컬러즈 얼티밋 ·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2D
가정용: 소닉 더 헤지혹 4 · 소닉 매니아 (DLC)
휴대용: 소닉 더 헤지혹 포켓 어드벤처 · 소닉 어드밴스 · 소닉 어드밴스 2 · 소닉 배틀 · 소닉 어드밴스 3 · 소닉 러시 · 소닉 라이벌즈 · 소닉 러시 어드벤처 · 소닉 라이벌즈 2 · 소닉 크로니클 · 소닉 컬러즈(닌텐도 DS) · 소닉 제너레이션즈: 파란 모험
3세대
3D
소닉 프론티어
2D
소닉 슈퍼스타즈
외전레이싱: 소닉 드리프트 · 소닉 드리프트 2 · 소닉 R · 소닉 라이더즈 · 소닉 라이더즈 슈팅 스타 스토리 · 소닉 프리 라이더즈 · 소닉 & 세가 올스타 레이싱 · 소닉 & 올스타 레이싱 트랜스폼드 · 팀 소닉 레이싱 · 소닉 레이싱 크로스월드
스토리북: 소닉과 비밀의 링 · 소닉과 암흑의 기사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베이징 올림픽 · 밴쿠버 동계 올림픽 · 런던 올림픽 · 소치 동계 올림픽 · 리우 올림픽 · 2020 도쿄 올림픽
콜라보레이션 등장: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3DS / Wii U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 체인 크로니클 · D×2 진 여신전생 리버레이션 · 몬스터 슈퍼리그 · 쿠키런: 킹덤 · 뿌요뿌요 테트리스 2 · Sonic Speed Simulator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카트라이더 러쉬 플러스
소닉 붐 시리즈: 소닉 붐 라이즈 오브 리릭 · 섀터드 크리스털 · 파이어 & 아이스
기타: 소닉 패트롤 카 · 세가소닉 팝콘 숍 · 세가소닉 · 동글이 퇴치작전 · 소닉 스핀볼 · 소닉 더 파이터즈 · 소닉 셔플 · 소닉 핀볼 파티 · 소닉 더 헤지혹 살인 사건
모바일
기반
플레이 가능: 소닉 점프 · 소닉 대시 · 소닉 대시 2 · 소닉 러너즈 어드벤처 · 소닉 포시즈: 스피드 배틀 · 소닉 드림 팀 · 소닉 럼블
서비스 종료: 소닉 러너즈
미분류
개발 중단: 소닉 엑스트림 · 소닉 시너지: Remastered for PC
미디어
믹스
TV & OTT 애니메이션: 바람돌이 소닉 · 고슴도치 소닉 · 언더그라운드 · 소닉 X (1기 · 2기) · 소닉툰 · 소닉 프라임
수퍼 소닉 시리즈: 수퍼 소닉 · 수퍼 소닉2 · 수퍼 소닉3 · 수퍼 소닉4 · 너클즈(드라마)
기타 영상물: 소닉 더 헤지혹(OVA) · 나이트 오브 더 웨어혹 · 주먹왕 랄프 · Hi☆sCoool! 세하걸 · 소닉 매니아 어드벤처즈 · 팀 소닉 레이싱 오버드라이브 · OK K.O.! Let's Be Heroes · 소닉 컬러즈: 라이즈 오브 더 위스프 · 테일즈튜브 · 소닉 프론티어 프롤로그: 분기 · 소닉 슈퍼스타즈: 트리오 오브 트러블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Dark Beginnings
코믹스: 소닉 더 코믹 · 아치판 소닉 코믹스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IDW)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63ff,#010101> 파일:소닉 럼블/로고.pngSONIC RUMBLE
소닉 럼블
}}}
파일:소닉 럼블/키 아트2.jpg
<colbgcolor=#0063ff,#010101><colcolor=#fff,#dddddd> 개발 소닉 팀(감독) 로비오 엔터테인먼트
유통 SEGA
사운드
장르 배틀로얄, 서바이벌, 레이싱
플랫폼 안드로이드 | iOS | Microsoft Windows
출시일 2024년 8월 10일 (Pre-Launch 1)
2024년 10월 11일 (Pre-Launch 2)
글로벌 런치 날짜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상점 페이지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1. 개요
1.1. 트레일러
2. 특징
2.1. 설정2.2. 모드2.3. 조작법2.4. 스테이지
3. 등장인물
3.1. 스킨3.2. 버디
4. 평가
4.1. 프리 론치4.2. 글로벌 런치 이후
5. 기타

[clearfix]

1. 개요

2024년 8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한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모바일 게임. 로비오 엔터테인먼트와 공동개발하는 작품이다.

==# 출시 전 정보 #==
  • 유출됐던 트레일러에서 이 게임의 존재가 밝혀졌는데, 정식 타이틀이 정해지기 전엔 소닉 토이 파티(Sonic Toys Party)란 타이틀이었다. 플레이 영상
  • 2024년 5월 9일, 공식적으로 아나운스 트레일러를 공개했다.
파일:소닉 럼블 로드맵.jpg
  • 동년 9월 11일, 업데이트 로드맵을 공개했다.
  • G-STAR 2024에서 구글코리아의 출품작으로 예정되었다.[1]
  • 2024년 12월 5일의 서버 점검 후, 프리 론치 2의 서비스 대상 지역에 마침내 대한민국태국이 추가되었다.

1.1. 트레일러

아나운스 트레일러
커스터마이즈 & 모드 트레일러
사전 예약 & 프리 론치 트레일러

2. 특징

폴가이즈와 유사한 배틀로얄 형식의 스테이지에서 총 32명의 플레이어들과 겨루며 주어진 미션을 클리어하는 서바이벌 게임.

2.1. 설정

정식 발표 전의 타이틀이 암시하듯, 여러 플레이어가 똑같은 캐릭터를 사용해도 위화감이 없도록 장난감의 세계를 무대로 채택했다. 즉 게임 내에 등장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모두 실물이 아니라 그들을 본뜬 피규어에 해당한다.

2.2. 모드

  • 링 서바이벌
    상시로 오픈되어 있는 기본적인 모드. 32명의 플레이어가 무작위로 정해지는 3개의 스테이지에서 순위를 겨룬다. 최종 순위에 따라 엠블럼 혹은 엠블럼 파편을 획득하여 플레이어의 엠블럼 랭크를 올릴 수 있다. 참고로 엠블럼 파편 100개를 모으면 자동으로 엠블럼 1개로 변환된다.
    • 첫 번째 스테이지는 카테고리가 런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결승선을 통과한 플레이어는 순위를 바탕으로 일정량의 링을 추가로 받는다. 16명이 결승선을 통과하거나 제한 시간이 지나면 게임이 끝나고 하위 16명이 탈락한다.
    • 두 번째 스테이지는 런과 링 배틀을 제외한 카테고리 내에서 정해지고 게임이 끝나면 16명 중 하위 8명이 탈락한다. 카테고리가 팀일 경우에는 플레이어가 두 조로 나뉘며, 스코어를 더 많이 얻은 조가 다음 스테이지로 진출하고 반대 조는 단체로 탈락하게 된다.
    • 마지막 스테이지는 카테고리가 링 배틀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한 시간 내에 모은 링의 개수로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1위는 엠블럼 3개, 2위는 엠블럼 2개, 3위는 엠블럼 1개를 획득한다. 나머지 플레이어는 일정량의 엠블럼 파편만 받는다.
  • 스쿼드
    4인 1조로 스쿼드를 짜는 점만 빼면 링 서바이벌과 비슷한 모드. 배틀의 개인 성과에 따라 포인트가 주어지고 스쿼드 전원의 합계 포인트로 스테이지의 승패를 결정한다. 마지막 스테이지에서는 2개의 스쿼드만 남으며 합계 링이 더 많은 쪽이 승리한다.
  • 협력전
    32명의 플레이어가 한 팀을 구성하여 보스와 싸우는 모드. 어택 아이템으로 보스를 공격하여 공헌도를 획득할 수 있고, 각자의 공헌도 순위와 팀 전체가 보스에게 입힌 합계 대미지에 따라 보상이 정해진다. 보스의 공격으로 도중에 링 카운트가 0이 된 플레이어는 탈락한다.
  • 커스텀 매치
    룸을 만든 플레이어가 자신의 룸 ID를 공유하여 타인을 초대할 수 있는 모드. 라운드의 수나 스테이지를 플레이어가 직접 선택할 수 있고, 룸을 만든 플레이어가 매칭 없이 혼자서 연습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룸에 참가한 플레이어의 수가 모자랄 경우 공석을 봇으로 채울 수 있으나 그냥 비워놔도 무방하다.

2.3. 조작법

모바일 환경에서는 터치 조작을 지원하지만 아래와 같이 게임패드도 쓸 수 있다. 사용하는 컨트롤러를 불문하고 배틀 중 이동은 왼쪽 스틱, 카메라 조작은 오른쪽 스틱을 사용한다.
<rowcolor=#fff> 조작 사용 버튼
<rowcolor=#fff> DUALSHOCK®4 Xbox 컨트롤러
점프 / 더블 점프 × A
액션 B
이모트[E] L1 LB
이모티콘[E] R1 RB
이모트 · 이모티콘 페이지 전환[4] L2 LT
어택 아이템 R2 RT

2.4. 스테이지

<rowcolor=#fff> 장소 카테고리별 스테이지 개수
<rowcolor=#fff> 런 서바이벌 헌트 링 배틀
그린 힐 3 2 1 1 1
케미컬 플랜트 2 1 1 - 1
스카이 생츄어리 2 - 1 1 2
시사이드 힐 3 1 - 1 1
스타라이트 카니발 2 2 1 - 2
데저트 루인즈 1 - - - 1
프로즌 팩토리 2 1 1 - 1
사일런트 포레스트 3 1 1 - -
라바 마운틴 2 1 - 1 2
핀볼 카니발 1 - 1 - 1
※ 2025년 1월, 프리시즌 2 기준

3. 등장인물

3.1. 스킨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가 조작하게 되는 피규어의 총칭. 아래의 목록은 커스터마이즈 화면에서 스킨을 '캐릭터순'으로 정렬했을 때의 순서를 따른다.

3.2. 버디

4. 평가

4.1. 프리 론치

사전 체험에 참여한 유저들의 의견에 따르면, 속도감은 대시 패널에 의존해야 할 정도로 적으나 전체적인 게임 완성도와 콘텐츠들은 만족스럽다는 평이 주류이다.

프리 론치 1에서 2로 기간이 전환되면서 슬롯 열쇠나 나무 열매 등의 강화 아이템, 캐릭터의 스킨 및 버디, 그리고 레드 스타 링 등을 유료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부 패키지를 제외하면 요구하는 금액이 크지 않은 데다가 캐릭터의 성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요소가 전무하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본작의 디렉터가 직접 '돈 낸 사람이 강해지고 1위가 되는 과금 요소'는 일절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을 정도. # ##

실제로 강화 아이템의 효과라고 해봤자 특정 행동으로 획득하는 스코어에 보정이 걸릴 뿐이며, 캐릭터를 조작할 때 나타나는 성능은 스킨이나 버디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생존 자체는 순수하게 플레이어의 기량과 운빨에 달렸다. 따라서 스코어링과 룩딸에 관심이 없으면 과금을 아예 하지 않아도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지장이 없고, 과금한 유저들과 매칭이 잡혀도 링 서바이벌 우승이 충분히 가능하다.

4.2. 글로벌 런치 이후

5. 기타



[1] G-STAR 2024 부스 배치도 - 구글코리아 - 상세보기 - 출품작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gstar.or.kr/gstar/gstar_booth_info.do[E] L1·R1 버튼은 메뉴만 열며, 장비 중인 이모트나 이모티콘을 실제로 사용하려면 메뉴 표시 중에 각 선택지에 대응하는 페이스 버튼(× / ABXY)을 눌러야 한다.[E] [4] L1·R1 버튼을 입력하여 두 페이지 중 하나를 띄운 뒤에 L2를 입력해야 한다.[5] 소닉 포시즈와 달리 플레이어가 직접 꾸미는 것은 불가능하고, 외형이 정해져 있는 아바타가 종족별로 8명씩 있다. 레어리티는 종족을 불문하고 1번부터 4번까지는 커먼, 5번부터 8번까지는 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