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 → |
1. 개요
슈퍼 다이큐 2025시즌에 대한 문서다.2. 클래스 규정
배기량에 따라서 클래스 숫자가 정해진다. 레이스카는 숫자가 아닌 문자를 사용. FIA 그룹 A 기준을 따라 터보차져가 들어간 가솔린 차량의 경우 배기량에 1.7을 곱한다. 이로 인해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스바루 임프레자와 그 변형모델인 WRX는 모두 2리터 모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ST-2로 편성되었다.참가 차량 문제로 여러번 클래스 변경이 있었으며 가장 최근 변경은 2022년 시즌이다.
- ST-X
2012년에 ST-GT3이란 명칭으로 출범한 클래스로 대회 내 최상위 클래스. SRO가 주도해서 제정한 FIA-GT3 차량이 사용된다. 단, 플래티넘 드라이버[1]는 팀당 한 명 이하로만 참여가 가능하다. 종합우승도 여기서 나온다. 현재의 이름은 2014년부터 사용했으나 슈퍼 GT와의 경합[2] 문제도 있어서 참가차는 그렇게 많지 않은 편.
- ST-TCR
2017년부터 시작한 TCN-2 전용 클래스. 등장 초기에는 ST-R이라는 명칭이었다.
- ST-Z
2017년 ST-TCR과 같이 출범했으며, 벨기에 규격인 RACB GT4 차량이 사용된다. 플래티넘 드라이버는 여기에도 팀당 한 명 이하로만 참여가 가능하다.관대하다[3] 일본에서 GT4가 참여하는 대회가 거의 없기 때문인지 알파벳 클래스 중에서는 가장 많이 참여한다.
- ST1
3,500cc 초과 차량이 들어가는 클래스다. 구동방식은 제한 없음. 하지만 GT3 모는 게 낫다고 봐서 ST-X로 쑥쑥 넘어가는 바람에 많이 축소되었다. 초기에는 닛산 스카이라인 GT-R 천하였지만, 이후 BMW, 포르쉐 등이 이 클래스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 ST2
2,400cc 초과 3,500cc 이하 차량이 해당된다. 구동방식은 본래 사륜구동만 허용되었으나 2018년부터 전륜구동 차량도 참여가능한 클래스로 변경. 과거 여기에 란에보와 임프레자 혹은 WRX 라는 깡패가 있어 사실상 둘만의 싸움이었고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란에보 원메이크 체제였고, 2013년부터 다시 한번 둘만의 싸움을 벌였다. 이후 2016년에 란에보가 단종되면서 WRX 독무대로 변한 상황이지만, 2018년부터 규정이 바뀌면서 ST3에서 활동하던 마쓰다 악셀라 디젤 모델이 이 클래스로 참전했으며 2019년에 혼다 시빅 타입 R이 스팟 출격하고 2020년에 토요타 GR 야리스가 참전하면서 클래스에 나오는 차량이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2022시즌부터 종래의 2,000cc에서 2,400cc로 변경되었다.
- ST3
ST2와 배기량 범위는 같지만, 후륜구동만 허용된다. 과거에는 전륜구동차들도 이 클래스에 나왔지만, 2018년 규정 변경으로 전륜구동 차량은 ST2로 이동했다. 2021년 대표적인 차량은 닛산 페어레이디 Z, 토요타 크라운, 렉서스 RC350.
- ST4
- ST5
가장 낮은 클래스로, 1,500cc 이하 차량이 해당된다.
1,500cc 초과 2,000cc 이하 차량이 해당됐으나, 2022년 규정변경으로 2,400cc로 확대됐다. 혼다 인테그라가 단종된 이후 토요타 86이나 마쓰다 로드스터 중심으로 흘렀지만, 토요타 86의 2세대 모델인 GR86이 2.4리터 엔진을 얹으면서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자, 규정이 변경된 셈.
또한 7대 미만이 참여한 클래스는
3. 규정 변경 사항
4. 2025 시즌 캘린더
| |||||
2025 레이스 일정 | |||||
라운드 | 이벤트명 | 레이스 시간 | 서킷 | 일자 | |
1 | - | - | 모빌리티 리조트 모테기 | 3/2~3 | |
2 | - | - | 스즈카 서킷 | 4/27 | |
3 | 후지 슈퍼 텍 24시 | 24시 | 후지 스피드웨이 | 5/31~6/1 | |
4 | - | - | 스포츠랜드 스고 | 7/6 | |
5 | - | - | 오토폴리스 서킷 | 7/27 | |
6 | - | - | 오카야마 인터내셔널 서킷 | 10/26 | |
7 | - | - | 후지 스피드웨이 | 11/16 |
5. 2025 시즌 엔트리
5.1. ST-X
ST-X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국적 | 드라이버 | |||
23 | TKRI 마츠나가 건설 | 메르세데스-AMG GT3 EVO | | 마츠나가 다이스케 | |||
카타오카 타츠야 | |||||||
오쿠모토 슌지 | |||||||
나카야마 유키 | |||||||
30 | 팀 핸드워크 챌린지 | 미정 | | 미정 | |||
| 키무라 이오리 | ||||||
| 사사키 다이키 | ||||||
| 미정 | ||||||
31 | apr 레이싱 | 덴소 렉서스 RC F GT3 | | 나가이 히로아키 | |||
| 가모 나오야 | ||||||
| 코바야시 리쿠토 | ||||||
| 사가 코키 | ||||||
81 | GTNET 모터스포츠 | DAISHIN with GTNET GT-R GT3 | | 오야기 노부유키 | |||
| 오야기 류이치로 | ||||||
| 사카구치 나츠 | ||||||
| 아오키 타카유키 | ||||||
666 | 세븐 X 세븐 레이싱 | 포르쉐 911 GT3 R (992) | | 뱅크시 | |||
| 후지나미 키요토 | ||||||
| 콘도 츠바사 | ||||||
| 와타라이 타이치 |
5.2. ST-Z
ST-Z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국적 | 드라이버 | |||
20 | 나니와 덴소 팀 임펄 | 나니와 덴소 팀 임펄 Z | | 마츠모토 타카시 | |||
| 히라미네 카즈키 | ||||||
| 오키 카즈키 | ||||||
| 쥘 카즈키 트뢸뤼예 | ||||||
25 | 팀 제로원 | raffinée 닛산 메카닉 챌린지 Z 니스모 GT4 | | 우에마츠 타다오 | |||
| 마츠다 츠기오 | ||||||
| 나토리 텟페이 | ||||||
| 사토 키미야 | ||||||
26 | | 오츠카 류이치로 | |||||
| 토미타 류이치로 | ||||||
| 시노하라 타쿠로 | ||||||
| 아라 세이지 | ||||||
52 | 사이타마 그린 브레이브 | 토요타 GR 수프라 GT4 | | 야마자키 마나부 | |||
| 요시다 히로키 | ||||||
| 핫토리 나오키 | ||||||
| 노나카 세이타 |
5.3. ST-TCR
ST-TCR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드라이버 |
5.4. ST-Q
ST-Q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국적 | 드라이버 | |||
12 | 마쯔다 스피릿 레이싱 | 마쯔다 로드스터 (NDERC) CNF 컨셉트 | | 미정 | |||
| 미정 | ||||||
| 미정 | ||||||
| 미정 | ||||||
55 | 마쯔다3 바이오 컨셉트 | | 미정 | ||||
| 미정 | ||||||
| 미정 | ||||||
| 미정 | ||||||
28 | 토요타 가주 루키 레이싱 | 토요타 GR86 CNF 컨셉트 | | 토요다 다이스케 | |||
| 츠보이 쇼 | ||||||
| 사사키 에이스케 | ||||||
| 오시마 카즈야 | ||||||
32 | 토요타 GR 코롤라 H2 컨셉트[4] 토요타 GR 야리스 M 컨셉트[5] | | 모리조 | ||||
| 오구라 야스히로 | ||||||
| 사사키 마사히로 | ||||||
| 이시우라 히로아키 | ||||||
61 | 팀 SDA 엔지니어링 | 스바루 하이퍼포먼스X 퓨처 컨셉트 | | 이구치 타쿠토 | |||
| 야마우치 히데키 | ||||||
| 이토 카즈히로 | ||||||
| 하나자와 마사시 | ||||||
104 | GR 팀 스피릿 | 토요타 GR 야리스 DAT 레이싱 컨셉트 | | 오마사 카즈히코 | |||
| 야마시타 켄타 | ||||||
| 나카야마 유이치 | ||||||
| 마츠이 타카미츠 | ||||||
271 | 팀 HRC | 혼다 시빅 타입 R CNF 컨셉트 | | 미정 | |||
| 미정 | ||||||
| 미정 | ||||||
| 미정 |
5.5. ST-1
ST-1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국적 | 드라이버 |
5.6. ST-2
ST-2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국적 | 드라이버 | |||
95 | 팀 스푼 | 혼다 시빅 타입 R (FL5) | | 야마다 에이지 | |||
| 코이데 슌 | ||||||
| 니시무라 카즈마 | ||||||
| 마츠이 타케토시 | ||||||
| 나카지마 야스노리 | ||||||
225 | KTMS | 토요타 GR 야리스 | | 토미시타 리오나 | |||
| 타이라 히비키 | ||||||
| 스즈키 토키야 |
5.7. ST-3
ST-3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국적 | 드라이버 | |||
15 | 오카베자동차 모터스포트 | 오카베자동차 Z34 | | 마에지마 슈지 | |||
| 나가시마 마사아키 | ||||||
| 메카루 츠바사 | ||||||
| 모토지마 세이야 | ||||||
16 | | 타나카 토루 | |||||
| 시미즈 히로노부 | ||||||
| 미야케 아츠시 | ||||||
| 미정 |
5.8. ST-4
ST-4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국적 | 드라이버 |
5.9. ST-5
ST-5 클래스 엔트리 | |||||||
차량 번호 | 팀 | 차량 | 국적 | 드라이버 | |||
120 | 마쯔다 스피릿 레이싱 | 마쯔다 로드스터 (ND5RC) | | 마츠바라 타이세이 | |||
| 쿠메타 스바루 | ||||||
| 카토 타츠히코 | ||||||
| 요시다 야스마사 | ||||||
| 미나미사와 타쿠미 |
6. 프리시즌 정보 업데이트
6.1. ST-X
6.2. ST-Z
- 사이타마 그린 브레이브가 2025년 1월 27일 라인업을 공개하였다.
6.3. ST-TCR
6.4. ST-Q
- 스바루의 라인업이 25년 1월 10일 도쿄오토살롱 당시 발표되었다.
6.5. ST-1
6.6. ST-2
6.7. ST-3
6.8. ST-4
6.9. ST-5
7. 1라운드 : 모빌리티 모테기 레이스
8. 2라운드 : 스즈카 레이스
9. 3라운드 : 후지 24시 레이스
9.1. 레이스 결과
10. 4라운드 : 스포츠랜드 스고 레이스
11. 5라운드 : 오토폴리스 레이스
12. 6라운드 : 오카야마 레이스
13. 7라운드 : 후지 레이스
14.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14.1. 드라이버
14.1.1. ST-X
14.1.2. ST-Z
14.1.3. ST-TCR
14.1.4. ST-Q
14.1.5. ST-1
14.1.6. ST-2
14.1.7. ST-3
14.1.8. ST-4
14.1.9. ST-5
14.2. 팀
14.2.1. ST-X
14.2.2. ST-Z
14.2.3. ST-TCR
14.2.4. ST-Q
14.2.5. ST-1
14.2.6. ST-2
14.2.7. ST-3
14.2.8. ST-4
14.2.9. ST-5
[1] FIA 라이선스 기준으로 플래티넘 항목을 2개 달성한 드라이버. 예를 들어 르망 24시 LMP1 클래스에서 우승하고, F1 데뷔에 성공했으면 2개 만족으로 플래티넘이다. 또한 플래티넘 과제 중 골드 3개 달성도 있어서 플레티넘 1개, 골드 추가로 2개(골드 조건 중 플레티넘 항목 1개 만족이 있다.) 달성해도 인정된다.[2] GT3 차량은 슈퍼 GT의 GT300 클래스에도 참여할 수 있다.[3] 일반적인 GT4 대회에는 실버 이하 라이선스만 참여가 된다.[4] 라운드 3&7 한정[5] 라운드 5&6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