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28 10:20:14

아일랜드 내전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아일랜드 관계 관련 문서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사
영국(북아일랜드), 아일랜드(아일랜드 왕국,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자유국)
정치
영국,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통일
외교
영국-아일랜드 관계,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아일랜드-스코틀랜드 관계
북아일랜드
정치성향·정체성 연합주의(민주연합당, 얼스터 연합당), 민족주의(사회민주노동당, 신 페인)
기타(녹색당, 북아일랜드 동맹당, 반긴축동맹-이윤 이전에 인민)
주요 사건
아일랜드 대기근, 북아일랜드 분쟁, 벨파스트 협정, 브렉시트, 북아일랜드 의정서, 윈저 프레임워크
아일랜드 독립운동
관련 인물 마이클 콜린스, 로저 케이스먼트, 에이먼 데 벌레라
관련 사건 영국의 자치권 이양, 부활절 봉기, 아일랜드 독립 전쟁, 아일랜드 내전
북아일랜드 분쟁
피의 일요일 사건, 아일랜드 단식투쟁
}}}}}}}}} ||
아일랜드 내전
Cogadh Cathartha na hÉireann
Irish Civil War
파일:Secret_Destination_(6233259813).jpg
배를 타고 이동 중인 아일랜드 자유국군
기간
1922년 6월 26일 ~ 1923년 5월 24일
장소
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 자유국
원인
영국-아일랜드 조약의 찬성과 반대 갈등
결과
아일랜드 자유국(조약 찬성파)의 승리
교전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 자유국
파일:영국 국기.svg영국(군사 지원)
IRA(조약 반대파)
1. 개요2. 배경3. 내전
3.1. 포 코트 점거 및 더블린 전투3.2. 전쟁의 확대3.3. 게릴라전과 종전
4. 영향5. 그 이후의 아일랜드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아일랜드 자유국에서 영국-아일랜드 조약(Conradh Angla-Éireannach / Anglo-Irish Treaty)을 받아들여 성립된 아일랜드 자유국 국방군과 이를 반대한 조약 반대파 IRA(= 먼스터 공화국) 사이에 1922년 6월에서 1923년 5월에 걸쳐 약 1년간 진행되었던 내전.

2. 배경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아일랜드는 여러 번 독립운동을 시도했으나 번번히 실패하여 독립이 좌절되었다. 그러나 1916년 4월 일어난 부활절 봉기 이후, 영국군의 잔혹한 탄압에 격분한 아일랜드인들이 신 페인(Sinn Féin)당과 IRA를 주축으로 한 아일랜드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협력함으로써 1919년 1월 시작된 아일랜드 독립전쟁은 큰 힘을 얻었다. 여기에 아일랜드 대기근 시기를 중심으로 미국으로 건너간 많은 아일랜드계 미국인들이 독립운동에 재정적인 지원을 해 준 것도 한 몫을 했다.

아일랜드군의 집요한 테러, 암살, 기습 게릴라 작전에 학을 뗀 영국은 결국 '영국-아일랜드 조약(Anglo-Irish Treaty)'을 체결하여 아일랜드를 자치령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이 조약은 불완전한 내용으로, 완전 독립을 원하던 대다수의 아일랜드 독립운동가들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내용이 많았다. 대표적인 조약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조약 체결 후 영국 육군은 북아일랜드를 제외한 아일랜드섬 전역에서 즉시 철수한다.
  • 아일랜드아일랜드 자유국(Irish Free State)이라는 이름으로 영국자치령(dominion)이 된다.
    - 영국의 자치령은 내정에서 완전한 자치권을 가지지만 외교 및 군사의 권한을 영국 본국이 가지고 있었다.(본국의 감독 하에 제한적인 외교/군사 권한을 가지는 것은 가능했다) 당시의 캐나다호주, 뉴질랜드가 이 지위에 있었다. 아일랜드가 자치령이 되고나서 몇 년 안 가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으로 이들 역시 독자적인 외교권과 군사권을 가진 거의 완전한 독립국이 되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그만한 권한이 없었다.
  • 북아일랜드에게는 조약 체결 1개월 이내에 아일랜드 자유국에서 탈퇴할 권리가 주어진다.
    - 이미 1920년 영국 의회에서 통과된 아일랜드 정부법에 따라 아일랜드는 북부 얼스터 지방의 6개 주로 이루어진 북아일랜드와 26개 주로 이루어진 남아일랜드, 2개의 지역으로 나뉜 상태였으며 실제로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 자유국에서 탈퇴해 영국령으로 남았다.
  • 북아일랜드가 아일랜드 자유국으로의 귀속을 거부하는 경우 영국 정부와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와 북아일랜드 정부, 3자가 모두 참여하는 국경위원회가 아일랜드 자유국과 북아일랜드의 경계를 정한다.
    - 이 조항에 따라 1924~1925년 사이에 국경위원회가 설립되어 아일랜드 자유국-북아일랜드 경계를 아일랜드 자유국 측에 조금 유리하게 일부 조정하였는데 이 결과가 언론을 통해 유출되면서 영국 내부가 시끄러워지자 영국-아일랜드 자유국 간 합의로 아일랜드 자유국이 영국 정부가 진 부채 일부를 인수하지 않는 조건으로 현 경계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하였다.
  • 아일랜드 자유국 의회의 의원들은 영국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해야 하며, 영국 국왕은 상징적인 통치자로 군림한다. 또한 영국 국왕을 대리하는 총독을 둔다.
    - 위의 자치령에 속하는 규정이다.
  • 아일랜드 자유국은 영국 정부가 진 부채 일부를 인수한다.
    - 상술했듯 국경위원회를 해체하고 현 경계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아일랜드 자유국은 영국 정부가 진 부채를 인수하지 않기로 하였다.
  • 영국 본토의 안보를 위해 아일랜드의 항구 중 베러헤에븐(Berehaven), 스파이크섬(Spike Island), 로흐스윌리(Lough Swilly)는 영국 해군이 계속 통제한다.
    - 이 세 항구는 영국 해군이 한동안 주둔하고 있다가 1938년 영국-아일랜드 무역 분쟁을 끝내는 조건으로 철수한다.

당시 아일랜드인들의 생각으로는 '이제 조금만 더 밀어붙이면 완전한 독립을 이룰 수 있을텐데, 고작 이따위 대접이나 받으려고 싸움을 멈추다니 말이 돼?' 라는 반응이 대세였다. 이해하기 쉽게 일제강점기의 경우로 대입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조선은 '조선자유국'(朝鮮国)이라는 이름으로 대일본제국의 자치령이 된다. 조선은 외교권과 군권을 가질 수 없으며, 지안 유지를 위해 경찰을 둘 수 있다.
  • '조선국 의회의 의원들은 대일본제국천황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천황은 조선의 상징적인 통치자로 군림하며 실권은 없는 조선 총독이 형식상 부임한다.'
  • ‘일본인의 유입으로 인해 일본인이 다수가 된 지역은 조선에서 분리시켜 일본제국에 잔류시키며 조선군과 제국 해군은 계속 주둔한다.'
  • '내지 본토의 안보를 위하여 일본해역에 인접한 진해요항부, 마키노시마(牧ノ島), 일부 해안포 기지제국 해군이 계속 통제한다.'
이렇게 된다. 만약 이런 조건으로 조선의 독립이 이뤄진다면 이를 받아들일 독립운동가들과 조선인이 얼마나 있었을까? 아일랜드인도 마찬가지였다. 이 영국-아일랜드 조약으로 인해 남북 아일랜드가 분단되었고 결국 북아일랜드는 영국령으로 굳어진 점에서, 이 조약은 분단을 영구화한 조약이 되었다.

이에 대해 IRA를 이끌던 마이클 콜린스(Michael Collins)를 위시한 조약 찬성론자들은 '완전 독립을 위한 일시적인 조약이다. 이것을 발판삼아 완전한 독립으로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 지금 상황에서는 이것이 최선의 방책이다.' 라는 식으로 맞섰다. 당시 관점에서는 당연히 이해하기 어렵지만, 당시 대영 저항운동을 벌이던 IRA 조직은 인적, 물적 자원에서 거의 한계에 달해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조약 반대론자였던 에이먼 데 벌레라(Éamon de Valera) 또한 후일 "내가 조약에 찬성하지 않았던 것은 큰 실수였다." 라고 말한 바 있다. 이렇게 일부 불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온 거에 대해 '아쉽지만 이게 그나마 나은 결과이니 일단 현실을 인정하고 다음에 더 나은 결과가 나오도록 준비 하자'와 '여기서 멈추면 이도 저도 아니게 되니 좀더 밀어붙여야한다'라는 주장들이 대립하는 건 흔하게 발생하는 일이다.

결국 아일랜드 의회는 근소한 차이[1]로 이 조약을 비준했고, 이에 대해 당시 아일랜드 대통령직에 있던 에이먼 데 벌레라는 조약에 반대해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의회를 나와 조약 반대파인 자신의 지지자들로 구성된 신 페인당을 이끌며, 자신들이야말로 아일랜드의 정통 의회라고 주장하며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와 의회를 배신자로 규정했다. 이들은 1916년 부활절 봉기 당시 선포되었던 '아일랜드 공화국'(Irish Republic[2])의 정통성을 자신들이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아일랜드 자유국 측을 공박했다. 이리하여 아일랜드영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자치권을 얻어냈으나 이번에는 내전을 맞이할지도 모르는 일촉즉발의 상황에 이르렀다.

3. 내전

3.1. 포 코트 점거 및 더블린 전투

이런 상황에서 1922년 4월 14일, IRA의 주요 간부 중 하나인 로리 오 코너(Rory O'Connor)가 200명의 대원들을 이끌고 수도인 더블린 시내에 있는 아일랜드의 대법원 포 코트(Na Ceithre Cúirteanna / Four Courts)를 점거하여 자유국 정부를 규탄하고 조약 반대자들의 봉기를 호소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조약 찬성파로 아일랜드 자유국의 총리였던 마이클 콜린스는 포 코트에서 퇴거할 것을 요청했으나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들의 행동을 반란으로 규정하였고, 영국의 개입과 조약이 철회되어 다시 아일랜드가 점령당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여 반대파를 철저히 진압할 것을 결심하였다. 조약 반대파 측도 여러 번에 걸친 콜린스의 퇴거 요청을 거절하고, 심지어 6월 27일에는 J.J. 오 코넬이라는 자유국 국방군 장성을 납치하기까지 하여 자유국 정부국 측은 더 이상의 인내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다다랐다. 결국 6월 28일 아일랜드 자유국군은 포 코트에 포격을 개시했다.

아일랜드 자유국측은 영국군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아 중화기를 갖추었으며, 이 때문에 원래부터 수적으로도 불리했던 IRA측은 상대가 되지 못해 6월 30일 포 코트의 IRA는 항복했다. 이 과정에서 건물 뒤편에 위치해 있던 공문서 보관소가 포격을 받아 약 1000년간에 달하는 귀중한 현장 사료가 소실되기도 했다. 이 사건 때문에 현대에도 영어권 아일랜드 역사책들의 서문을 보면 저자와 주제를 불문하고 꾸준하게 나오는 대목이 "안타깝게도 내전 당시 포 코트 사료 보관실의 화재 때문에 사료가 손실되어 완전한 설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그나마 남아 있는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어쩌구..." 식의 해명글이니 후대의 역사학자들에게 대단히 골치 아픈 유산을 남긴 셈이다.

한편 조약 반대파 IRA의 또 다른 지휘관 중 하나인 오스카 트레이너(Oscar Traynor)가 이끄는 IRA는 더블린 시내의 오 코넬 거리를 점령하고 국방군측과 격전을 벌였다. 이것이 더블린 시가전으로, 이 전투에서 국방군 및 IRA 쌍방 및 민간인을 포함하여 약 4~5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주일에 걸친 이 전투에서 자유국 국방군은 영국으로부터 지원받은 우수한 장비로 인해 IRA측을 압도했다(물론 영국산 무기로 무장한 국방군을 보면 IRA는 피꺼솟.) IRA측은 결국 더블린 시내에서 퇴각하였으며, 자유국 정부군은 이 전투 이후 수도 더블린의 지배권을 완전히 장악했다. 7월 5일 더블린 시내에 남은 IRA 대원들이 항복하고, 마지막까지 남아 저항하던 IRA의 지휘관 캐덜 브루하(Cathal Brugha)[3]가 자유국군에 의해 사살되어 더블린 시가전은 끝나지만, 이것은 내전의 서막에 불과했다.

3.2. 전쟁의 확대

포 코트 포격과 더블린 시가전의 소식이 전국으로 알려졌고, 더블린에서 퇴각한 IRA 세력이 아일랜드 전역으로 잠입해 들어감으로써 아일랜드인들은 본격적으로 조약 찬성파와 조약 반대파로 나뉘어 전국적인 내전에 들어갔다. 이미 대통령직을 사임한 상태였던 데 벌레라는 IRA측에 가담하였으며, 독립전쟁 당시 IRA의 코크[4] 지역 제2여단장을 맡았던 리암 린치(Liam Lynch)를 IRA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본격적인 저항 운동을 시작했다.

조약 반대파 측은 리머릭, 워터포드, 코크 등 아일랜드 남서부의 먼스터[5] 지역을 세력권으로 하여 이를 먼스터 공화국(Munster Republic)이라 일컬으며 항전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조약 반대파 측은 지휘계통도 일원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무기와 탄약 등 모든 면에서 자유국 국방군에 비해 압도적으로 열세였다. 결정적으로 이들은 포병 전력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공세를 취할 수 없었고 결국 더블린 시가전 이후 내전 기간 내내 수세에 몰렸다.

이에 비해 조약 찬성파측은 월등히 우세한 전력을 갖추어 조약 반대파측을 시종일관 압도했다. 특히 마이클 콜린스가 아일랜드 독립전쟁 당시 영국측의 주요 요인에 대한 암살을 수행하기 위해 육성했던 'The Squad'라는 부대는 내전 당시 'Dublin Guard'로 재편되어 조약 반대파에 대항해 싸울 때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고 조약 반대파들에게 가혹했다. 이 때문에 이들은 조약 반대파들에게는 'Green and Tans'[6]라고 불리며 증오의 대상이 되었다.

이리하여 아일랜드 자유국 국방군은 더블린 시가전이 끝난 약 한 달 뒤인 1922년 8월경까지 먼스터의 주요 지역을 모두 장악했다. 1922년 7월 20일에는 리머릭이 함락되었고, 8월 10일에는 먼스터 공화국 최후의 보루였던 워터포드와 코크가 함락되었다. 우수한 장비로 압도한 국방군 앞에 IRA의 저항은 산발적으로 전개되어 쉽게 분쇄되었고, 유일하게 전투라 할 만한 것은 리머릭 함락 이후 벌어진 킬멀록(Kilmallock) 전투뿐이었으며 여기서도 IRA는 패하였다. 먼스터 공화국이 사실상 실체를 잃고 소멸한 1922년 8월 이후부터 내전의 양상은 요인 암살과 테러, 게릴라전으로 흘러갔다.

3.3. 게릴라전과 종전

먼스터 공화국의 '수도'이자 아일랜드의 제2도시인 코크가 함락된 이후 IRA 최고 지휘관인 리암 린치는 게릴라전으로 전술을 바꾸었다. 린치는 휘하 단원들에게 독립전쟁 당시처럼 분산하여 게릴라 활동을 전개할 것을 명령했다. 이 과정에서 조약 찬성파에 서서 국방군을 지휘하던 독립 영웅 마이클 콜린스가 8월 22일 코크 근처의 도로에서 IRA에 의해 암살당했다. 마이클 콜린스가 살해당하기 열흘 전인 8월 12일 대통령 아서 그리피스 또한 심장마비로 인해 사망한 상황이었는데, 자유국 정부는 W.T. 코스그레이브(W.T. Cosgrave)가 수반이 되었고, 군부는 리처드 멀케이(Richard Mulcahy)가 지휘관이 되어 내전을 계속해나갔다. 이들은 조약 반대파에 대해 예전보다도 훨씬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IRA는 조약 찬성파의 주요 인사들을 암살하는 등 테러 전술로 저항했고, 이에 대해 자유국 정부 측은 IRA측이 게릴라전을 계속한다면 사로잡힌 IRA측 간부를 처형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IRA측이 의원 숀 헤일즈(Sean Hales)를 살해하자, 자유국 정부는 포 코트 함락 당시 사로잡혔던 로리 오 코너를 비롯한 4명을 총살형에 처했다. 전쟁의 가장 비참하고 잔혹한 학살과 보복은 내전 말기인 이때 가장 극심했는데, 이 기간 중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는 체포한 조약 반대파측의 77명을 재판 없이 처형하였다. 또 자유국 국방군은 반정부 게릴라 활동이 활발하던 케리(Kerry) 카운티에서 사로잡은 IRA 대원 9명의 몸에 지뢰를 묶은 뒤 폭파시켜 죽이는 등 잔학행위를 저지르기도 했다. 물론 이에 대한 IRA측의 보복 테러 또한 빈발하였다.

내전 기간 중 적어도 153명 이상의 조약 반대파 수감자들이 불법적으로 처형되었으며, 이에 대한 조약 반대파측의 보복 테러도 격심하여 자유국 정부 수반인 코스그레이브의 숙부를 비롯하여 많은 정치인들이 살해당했다.

조약 반대파와 IRA는 민중의 지지를 얻는데 실패하여 결국 와해될 수밖에 없는 운명에 있었다. 이들은 내전 발발 직후 실시된 총선거에서도 큰 지지를 얻지 못하였으며, 결정적으로 아일랜드 사회에 큰 영향을 행사하는 가톨릭 교회가 자유국 정부를 지지하고 IRA를 불법 폭력단체로 규정지음으로써 조약 반대파는 사실상 내전에서 승리할 가망을 완전히 잃고 말았다.

이리하여 1923년 초 시점에서 전황은 이미 조약 반대파측에 절망적이었고, 자유국 정부의 승리가 기정사실화되어갔다. 조약 반대파의 수장격이었던 에이먼 데 벌레라는 IRA의 지휘부에 정전할 것을 요청했으나 IRA측은 이를 거부했다. 1923년 4월 10일 IRA의 총사령관이었던 리암 린치가 국방군에 의해 사살된 뒤 내전은 사실상 종막을 향했고, 5월 24일 데 벌레라의 아일랜드 공화국군 해산 선언과 함께 내전은 끝났다. 내전이 끝난 이후 데 발레라를 비롯한 많은 조약 반대파측 인물들이 체포되었으나, 내전이 끝난 직후 유화정책을 취한 자유국 정부에 의해 대부분이 짧은 기간 안에 풀려났다.

4. 영향

이 내전이 아일랜드에 끼친 영향은 지대했다. 아일랜드 독립전쟁 당시 하나가 되어 싸웠던 독립 투사들이 조약 지지파와 조약 반대파로 나뉘어, 얼마 전까지도 동지이자 친우였던 상대의 목숨을 노리며 서로 증오해야만 하는 비극이 일어나고 만 것이다. 아일랜드 자유국 정부군은 약 800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조약 반대파 IRA 측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약 2,000~4,000명 가량의 사상자를 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민간인 사상자도 약 1,000~3,000명 가량 될 것으로 추정된다.

경제적으로도 내전으로 인한 주요 건물과 산업 시설의 파괴,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IRA 측의 파괴공작으로 인해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전쟁 수행을 위해 든 비용도 당시 유럽에서 최빈국이었던 아일랜드의 재정에도 큰 부담을 주었다.

5. 그 이후의 아일랜드

1926년 반조약파의 거두였던 에이먼 데 벌레라가 무장 투쟁을 포기하고 합법 투쟁을 주장하며 자유국의 정계에 참가할 것을 선언하였고, 피어너 팔(공화당)을 창당하여 이듬해 의원에 당선되었다. 데 벌레라와 공화당은 1932년 정권을 장악하였고, 이에 대항하여 예전의 조약 찬성파였던 반대파는 피너 게일을 구성하였는데 이 두 당은 2011년까지 아일랜드의 제1당과 제2당의 위치에 있었다.[7] 내전을 겪은 세대가 1970년대까지도 아일랜드의 정권을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일랜드 내전은 아일랜드의 정치에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둘은 이념이나 정책에서 사실상 차이가 없을 정도로 유사한 중도우파 정당이지만 내전의 기억 때문에 계속해서 대립했다.

에이먼 데 벌레라는 결국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켜 차례차례 아일랜드의 완전 독립을 향해 나갔고, 마침내 1937년 총독직을 폐지함과 동시에 아일랜드가 독립국임을 선포했다. 그리고 1949년에는 영연방에서도 탈퇴하여 완전한 독립을 이룩했다.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현 아일랜드 정부의 북아일랜드 통합은 명목상 포기하지 않았으나 사실상 포기했고, 지금은 아일랜드의 남북 분단이 고착화된 상황이다. 일단 너무나 오랜 세월이 지난데다 1998년의 굿 프라이데이 협정 이후에는 현상 유지가 가장 나은 대안이라는 것이 영국,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주민 대다수의 생각이다.

한편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IRA 조직[8]은 이 영국-아일랜드 조약이 불법임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아일랜드 내전 이후 정국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분열을 거듭하여 쇠약해졌으며, 아일랜드가 공화국이 된 이후 거의 힘을 잃은 상태였으나 1960년대 후반 이후 심해진 얼스터 신교도들의 북아일랜드 거주 가톨릭 교도에 대한 탄압과, 결정적으로 이 분쟁을 막기 위해 왔던 영국군이 저지른 피의 일요일 사건에 의해 다시 지지를 얻게 되어 1990년대까지도 활발한 저항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이들도 지금은 현 상황을 인정하여 1998년 벨파스트 협정 이후에는 북아일랜드 자치 정부 의회에 IRA 간부들이 가담하기도 했다.[9]

물론 그래도 아직까지도 이를 인정하지 않는 극소수의 세력들이 있어서 완전히 테러 위협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2011년 5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아일랜드를 방문한 것도 평화 분위기를 더하는 데 한 몫을 했다.

6. 같이 보기



[1] 찬성 64표에 반대 57표.[2] 오늘날의 독립국 아일랜드도 공화국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Republic of Ireland를 쓴다.[3] 아일랜드 독립전쟁 당시 IRA의 총참모장을 맡은 최고 지휘관이었으나, 휘하의 정보부장이었던 마이클 콜린스가 강력한 카리스마로 실질적인 지휘관 역할을 했기 때문에 콜린스와의 사이는 좋지 않았다. 또 1920년 당시 영국으로 게릴라 전선을 확대할 것을 요구했으나 콜린스에 의해 거절당한 일 때문에도 콜린스와의 사이는 좋지 않았다. 어찌 되었건 부활절 봉기 당시의 주요 간부이자 아일랜드 독립 영웅 중 하나인 브루하가 전사한 것은 내전에 불을 지피게 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4] 아일랜드 제 2의 도시.[5] 아일랜드 섬의 지역 구분 중 하나. 아일랜드는 크게 구분할 때 렌스터(중부, 수도 더블린이 속하는 중심지역), 코노트(서부), 얼스터(북부), 먼스터(남서부)의 네 지역으로 구분한다. 정식 행정구역은 아니고 한국으로 비유하면 영남이니 호남이니 하는 크고 두리뭉실한 단위의 분류.[6] 아일랜드 독립전쟁 당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던 영국군 베테랑으로 구성되어 아일랜드에 파견되어 독립운동을 탄압했던 'Black and Tans'라는 영국군 부대에 빗대어 부른 이름. 매우 강경하고 잔학한 진압 및 수색 방식으로 오히려 더 큰 저항을 불러일으키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아일랜드 자유국군의 군복이 녹색(카키색)이었기 때문에 'Green' and Tans라고 부른 것.[7] 피어너 팔은 1932년 이래 단 한번도 제1당의 지위에서 밀려난 적이 없었다가(야당 연합정권에게 정권을 내준 적은 있었다) 2011년 IMF 신세까지 지게 된 금융위기의 여파로 선거에서 참패하여 처음으로 제1당의 지위에서 밀려났다. 이후에는 제1당을 차지한 피너 게일당과 대통령을 배출하고 제2당을 차지한 노동당의 연립정부가 들어섰다.[8] 강경파인 Provisional Irish Republican Army로, PIRA라고 약칭한다.[9] 참고로 벨파스트 협정은 독립국 아일랜드에서 94%, 북아일랜드에서 71% 찬성으로 국민투표를 통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