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10:57:13

셰인 헤이스트

쉐인 헤이스트에서 넘어옴
파일:TMDK-logo.png
<colbgcolor=white> 잭 세이버 주니어 <colbgcolor=white> 마이키 니콜스 <colbgcolor=white> 셰인 헤이스트
배드 듀드 티토 후지타 코세이 로비 이글스
{{{#!folding 【 전 멤버 】 조나 하틀리 잭슨 슬렉스
}}} ||

파일:셰인헤이스트프로필.jpg
링네임 Shane Thorne[1]
Slapjack
[ruby(Shane Haste, ruby=シェイン・ヘイスト)][2]
본명 Shane Veryzer
(셰인 베라이저)[3]
생년월일 1985년 9월 24일 ([age(1985-09-24)]세)
신장 188cm
체중 100kg
출생지
[[호주|]][[틀:국기|]][[틀:국기|]]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퍼스
가족 관계 배우자 키미 히메네스(1993년생)[4]
유형 올라운더[5]
시그니쳐 무브 드랍킥[6], 점핑 저공 드랍킥
하이킥,사커볼 킥[7]
레그 래리어트
캐논볼
토페 아토미코
팔콘 애로우
셰이-닝 위자드[8]
다이나믹 밤[9]
피니쉬 무브 블랙 스완 스플래시[10]
프렌드 존[11]
셰이-닝 위저드
밤 밸리 데스[12]
태그팀 피니쉬 무브 TMDK (w/마이키 니콜스)[13] {{{#!wiki style="" Highway to hell[14]
탱크 버스터[15]
썬더 밸리[16]
}}}
별명 블랙 스완 (ブラック・スワン)
[ruby(Hysterical, ruby=ヒステリカル)]
테마곡 Chimney - The Southern River Band
데뷔 2003년 2월 22일 (17세)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와너루
와너루 쇼그라운드
ECW[17] The Uprising
vs 크리스 J. 라자레스, 바비 배드 블러드,
키엘 E. 렉트릭파잉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주요 커리어 EP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EPW 태그팀 챔피언 2회
EPW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우승 (2007년)
EPW ANZAC 데이 컵 우승 (2009년)
ROH 라이즈 오브 프루브 토너먼트 우승 (2012년)
UWN 태그팀 챔피언 1회
GHC 태그팀 챔피언 1회
NJPW 스트롱 오픈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2회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1회

1. 커리어

호주 출신 프로레슬러.

1.1. WWE에 입성하기 이전

2003년에 Explosive Coastal Wrestling에서 데뷔해 활동 초에는 지는 일이 늘다가 어느정도 뜨기 시작하고, 2004년에 처음으로 마이키 니콜스와 만나 경기를 가지지만 패하고, 호주에서 활동 중인 여러 레슬러들과의 경험을 통해 계속 성장해 나갔다.

마이키 니콜스와 경기를 가지는 일이 늘면서 2007년에 EPW에서 열린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에 참가해 결승전에서 스파이크 스틸을 꺾고 우승을하게 되고, 호주에서만 활동하다가 2008년에 처음으로 미국에도 진출하며 미국의 유명 레슬러들과도 경기를 가져본다.

2009년에 EPW에서 ANZAC 컵 토너먼트에도 참가하고 결승전까지 진출해 마이클 몰레오네를 꺾고 우승을 하게된다. 알렉스 킹스턴과는 계속 팀으로 다녔고, 댄 무어 & 체이스 그리핀을 꺾고 EPW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챔피언 경력을 만든다.

2011년에 일본의 프로레슬링 NOAH에서 활동을 시작하며 호주에서 라이벌로 만나 태그팀 경기에서 가끔씩 팀을 이룬 마이키 니콜스와 함께 각 나라별 레슬러들과 경기를 가지고, 여기서도 마이키 니콜스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하틀리 잭슨을 중심으로 결성된 TMDK 일원으로도 활동하고, 미국활동도 병행하며 ROH를 포함해 OVW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NOAH에서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미국활동이 많이 줄어들면서 호주와 일본을 오가며 활동을 하다가 2015년에 마이키 니콜스와 같이 스기우라 타카시 & 다나카 마사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GHC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그러나 보유한지 1달만에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 & 랜스 아처에게 패하며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잃고, 2015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첫 출연해 마이키 니콜스 & 마루후지 나오미치 & 야노 토루와 팀을 이뤄 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 & 랜스 아처 & 셸턴 벤자민 & 이이즈카 타카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NOAH에서 계속 활동했지만 WWE 입단테스트에 마이키 니콜스와 참가해 통과하며 수련생 계약을 맺게된다.

1.2. WWE

1.2.1. TM-61/더 마이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MDK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2. 싱글 활동

파트너인 닉 밀러가 개인사정으로 방출되면서 태그팀 활동이 끊긴 셰인 쏜은 NXT UK에도 잠시 출연해 타일러 베이트와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NXT에서 거의 하우스쇼에서 경기 가지는 일만 생기다가 2019년부터 생긴 NXT 브레이크아웃 토너먼트에 대해 상당한 불만을 가지며 새롭게 데뷔한 선수들을 향한 질투심이 생겨 시비를 걸고, 호아킨 와일드를 시작으로 같은 TMDK 일원이었던 브론슨 리드까지 꺾는 모습을 보이며 치고 올라가려는 모습을 보였으나 브론슨 리드와의 2차전에선 패하고, 사우디 시장 공략을 위해 밀어주는 만수르에게도 패하고, 이후로도 거의 하우스쇼 위주 활동이라 NXT 본무대에 출연하기가 어려웠다.

2020년에 코로나 범유행이 생긴후부터 같은 호주 출신의 브랜든 빈크과 같이 다니면서 처음으로 메인무대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RAW에서 스트리트 프로피츠에게 패하고 NXT에선 오니 로컨 & 대니 버치에게 패한다. 메인이벤트에선 오스틴 띠어리에게도 패하고, MVP에 의해 메인로스터에서 활동하며 리코셰 & 세드릭 알렉산더와 잠시 대립하다가 어느새부터인가 다시 몰락하며 NXT에서 덱스터 루미스에게 패하고, 메인이벤트에선 셸턴 벤자민, 리코셰, 움베르토 카리요에게 차례로 패하고, NXT에선 브론슨 리드와의 3차전에서도 패한다.

1.2.3. 레트리뷰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트리뷰션(스테이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4. 레트리뷰션 해체 후 싱글로 전환

드래프트를 통해 스맥다운으로 이적하면서 레트리뷰션 시절 링네임은 슬랩잭에서 예전 링네임인 셰인 쏜으로 돌아가고, 거의 활동은 다크 매치에서 밖에 없어 레트리뷰션 해체후로도 빈스 맥마흔의 푸대접은 이어지며 해고러쉬에 포함돼 WWE에서 방출당한다.

1.3. WWE에서 방출된 후

한동안 프로레슬러 활동을 못하다가 2022년 미국에서 NJPW STRONG에 출연해 과거에 사용한 셰인 헤이스트로 복귀하며 2022년에 방출당한 조나 락(브론슨 리드)와 재결합해 TMDK 일원으로 활동하고, 신일본 프로레슬링 소속으로 활동하며 미국의 다른 인디단체들에서 활동하게 된다.

9월부터 신일본 본무대인 일본에서 활동하고, 셰인 헤이스트 & 조나 락 & 배드 듀드 티토와 같이 다니고 몇달 후 마이키 니콜스까지 합류하며 전처럼 2인조 듀오로 다니고, 조나 락이 WWE와 재계약을 맺으면서 셰인 헤이스트는 마이키 니콜스와 함께 TMDK의 오리지널 멤버로 남게되면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다양한 유닛들과 경기를 가지고, 2023년에 임팩트 레슬링에도 출연하며 마이크 베일리와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새크리파이스 2023에서 배드 듀드 티토와 팀을 이뤄 블릿 클럽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의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 자리에 도전했지만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배드 듀드 티토와 다시 팀을 이뤄 모터 시티 머신건즈(크리스 세이빈 & 알렉스 셸리)와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023에 출연해 불릿 클럽, 모터 시티 머신건즈, 어시 오픈(마크 데이비스 & 카일 플레처)을 상대로 한번더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 도전하지만 이번에도 불릿 클럽이 승리를 거두면서 패한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계속 활동하다가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선 잭 세이버 주니어와 팀을 이뤄 에디 에드워즈 & 무스에게 패하고, 그러다가 AEW가 인수한 ROH에도 출연하며 마이키 니콜스와 같이 숀 딘 & 칼리 브라보를 꺾고 AEW 본무대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AEW 레슬드림에서 마이키 니콜스 & 배드 듀드 티토와 같이 빌리 건 & 디 어클레임드(맥스 캐스터 & 앤서니 보웬스)를 상대로 AEW 월드 트리오스 챔피언십 매치에 도전했지만 패한다.

신일본에서 활동하던 중 2024년에 다시 AEW에 등장하면서 6월 15일에 방영된 콜리전에서 마이키 니콜스 & 리오 러쉬 & 록키 로메로를 상대로 블랙풀 컴뱃 클럽과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6월 29일에 방영된 콜리전에선 로비 이글스와 팀을 이뤄 오렌지 캐시디 & 이시이 토모히로를 상대로 패한다.

2. 여담

  • 유도 & 크리켓을 배운 경험이 있다.
  • '모에'라는 이름의 유기견 출신 애완견을 기르고 있다.
  • 모난 곳 없이 잘 빠진 몸에 잘생긴 얼굴까지 갖춰, 일본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선수 중에서 확실히 꼽히는 미남으로 유명하다. 2023년 초대형 유튜브 채널 스모쉬 레귤러 출연으로 유명한 백인 - 필리핀 혼혈 배우 겸 프로듀서 키미 히메네스와 결혼했다.
  • 링 입장 퍼포먼스가 다양하고 똘기 넘치는 걸로 유명한데, 링 입장시 TMDK 수건을 물거나 허리에 끼고 허리를 흔들며 들어와 콜을 받을 때 TMDK 수건을 머리 위로 미친 듯이 흔드는 것이 기본이며, 트월킹을 춘다던가, 벨트를 가지고 있을 때는 벨트 사이에다 스낵을 껴서 먹으면서 들어온다던가, 벨트를 뒤로 차고 들어온다던가 하는 온갖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3. 둘러보기

파일:CHAOS신로고.png
<colbgcolor=white> 이시이 토모히로 <colbgcolor=white> 야노 토루 <colbgcolor=white> 록키 로메로
YOSHI-HASHI 고토 히로오키 YOH
척 테일러 오렌지 캐시디 리오 러쉬
{{{#!folding 【 기타 멤버 】 전 멤버
알렉스 코즐로프 5대 블랙 타이거 브라이언 켄드릭 데이비 리차즈
게도 자이언트 버나드 히데오 사이토 자도
제이 화이트 칼 앤더슨 사쿠라바 카즈시 로우 키
다나카 마사토 마이키 니콜스 로비 이글스 나카무라 신스케
SHO 이이즈카 타카시 나이토 테츠야 타카하시 유지로
휠러 유타 윌 오스프레이 오카다 카즈치카 트렌트 베레타
크리스 스탯랜더
객원 멤버
아베르노 댄하우젠 딕 토고 플립 고든
타니구치 슈헤이 마루후지 나오미치 네그로 카사스 오쿠무라
TAJIRI 쉐인 헤이스트 슈 마라슈우로 발 비너스
야마토
서브 그룹
베스트 프렌즈 자도&게도
}}} ||

파일:EPW_Perthlogo.png
EPW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우승자
데블린 리브스
(2006)
셰인 헤이스트
(2007)
제이 테일러
(2008)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최우수 태그팀 상
GET WILD
(소야 마나부 & 오오모리 타카오)
(2012)
TMDK
(마이키 니콜스 & 셰인 헤이스트)
(2013)
탄환([ruby(弾丸, ruby=だんがん)]) 양키즈
(다나카 마사토 & 스기우라 타카시)
(2014)


[1] WWE 첫 입성 때 사용하기 시작한 링네임.[2] 데뷔 처음부터 사용하던 링네임으로, WWE를 벗어난 후 원래의 링네임으로 돌아왔다.[3] 발음 구성이 ve-RYE-zer로 '베라이저'로 읽는다.[4] 미국의 백인 - 필리핀 혼혈 배우, 프로듀서. 전 세미프로 축구선수 출신. 구독자 2500만명을 넘는 초대형 유튜브 채널 스모쉬의 레귤러 멤버로 유명했으며, 구독자 1200만명의 채널 People Vs Food의 프로듀서 겸 출연자로 활동하고 있다. 셰인과는 2023년에 결혼했다.[5] 하이킥, 사커볼 킥 등의 타격기, 브론슨 리드를 사이토 수플렉스로 넘길 수 있는 파워, 전성기 때 피닉스 스플래시까지 가능했던 하이 플라잉 실력 및 지금도 녹슬지 않은 탄력을 두루 갖추고 있는 올라운더이다.[6] 타점 높은 거로는 다른 드랍킥의 명수들에게 지지 않는 드랍킥의 소유자이다.[7] 킥 자체가 빠르진 않지만, 임팩트 순간 갑자기 가속을 줘서 차는 특이한 임팩트를 가진 킥을 찬다.[8] Shane-ing Wizard. 변형 샤이닝 위저드. 이름은 샤이닝 위저드의 자신의 이름 '셰인'을 넣어 변형한 것으로, 무릎차기가 상대 측두부에 들어가는 일반 샤이닝 위저드와 달리 무릎 꿇은 상대에게 날아가 그대로 정면 점핑 니로 상대 턱을 친다.[9] 싯아웃 파워밤. 상대를 찍기 전에 한번 더 집어올려 낙차를 올린 파워밤이다.[10] 피닉스 스플래시. NOAH 시절 이후에는 잘 안쓰긴 하지만, 188cm의 장신에도 불구하고 피닉스 스플래시를 쓸 수 있는 정말 몇 안 되는 선수이다.[11] 치킨윙 오버 더 숄더 크로스페이스.[12] 파이어맨즈 캐리 인투 닐링 사이드버스터. 이름은 데스 밸리 밤의 패러디로, 파이어맨즈 캐리 자세에서 옆으로 상대와 같이 쓰러지는 데스 밸리 밤과 반대로 파이어맨즈 캐리 자세에서 오른팔로 상대 가슴팍을 잡고 위로 띄워 낙차를 만들면서 그 낙차 그대로 닐링 사이드버스터로 상대를 찍는다.[13] WWE 시절에는 TM61, The Mighty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했다.[14] 데스 밸리 밤 + 브레인버스터. 마이키가 상대를 파이어맨즈 캐리 자세로 잡은 후 데스 밸리 밤을 시전하기 시작하면 셰인이 재빨리 상대 목을 함께 잡고 브레인버스터 자세를 취하며 최종적으론 합체 브레인버스터 같은 형태로 상대를 찍는다. 기술명의 유래는 호주의 록밴드 AC/DC의 노래 Highway to Hell[15] 점핑 DDT + 오버 더 숄더 페이스버스터. 마이키가 오른 어깨에 상대 복부를 얹은 형태로 상대를 들어올리면 셰인이 점핑 DDT를 시전함과 동시에 마이키도 상대를 찍는다. 큰 경기에서는 탑 로프 버전으로 마이키가 상대를 코너 쪽으로 가져가면, 코너에서 셰인이 뛰어 내리면서 카네마루 요시노부의 딥 임팩트 같은 형태로 상대를 찍는 업그레이드판을 보여준다.[16] 원조 TMDK의 최종병기. 마이키와 셰인이 함께 상대를 고릴라 프레스로 든 상태에서 마이키는 시팅 사이드버스터, 셰인은 셰인 본인의 피니셔인 밤 벨리 데스의 형태인 닐링 사이드버스터로 상대를 높은 낙차에서 회전시키며 후두부를 중심으로 찍는다.[17] Explosive Coastal Wrest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