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신용우"><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AFEF><tablebgcolor=#00AFEF> | CJ ENM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FEF> 기수 및 년도 | 성우 | |
제1기 (1995) | 남 | 정승욱, 최재익, 최준영 | |
여 | 김나연, 양정화, 이계윤, 이동은, 이지영, 이현진 | ||
제2기 (1996) | 남 | ||
여 | 김선희, 류점희, 박경혜, | ||
제3기 (1997) | 남 | 김장, 서윤선, 손종환, | |
여 | 김효선, 윤여진, 이자명, 전혜수, | ||
제4기 (2000) | 남 | 김광국, 김정은, 박만영, | |
여 | 김선혜, 여민정, | ||
제5기 (2003) | 남 | 김기흥, 신용우, 현경수, 홍범기 | |
여 | 이용신, | ||
제6기 (2006) | 남 | 김영찬, 박성태, 이호산, 최승훈, 최지훈 | |
여 | 김보영, 김현심, 김현지, 안영미, 이소은 | ||
제7기 (2009) | 남 | 강호철, 김국진, 선호제, 소정환 | |
여 | 김새해, 김영은, 김율, 박리나, 정혜원 | ||
제8기 (2012) | 남 | 권성혁, 김명준, 김정훈, 한신 | |
여 | 김채하, 방연지, 여윤미, 임윤선 | ||
제9기 (2015) | 남 | 김신우, 김지율, 손수호 | |
여 | 김가령, 이새벽, 정유정 | ||
제10기 (2018) | 남 | 강성우, 김다올, 이상호, 홍승효 | |
여 | 강새봄, 김도희, 박시윤, 유영 | ||
제11기 (2021) | 남 | 김동현, 김윤기, | |
여 | 박이서, 유혜지, 이달래, 채림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대원방송 / CBS / EBS / KBS / MBC / PBC | }}}}}}}}} |
신용우 · 홍범기 게스트 목록 · 오더라 어워드 · 역대 변천사 코너 (성우계 단신 · 홍쉡의 고급진 식탁 · 마당신의 문화살롱) |
<colbgcolor=#3f687e><colcolor=#ffffff> CJ ENM 성우극회 5기 성우 | |
신용우 愼鏞友 | Shin Yong-woo | |
<nopad> | |
출생 | 1976년 3월 19일 ([age(1976-03-19)]세) |
서울특별시[1] | |
국적 |
|
본관 | 거창 신씨[2] |
신체 | A형 |
가족 | 부모님 형 신용원, 신용일[3] 배우자(2005년 결혼)[4], 슬하 2녀 |
학력 | 경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 / 학사)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요셉) |
소속 | CJ ENM 성우극회 5기 (프리랜서) |
활동 시기 | 전속: 2003년 3월 ~ 2006년 3월 프리랜서: 2006년 ~ 현재(20년 차) |
별명 | 용우신, 갓용우, 신무튼[5] 괴도용우[6], 용우투르[7], 복면용우[8] |
팬네임 | 모비[9] |
MBTI | ENTP[10] |
링크 | |
서명 |
1. 개요
|
2024년 사진[12] |
2. 연기
목소리가 부드러우면서도 시니컬함이 존재하는 편이다. 쿨한 성격의 캐릭터는 이런 느낌을 바탕으로 툭툭 내뱉는 시니컬한 연기가 한층 더 돋보인다는 의견도 있으나 감정표현에 있어 너무 밋밋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그래도 완전히 어린 톤도 아니고, 그렇다고 완전히 굵직한 톤도 아니라서 변성을 이용해 다양한 속성의 캐릭터를 연기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13]연기 스펙트럼이 남성 성우들 중에서도 굉장히 넓은 편이다. 하위 문단을 보면 크게 분류한 목소리의 계열이 10개로, 같은 CJ ENM 성우극회 5기 출신의 홍범기와 더붙어 독보적인 광역계 중 하나로[14] 같은 시기에 방영했던 아따맘마의 한돌이와 나루토의 휴우가 네지가 같은 성우라는 사실은 당시 투니버스의 주 시청자였던 저연령층들에게 놀라움을 선사했다. 예를 들자면 째진 목소리를 신용우의 스타일이라고 여겨왔던 성우팬들에게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사빈과 몬스터의 요한, 블리치의 쿠로사키 이치고의 목소리는 반전이라고 평가를 받았다.
다만 단점이라면 넓은 연기 스펙트럼에 비해 변성이 비교적 약해서 연령과 속성을 불문하고 어떤 배역을 맡아도 음성변조를 하지 않는 이상 신용우 특유의 시니컬한 목소리가 묻어나오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단순 광역계로서는 같은 5기 출신 동기인 홍범기나 다른 후배 광역계 성우들에게 밀린다는 평가도 적지 않은 편이다.
친정인 투니버스의 주력인 애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나레이션, 외화[15], 라디오드라마 또한 준수한 실력을 보여주는 편. 간혹 해당 글의 댓글처럼 애니메이션 연기보다 외화, 라드가 더 좋다는 의견도 보인다.
중년, 노년 캐릭터의 경우 개그, 천진난만한 캐릭터에는 평가가 좋은 편이나 성우 특유의 가벼운 음색덕분에 중후하고 진지한 연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편.[16]
===# 목소리 종류별 배역 #===
(작품 이름 가나다순 정렬)
- 미남ㆍ쿨남계
- MAGIC KAITO와 명탐정 코난의 고희도(괴도 키드)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시리즈의 스타로드
- 가면라이더 지오의 묘코인 게이츠
-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사빈
- 괴도 조커의 스페이드
- 꿈빛 파티시엘의 원가온
- 나루토의 휴우가 네지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토도로키 쇼토
- 노블레스의 카디스 에트라마 디 라이제르
- 다시 그리는 시간의 로샤
- 달빛천사의 에이치
- 대니 팬텀의 대니 팬텀 및 대니 팬튼
- 더 보이스의 최석영
-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서태웅
- 던전앤파이터의 마창사
- 라인프렌즈의 제임스
- 마기의 연백룡
- 메이플스토리의 팬텀
- 명일방주의 인포서
- 배드 가이즈의 미스터 울프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쿠레나이 슈
- 블루 록의 미카게 레오
- 빙과의 오레키 호타로
- 샤이닝스타의 현우
- 수상한 메신저의 한주민
- 슈가슈가룬의 그라시에 대위
- 스타프로젝트의 이안
- 스켓의 후지사키 유스케
-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최강림
-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의 브라이트
- 아스타를 향해 차구차구의 메이르
- 아이엠스타의 스즈카와 나오토
- 애프터라이프의 유세프
- 엑소스 히어로즈의 바라카
- 파워레인저 엔진포스의 히로
- 오란고교 사교클럽의 오오토리 쿄우야
- 유희왕 5D's의 유성
- 인소의 법칙의 유천영
- 이번 생도 잘 부탁해의 문서하
- 이미테이션(웹툰)의 권력(이미테이션)
- 장송의 프리렌의 힘멜
- 카 3: 새로운 도전의 잭슨 스톰
- 쿠키런: 킹덤의 우유맛 쿠키
- 테일즈런너의 카이
- 틴 타이탄 GO!의 딕 그레이슨[17][18]
- 포켓몬스터 DP의 진철
-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의 N
- 플라워링 하트의 트럼프
- 하이큐!!의 츠키시마 케이
- 학원 앨리스의 레오
- 아르케랜드의 주인공
- 열혈계
- 까불이계 (째진 목소리)
- 중년계ㆍ노년계[22]
- 사악계 (쉰 목소리)
- 던전앤파이터의 다크 랜서
- 마야와 3인의 용사의 로드 믹틀란
- 오버워치의 리퍼[24]
- 파이널 판타지 14의 아씨엔 에메트셀크[25]
- 여성계
- Over The Radio의 마당신(중년 여성의 목소리)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의 이잠(여장 남자의 목소리)
- 오소마츠 상의 오소코
- 오소마츠 상의 오소마(어린 소녀의 목소리)
- 짱구는 못말려 5기 '짱아를 따라가요'의 여성
3. 활동
3.1. 성우 활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용우/성우 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용우/성우 활동#|]][[신용우/성우 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라디오 방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ver The Radio#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ver The Radio#|]][[Over The Radio#|]]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웹라디오에서도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름은 Over The Radio로 동기인 홍범기와 함께 2014년부터 [age(2014-09-01)]년째 진행하고 있다.
3.3. 기타 활동
- 성우 교육 활동
- 행사 게스트 참석
- 2008년 5월 23일, SicaF 2008의 케로기로 라이브쇼의 3일차인 블리치Day에 이현진 성우, MC인 양정화, 시영준 성우와 함께 참여했다.
- 2009년 12월 26일, 서유리 성우와 함께 서울코믹월드 토크쇼에 게스트로 참여했다.
- 2010년 1월 30일, 서유리 성우와 함께 부산코믹월드 토크쇼에 게스트로 참여했다.관련 글
- 2012년 2월 18일, Sweet Time Sweet Voice(STSV) 공연에 홍범기, 정재헌, 최승훈, 이호산, 박성태, 장민혁, 박성태 성우와 함께 참여했다.
- 2012년 8월 25일, 웬디의 네버랜드의 네버랜드 페스티벌의 성우 이벤트에 게스트로 참석했다.관련 정보
- 2013년 2월 23일, Sweet Time Sweet Voice(STSV) 시즌 2 공연에 홍범기, 정재헌, 최승훈, 이호산, 박성태, 장민혁, 박성태, 그리고 특별 게스트 정혜원 성우와 함께 참여했다.
- 2016년 8월 14일과 15일, 후배인 최지훈 성우가 주최한 프로젝트 8년의 소소한 카페에서 시크릿 게스트로 참석했다. 이때 최지훈 성우가 사전에 시크릿 게스트는 "신성우"라고 하여 신인성우라고 오해한 사람들이 많았으나 현장에서 정체가 "신"용우 성우인걸 알고 놀란 사람이 많다고 한다. 입장할 때의 멘트는 "나 오늘 뭐하러 온거지... 가면이 더워 죽겠다... 아메리카노도 한잔 시켰다... 나는 신용우다"였다고 한다.당시 사진
- 2023년 4월 30일에 진행한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더 퍼스트 뮤직 성우 토크쇼에 참석했다.
- 성우 매거진 VOICE의 고정 코너인 홍범기의 매드푸드에 반고정 멤버로 등장했다. 등장한 호는 창간호(0호), 1호, 3호, 6호, 8호로 총 5번이며 3호는 비하인드 만화도 있다.비하인드 만화
- 진행자 활동
- 무대 인사 / 시사회
- 명탐정 코난: 천공의 난파선(2010.07.19) - 괴도 키드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2015.07.28) - 괴도 키드: 본래 참석 예정이었으나 참석하지 않았다. 키드는 낮에 안 돌아다니는데 아직 해가 안 떨어져서 안 나타났다고. 뒤에 이어지는 멘트로 김선혜 성우는 "근데 용우는 낮에 잘 돌아다니는데.", 강수진 성우는 "글쎄, 키드는 밤에만 돌아다녀도 내가 아는 용우는 낮에도 잘..."이라고 남겼다. 그래도 시사회의 경품인 티셔츠에 사인은 미리했기에 티셔츠에는 세 성우의 사인이 모두 있다.- 루돌프와 많이있어(2016.12.28) - 많이있어
- 카 3(2017.07.07) - 잭슨 스톰
- 하이큐!! 승자와 패자(2017.08.19) - 츠키시마 케이
- 하이큐!! 콘셉트의 싸움(2018.03.10) - 츠키시마 케이
- 더 퍼스트 슬램덩크(2023.01.08, 2023.02.11) - 서태웅
- 위시(2023.12.27) - 발렌티노
-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2024.07.20) - 괴도 키드
4. 출연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용우/출연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용우/출연작#|]][[신용우/출연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여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용우/여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용우/여담#|]][[신용우/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관련 문서
[1] 본적은 대구광역시. 부모님이 대구 출신이다.[2] 통례공파 32세손 용○(鏞○) 항렬. 축구선수 신한결과 같은 항렬이다.[3] 의외로 집안 내력이 상당한데 가족들이 하나같이 엄친아급의 스펙을 가진 엘리트들이다. 일단 아버지와 어머니 두 사람 모두 서울대학교 출신이고, 큰형 신용원은 고려대학교 출신, 작은형 신용일은 연세대학교 출신이다. 특히 작은형 신용일은 올리브쇼에서도 출연한 바 있는 셰프로 뒤에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도 출연했다. # 원문 기사[4] 자신이 결혼한 시기와 윗기수 선배 성우 여민정이 결혼한 시기가 같아 여민정과 결혼했다고 오해하는 사람도 있었다. 참고로 여민정의 남편은 배우 하도권.[5] 평소에 '아무튼'을 많이 써서 붙었다. '아무튼'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는 듯한데, 본인도 굉장히 좋아하는 듯하다. 유튜브에 '신용우 아무튼'이라고 검색하면 신용우 성우가 얼마나 아무튼을 자주 말하는지 카운팅한 영상까지도 존재한다.[6] 괴도 캐릭터를 많이 맡아서 별명이 괴도용우이다. 대표적으로 2004년 전속시절, 명탐정 코난의 괴도 키드를 맡았다. 이후 2011년, 메이플스토리의 괴도 팬텀도 맡았다. 2015년, 아예 괴도들이 주인공인 만화 괴도 조커에서는 주인공의 라이벌인 스페이드를 맡기도 했다. 2020년, 단역이지만 이상한 과자가게 전천당 괴도 롤빵을 맡기도 하였으며 그 외에도 2022년, 괴도라고 불리지는 않지만 도둑인 배드 가이즈의 주인공 미스터 울프 역을 맡았다.[7] 스타크래프트 2에서 담당했던 아바투르와 데하카가 특이한 말투로 인기몰이를 한 덕분에 얻은 별명. 아바투르는 음슴체와 특유의 개그성 대사 덕에 군단의 심장 개그 캐릭터 1순위가 되었고, 데하카도 거기 못지않게 "닭!"이라는 특유의 키워드로 인기가 폭풍상승했다.[8] 참고.[9] 신용우 성우의 팬카페 이름 The MOVY와 동일하다. 이름의 유래는 'The Magician Of Voice Yong-Woo Shin'. 신용우 성우가 연기한 캐릭터 중 하나인 어떤 마술사 캐릭터에서 유래되었다.[10] 해당 영상 참고.[11] 현재 영상이 올라오지 않고 계정만 남아 있다. 딱히 개인 유튜브를 시작할 생각은 없는 것 같지만 해당 계정으로 현재 홍범기 성우와 함께 진행하는 Over The Radio 본방송 때 유튜브 채팅창에 가끔 홍범기 성우와 함께 출몰(?)하며, 동기인 홍범기 성우가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채널 홍범기 성우네?의 약올리는 댓글에도 가끔 출몰한다. 최근에 유구장창 먹방 라이브 방송에도 댓글로 출연하기도 했다.[12] 명탐정 코난 극장판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무대 인사 사진이다.[13] 목소리를 배우의 얼굴로 비유해서 표현하자면 크게 개성이 튀지는 않지만 어느 역에나 무난하게 묻어난다는 박해일의 얼굴에 비유할 수 있을 듯하다.[14] 같은 동기들인 김기흥, 현경수 역시 엄청난 광역계다.[15] 사실 외화 같은 경우, 성우 캐스팅의 빡세게 하기로 유명한 디즈니 계열 작품에 여러 번 출연한 것으로 이미 증명되긴 했다.[16] 대표적으로 오박사와 아카이럼.[17] 이쪽은 까불이계에 가깝지만 원작 애니의 리부트에서는 미남이고 진지할 땐 쿨하다.[18] 신용우 성우의 온갖 연기를 한 번에 들을 수 있는 캐릭터이기도 한데, 작중의 로빈은 열혈을 보이기도, 쿨한 척 하기도 하지만, 극악의 말썽꾸러기이기도 하고, 광인마냥 미쳐 날뛰기도 하고, 한도 없이 찌질거리기도 하고, 괴물이 되기도 하고, 캐릭터가 어려지거나 아예 나이를 먹어 노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성우의 연기도 로빈의 행보에 맞추어 다양하게 바뀌는데, 전혀 어색함이 없다. 일례로 로빈이 아보가도라는 아보카도의 거대 괴물로 변했을 때는 완전히 괴물 목소리로 연기 패턴이 바뀌는데, 로빈하고 동일한 목소리라는 걸 알기 힘든 수준이다.[19] 이를 재탕했으며, 동일한 캐릭터인 헬로 카봇의 에반 프라임 포함.[20] 기본적으로 쇼타 계열의 배역이지만 다른 계열의 연기도 보여줬다.[21] 스타일은 까불이계지만 목소리는 쿨남 계열에 가깝다.[22] 특히 중장년층의 노역이나 할아버지는 골수팬들조차 못 알아듣다가 엔딩 크레딧을 보고 뒤늦게 깨닫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서남 방언을 쓰는 중장년, 노년 캐릭터를 많이 맡는다. 다만 매이플스토리의 아카이럼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오박사, 비주기는 미스캐스팅이라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23] 의원과 시스의 모습을 번갈아가면서 연기했는데, 특히 시스로서의 본색을 드러냈을 때에는 특유의 비열하고 사악한 목소리가 잘 어울러져 같은 악역인 아카이럼과는 달리 평가가 좋다.[24] 단 원모습인 레예스는 중년계[25] 평상시에는 케이드의 연기톤에 가까운 까불이계에 가깝지만, 진지해 질때는 리퍼의 목소리와 비슷해진다, 본 모습으로 돌아가면 괴생명체 계열 목소리로 바뀐다.[26] 괴랄하게 웃는 목소리도 그렇지만 원기옥에 갈려나갈 때의 목소리가 전형적인 괴물의 패배를 연상케 한다. 그만큼 괴물 역도 잘 어울린다는 소리[27] 원모습은 미남ㆍ쿨남계[28] 생긴 건 멀쩡한 펭귄이라 동물계로 분류해야겠지만 목소리 톤은 완전한 괴물톤이다.[29] 데하카의 목이 갈리고 침범벅으로 걸쭉해진 목소리나 아바투르의 땅 뚫고 들어가는 초저음에 기계적인 목소리는 절대 쿨남계의 괴도 키드를 연기한 성우임을 연상케 하지 않는다. 그만큼 괴물역의 싱크로율을 잘 뽑아낸다.[30] 인간의 모습으로 변한 상황은 미남계.[31] 쉰 연기톤과 째진 연기톤을 반반 섞은 톤으로 연기하였는데, 매우 잘 어울린다.[32] 본 문서의 프로필 사진 행사.[33] 뮤츠의 역습에서는 비주기 역할로 참여했다.[34] 나찰과 닥쳐 배역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