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4:13:32

아키모토 시로

파일:휴버대 로고.png
휴먼버그대학교 레귤러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지로 소개.png 파일:우류 소개.png 파일:이쥬인 소개.png 파일:코토게 소개.png
쿠레바야시 지로 우류 타츠오미 이쥬인 시게오 코토게 카부토
파일:쿠가 소개.png 파일:아비루 소개.png 파일:미카도 소개.png
쿠가 코테츠 아비루 칸타완결 미카도 이치로타 토가리 겐야
채널 이전
[[사타케 히로후미|
파일:사타케 소개.png
]]
사타케 히로후미
[[키토 죠지|
파일:키토 소개.png
]]
키토 죠지
기타 레귤러
죠가사키 켄시 → 아키모토 시로 }}}}}}}}}

<colbgcolor=#4b0082>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4b0082><colbgcolor=#4b0082> 한구레 조직
라이징
생존 | 사망 | 수뇌부 | 간부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노노메 류세이|
파일:s-1920x1080_v-frms_webp_615d1d8d-5469-429a-b903-1d1cf29da210 테둘.png
]]
[[아키모토 시로|
파일:s-1920x1080_v-frms_webp_af25fd0c-ba83-40bd-8aef-9e82940395da 테둘.png
]]
[[죠가사키 켄시|
파일:s-653x620_v-fs_webp_db771e8d-7d68-4cea-9b32-f2609f5671ea 테둘.png
]]
[[타카죠 렌타로|
파일:s-1920x1889_v-frms_webp_2dc42432-de93-445b-9401-de485f67f6ec 테둘.png
]]
시노노메
류세이
아키모토
시로
죠가사키
켄시
타카죠
렌타로
[[시타라 노리아키|
파일:s-609x538_v-fs_webp_552c8532-cabf-4799-8faf-5ab87229647d 테둘.png
]]
[[코미나토 케이이치|
파일:s-536x528_webp_7a9168b6-b3d3-4d39-8050-10f2cfe00584 테둘 수정.png
]]
[[마미야 쿄헤이|
파일:s-680x582_v-fs_webp_051e7a94-dbca-4d23-96a4-91a5dccdf00c 테둘.png
]]
[[카미하라 타쿠|
파일:s-712x626_v-fs_webp_d28e708d-cad2-4d70-bcb3-9049429b81d7 테둘.png
]]
시타라
노리아키
코미나토
케이이치
마미야
쿄헤이
카미하라
타쿠
신(新) 라이징 조직원
아야츠지 마사시 · 카이도 토모노리 · 세노오 류진 · 스즈미야 사에미
구(舊) 라이징 조직원
후지사키탈퇴 · 이나무라 · 키쿠카와
협력 조직 및 협력자 · 적대 조직 및 원수 관계 인물
아모우구미 조직원 명단 보기 / 쿄고쿠구미 조직원 명단 보기 / 시시오구미 조직원 명단 보기 / 텐노지구미 조직원 명단 보기 / 카미시로구미 조직원 명단 보기 / 고죠구미 조직원 명단 보기 / 모리 주식회사 명단 보기 / 엘 페타스 조직원 명단 보기 / 나츠메 금융 조직원 명단 보기 / 고문 소믈리에 명단 보기 / 메테오 조직원 명단 보기 / CODE-EL 조직원 명단 보기 / 구 쿄고쿠구미 조직원 명단 보기 / 카이엔 조직원 명단 보기 / 매드 카르텔 조직원 명단 보기 / 우라칸 조직원 명단 보기 / 미도 휘하의 사병조직 명단 보기 / 긴다 가문 & 누에 일족 조직원 명단 보기 / 가이아 명단 보기 / 기타 등장인물
}}}}}}}}}}}} ||
<colbgcolor=#6a9a7c> 프로필
파일:슬로우하게 보인다고ww.png
{{{#!folding [ 안경을 벗은 모습 ]
이름 아키모토 시로(秋元 詩郎)
나이 불명
생일 7월 10일 (게자리)[a]
신장 179cm[a]
소속 버서커 2인자 → 라이징 간부 → 라이징 부장
주무기 전투용 나이프[3]
권총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토오야마 슌(遠山春) →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채
지옥으로 Bon Voyage~!!
지옥에서 Have a good time~!![5]
1. 개요2. 상세3. 작중 행적4. 전투력
4.1. 각성 전4.2. 각성 후4.3. 능력치4.4. 전적
5. 주변 인물6.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s-1920x1080_v-frms_webp_2ea50b48-7874-4ddc-9329-c16f5899a994_middle.webp
[ruby(秋元 詩郎, ruby=아키모토 시로)]
전투에 관해 천재적인 소질을 지닌 라이징의 부장.
해외용병 출신의 실력자로 권총과 나이프를 주무기로 쓰고 있으며 스피드 읽기는 초 일류.
쿄라전쟁에서 은인인 타카죠를 잃고 각성하여 전투 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였다.
입버릇은 지옥으로 Bon Voyage~!!
휴먼버그대학교 시리즈의 등장인물.

한구레 조직 라이징의 부장前 간부. 선대 레귤러인 죠가사키 켄시를 이은 『라이징...부활의 낭연』의 2대 주인공이다.[6]

2. 상세

타카죠 렌타로가 죽자 각성하여 전투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오른 라이징의 간부 중 하나. 이후 타카죠에 이어 죠가사키 켄시마저 쿄라전쟁에서 전사하자 시노노메 류세이와 각각 수장/부장 지위에 오르면서 라이징을 재건, 이후 2024년 7월 3일 영상에서 본인이 내레이션을 읊으면서 죠가사키를 이은 라이징의 2대 레귤러가 되었다.

前 파트너였던 타카죠 렌타로와 마찬가지로 전투광 기질을 가지고 있으나 시노노메 류세이, 츠루기 시노부 등 자신의 주변 인물들에게는 한구레치고 굉장히 개념 있고 인격적으로 대하는 등 인품이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7] 애당초 배경이 뒷세계인지라 폭행 및 살인을 밥 먹듯 하는 다른 인물들과 비교해도 그렇게 무식한 행보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물론 엄연한 한구레이므로 우미세 쇼고의 장례식을 습격하는 등 좋은 인품에 반해 한구레라는 캐릭터성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즉, 주변인들한테는 붙임성이 좋고 점잖은 모습을 보이지만 적대 관계일 경우 무자비한 태도로 변모하는 것. 애당초 스스로를 악인으로 칭하고 있기에 성격이 좋은 면모는 보일지라도 정체성은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키모토 시로/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전투력

4.1. 각성 전[8]

파일:아키이치.png
이치죠의 나이프를 아슬아슬하게 피하는 아키모토
각성 전의 아키모토는 전투력이 타고날만한 면은 크게 보이지 않지만, 시야가 가려진 상태에서도 이가라시 유키미츠에게 총알 3발을 다 맞출정도로 명중률이 뛰어나고 이치죠 코메이의 나이프도 아슬아슬하긴하지만 피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9] 기본적인 전투 능력은 갖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각성 전 시점의 전투력을 드러내는 장면은 해당 전투가 유일하기도 하고, 상대가 현재 기껏해야 병사 수준인 이가라시 유키미츠였기에 각성 전의 전투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태였다. 그나마 상위권의 강자인 이치죠의 나이프를 회피한 점에서 세계관 중위권[10]으로 짐작되고 있었다.

4.2. 각성 후[11]

파일:아키모토 광기.png
광기를 내뿜는 아키모토
파일:아키쇼.png
코쿠쇼를 일방적으로 살해하는 아키모토
아까 벤 것도 슬로 모션처럼 보였다고. 지금이라면 이치죠의 나이프도 피할 수 있겠는데?
<본인>
뭐냐.... 저 더럽게 빠른 스피드는...!
<코쿠쇼 히데아키>
타카죠 렌타로 사후의 아키모토는 타카죠의 죽음으로 각성하여 전투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키모토 본인의 언급으로 미루어 볼 때 스피드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예상되며, 이 스피드를 앞세워 쿄고쿠구미의 고참 전력인 코쿠쇼 히데아키를 일방적으로 난자하며 살해하였다.[12]
파일:아키쿠가 고화질.jpg
파일:아키쿠가2.png
부상을 입은 상태에서 쿠가를 압도하는 아키모토[13]
강적이야, 집중해야 돼!
<쿠가 코테츠>
이후 쿄라전쟁의 최종장에서 코쿠쇼로는 모자랐는지 아예 바이크에 충돌하고도 쿠가 코테츠를 압도하는 모습을 선보였다. 비록 쿠가의 재능과 근성에 의해 패했으나, 타카죠의 죽음으로 인해 터진 각성이 쿄고쿠구미의 전력들[14]을 살해하거나 죽기 직전까지 몰아갈 정도의 위력임을 보여주었다.[15]
파일:아키타츠.png
타츠모토를 농락하는 아키모토
크윽… 뭘 해도 먹히지 않잖아...!
<타츠모토 마사유키>
이후 쿄라전쟁에서 쿠가에 의해 패배 후 죽을 위기에 처했으나 시노노메 류세이에 의해 구조되며 전투력이 더욱 증가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성장을 이뤄낸 것인지 시시오구미 내부항쟁에 짧게 등장하여 나름 내로라하는 강자인 타츠모토 마사유키를 농락하는 모습을 선보였다.[16]
파일:아키우류.png
우류의 공격을 피하고 합을 주고받는 아키모토
아키모토 군 대단해…저 무시무시한 연타를 아슬아슬하게 피하고 있어...
<츠루기 시노부>
이후 시시오구미 내부항쟁, 쿄엔전쟁 종전 뒤 오랜만에 등장하여 _세계관 최강자_인 우류 타츠오미와 잠시 합을 겨루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비록 양눈이 아닌 외눈 상태의 우류에게 패배했으나, 극한의 집중력과 스피드로 우류의 펀치를 피하고 합 겨루기를 성립시키면서 되려 주가가 더욱 상승하였다.

이렇듯 타카죠 렌타로의 사망으로 각성하여 전투력이 대폭 증가하고 있는 아키모토는 시노노메 류세이와 마찬가지로 성장성과 잠재력이 매우 높은 캐릭터로 평가받고 있으며, 향후 전개에 따라 고점까지 기대되는 캐릭터로도 비춰지는 아키모토는 현재 세계관 상위권의 강자로 정리되고 있다.[17][18]
[ 다른 등장인물들과의 비교 ]
[[아모우구미|
아모우구미
]]
아모우구미의 경우 간부 최강전력인 와나카 소이치로, 코바야시 유키사다에겐 열위지만, 그 외 핵심 전력인 스나가 히사야야베 미츠하루, 아오야마 루키와는 동급 정도로 보인다.

[[쿄고쿠구미|
쿄고쿠구미
]]
쿄고쿠구미 내에서는 최강전력인 이치죠 코메이, 모리와카 토시로 외에는 아키모토가 모두 확실하게 우위를 점할 듯 하고 최근 아소 세나를 킬한 무구루마 켄신과 호각이다.[19]

[[텐노지구미|
텐노지구미
]]
텐노지구미에서는 아사쿠라 쥰, 마부치 하루토 정도까지는 스피드를 앞세워 좀 더 우위를 점하겠지만[20] 자신과 외모가 비슷한 시부야 다이치에게 상성 면에서 근소히 밀린다.[21]

[[시시오구미|
시시오구미
]]
시시오구미 내에서도 아키모토보다 확실하게 우위이거나 호각을 다툴만한 조직원이라고는 최강 전력인 야기라 카즈미츠이부 하야토, 이노우에 츠무기 정도 외에는 없다.

한구레

자신의 조직 라이징에서는 죠가사키 켄시 다음 가는 강함을 자랑하며 타카죠 렌타로, 코미나토 케이이치와 비교해도 더욱 강하다는 평을 받는다. 현재 시타라 노리아키와 비교해도 완벽한 상위호환으로 자리잡았으며 약체 평가를 받는 카미하라 타쿠는 물론 마미야 쿄헤이 역시 어렵지 않게 이긴다.[22]

前 임시 동맹인 카이엔에서는 약체인 카쿠나카 마사키를 압살하며 주요 전력의 시작점인 유우마 다이스케, 카미도 신이치와 비교해도 확실하게 우세할 것으로 보인다. 정신력이 강한 사카키바라 아마네 역시 그저 먹잇감일 뿐이며 히다 코테츠로의 경우 나름 수고를 들여 승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계속 성장 중이기에 아소 세나와 비등하거나 근소 우위다.

[[CODE-EL|
CODE-EL
]]
암살자 조직인 CODE-EL 내에서는 중위권 인물인 이샤도 타카시, 야쿠시마루 아키라와 비교해도 좀 더 우세할 것으로 보이며, 현재 킨포 사토루와는 엇비슷한 수준으로 보인다.

[[엘 페타스|
엘 페타스
]]
엘 페타스에서도 카게로의 경우 각성 후 기준으로는 좀 더 강할 것으로 보이고, 샤모와는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라이덴의 경우 근소하게 열위지만 합을 겨룰 정도는 될 것이다.

4.3. 능력치

능력치의 배분은 주 민첩, 부 지능계인 시타라 노리아키, 이샤도 타카시, 키시모토 류타로와 비슷하다.


  • 각성 전이나 각성 후나 부각되지 않는다. 그나마 각성 후에 쿠가 코테츠가 아키모토의 공격이 묵직하다고 평했으며[23], 타츠모토 마사유키 또한 본인의 일격을 받고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코쿠쇼 히데아키의 발악을 내치지 못했기 때문에 완력은 좋지 않아보인다.

  • 민첩성
    나 있지, 싸움에 돌입하면 왠지 모르게 슬로우하게 보이거든.
    <vs 타츠모토 마사유키>



    내가 요즘 말이야, 죄다 슬로우하게 보이거든! 방금 찌르기도 전혀 빠르지가 않던데!
    <vs 이쥬인 시게오>



    본인의 평

    기본적으로 아키모토는 이치죠 코메이의 나이프를 피하거나 스피드로 쿠가 코테츠를 앞세워 우위를 점하는 등 각성 후나 전이나 민첩성이 돋보이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각성 이후에는 극한으로 집중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고 한다.[24] 속사 실력과 나이프 사용에도 능숙해서 세계관 내에서도 손꼽히는 민첩성을 지닌 다른 인물들과 비교해도 가히 꿇리지는 않는 셈이다.
또한 회피력과 동체 시력도 상당해서 세계관 최강자인 이쥬인 시게오를 상대로도 공격을 여유롭게 회피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더 나아가 민첩캐의 정점에 있는 우류 타츠오미연타를 피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현재의 속도도 발군이나 아직 성장하고 있는 캐릭터인 만큼 지금보다도 더욱 빠른 속도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

  • 지능
    아키모토의 지능은 각성 이후에 부각되어 스피드 다음으로 뛰어난 능력이 되었다. 쿠가 코테츠와의 대결에서 페이크로 칼에 장착된 스프레이[25]를 뿌리는 비열한 수를 보여주거나, 후에 이부 하야토와의 전투에서도 산화 가루와 수류탄을 사용하는 등 전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시노노메 류세이와 같이 지능이 부각되었다.[26]

4.4. 전적

각성 전
상대 결과 비고
이가라시 유키미츠 & 이치죠 코메이 [27] 타카죠 난입후 도주로 전투 중단
1전 0승 1패 0무 승률 약 0%[28]
각성 후
상대 결과 비고
코쿠쇼 히데아키 [29] 코쿠쇼 사망, 본인 경상
센고쿠 카오루 센고쿠 중상, 죠가사키와 협공
쿠가 코테츠 [30] 본인과 쿠가 중상[31]
타츠모토 마사유키 타츠모토 중상 및 도주로 전투 중단
무구루마 켄신 & 모리와카 토시로 & 이누카이 요시로 아소, 히다와 협공, 모리와카 난입으로 인해 모리와카와 결투[32], 본인포함 습격일원들의 도주로 전투 중단[33]
이쥬인 시게오 [34] 본인 부상, 본인의 철수
콘도 신페이타 시노노메 및 라이징 잔당과 협공, 콘도의 도주로 전투 중단
이부 하야토 [35] 본인 중상, 라이징 간부 아야츠시와 잔당 지원 난입으로 이부 도주
마부치 하루토 시노노메 측의 전투 중단으로 함께 중단
우류 타츠오미 가벼운 스파링[36]
10전 3승 3패 4무 승률 약 50%[37]
총 전적:9전 3승 4패 4무 승률 약 45%

각성 후 라이징 적대 한구레 조직을 상대한 다음까지만해도 승률이 매우 높았으나 이후 대진운이 매우 좋지 않아, 승률이 낮아진 상태다.[38] 따라서 대진운이 좋다면 아키모토도 각성했기에 충분히 승률이 오를 수 있다.

5. 주변 인물

조직 내 인물
  • 죠가사키 켄시: 자신을 중용한 리더. 아키모토는 죠가사키에 대해 나름대로 리스펙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라이징이 시시오구미에게 노려져 시노노메까지 리타이어되자 그가 있었다면 상황이 이렇게까지 안 되었을 거라 한탄한 것을 보면 사이도 나쁘진 않았던 듯 하다.

파일:라이징최후의2인.png}}} ||<width=50%>
파일:라이징최후의2人.png
||
파일:이제부턴 너랑 내가 라이징이다.png}}} ||
시노노메: 지금 라이징임을 자칭하면 쿄고쿠구미의 숙청 대상이 된다. 너는 어떻게 할래? 라이징을 탈퇴할 거야?
아키모토: 당연한 거 아냐~? 시노노메 너랑 같이 계속 라이징 해야지 뭐. 타카죠 씨가 몸담았던 조직에서 빠질 순 없지.
시노노메: 넌 그렇게 말할 줄 알았다. 이제부턴 너랑 내가 라이징이다.
원래부터 같은 소속이었던 타카죠 - 아키모토를 제외하고 비즈니스 관련 일이 아니면 서로 접점이 거의 없다시피한 라이징에서도 사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 드문드문 나오는 등 꽤나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뒷세계 정점을 달성함에 있어 강력한 동료가 필요하다는 이유도 있다지만 시노노메는 쓰러진 아키모토를 발견하고 필사적으로 살리려 했으며, 아키모토도 시노노메를 시노노메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고 본인과 쿠가 코테츠와의 싸움에서 본인이 목숨을 구해졌지만 시노노메와 이노우에 츠무기와의 싸움에서는 반대로 본인이 목숨을 구해줬다. 서로가 서로에게 은혜를 입은 셈.
이후 이들을 제외한 라이징 간부 전원[39]이 사망함으로써 단순히 친한 사이에서 서로의 유일한 동료가 되었다. 전투씬을 제외하곤 한 명이 나오면 거의 무조건 다른 한 명이 나올 정도로 파트너로써의 모습이 강조된다.

매사 점잖은 시노노메와 장난스러운 아키모토이며, 전투 스타일도 힘과 스피드로 정반대지만 쿄고쿠구미에 의해 소중한 사람[40]을 잃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파일:아키모토 분노.png}}} ||
타카죠의 죽음에 분노하는 아키모토
내가 살면서 이렇게 빡친 적이 별로 없는데... 지금은 너무나도 빡쳐서 머리가 터져버릴 것만 같거든... 누군진 몰라도, 타카죠 씨 원수는... 쿄고쿠구미 새끼들을 싹 다 죽여서 갚을 거라고.
버서커 창설 이전부터 수많은 전장을 함께해온 전우. 아키모토는 용병 시절 타카죠에게 수많은 도움을 많이 받으며 숱한 사선을 넘겨왔다.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아키모토는 타카죠가 죽자 진심으로 슬퍼하고 격노하여 각성, 쿄고쿠구미를 몰살시킬 것을 결의했다.

  • 시타라 노리아키 & 코미나토 케이이치: 코미나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정확히 나오진 않았지만 시타라의 경우에는 쿠가를 평가할 때 "그 시타라 씨를 정면에서 죽였으니 방심할 수 없겠다"고 독백한 장면을 통해 높게 평가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전투력과 별개로 쾌락 살인을 즐기는 인간 쓰레기들이므로 인간성에 대해선 별로 좋게 보지 않았을 것이다.

조직 외 인물
  • 쿠가 코테츠: 이전 대결한 바가 있으며 각성한 쿠가에 의해 역전패를 당했다. 이후 쿠가와의 싸움에서 생존한 아키모토는 쿠가에게 복수의 칼날을 갈고 있다.


  • 모리와카 토시로: 은인인 타카죠를 죽인 원수. 아키모토는 쿄엔전쟁에서 모리와카와 대립한 바가 있으며, 쿠가보다도 오히려 모리와카를 향한 복수의 칼날을 더욱 갈고 있다.[41]

  • 아소 세나: 같은 협력 관계이면서도 사이는 별로 좋지 않다. 당장 우미세 쇼고의 장례식 습격에서도 의견 충돌[42]이 일어난 전례가 있으며 아소도 아키모토가 아닌 라이징 자체를 깔보는 태도로 대한다.

  • 이쥬인 시게오: 이쥬인의 타깃을 경호하던 관계로 대결했지만, 타깃이 더러운 짓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바로 손절치고 이쥬인이 타깃을 잡아가도록 뒀다. 아키모토 본인도 이 대결로 오히려 본인은 앞으로 더 강해질 수 있다며 만족하며 헤어졌다.

  • 츠루기 시노부: 2024년 8월 10일 영상에서 스카우트 목적으로 방문하였으나, 츠루기의 오니기리를 먹은 후 츠루기의 열심히 사는 모습에 감화되어 스카우트를 포기했다. 그래도 이를 계기로 츠루기와 술자리를 가지며 친구가 되었고, 이후로도 종종 츠루기를 불러서 식사를 가지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

6. 여담

  • 죠가사키 켄시와 함께 2023년 7월 생일자 축하 멤버십 영상에 출연하였다.
  • 모리와카 토시로를 보고 타카죠 렌타로를 죽인 원수라면서 "반드시 죽이겠다"고 말하거나, 모리와카 역시 도망가는 아키모토를 보고 "저 녀석 캇파로 만들겠다"는 등 서로가 살인 예고를 하면서 추후 모리와카와 격돌할 가능성이 높아졌다.[43]

[a] 공식 트윗에서 밝혀졌다.[a] [3] 타카죠가 썼던 것과 마찬가지로 손잡이 부분에 최루 스프레이가 탑재 되어있다.[4] 성우의 활동 중지로 인해 변경이 불가피하게 되었다.[5] 2023년 6월 3일 영상에서 시노노메 류세이와 함께 한구레들을 처단할때 한 말이다.[6] 현재 타 레귤러와 거의 동등한 대우를 받고 있으므로 레귤러가 중도 교체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7] 아키모토의 인품은 생전 활동했던 타카죠 렌타로에게서 많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기본적으로 악인을 자처하지만 선을 지키는 타카죠가 그랬듯, 자신에게 은인이나 다름없는 타카죠를 따르는 아키모토 역시 선은 지켰을 것이다.[8] 타카죠 렌타로 생전[9] 하지만 자체적인 전투력 면에서 차이가 극명했기 때문에 죽을 위기에 처했다.[10] 대략 평균적인 무투파를 담당하는 나구모 쿄헤이, 무로야 슈토 보다 근소허게 열위로 보여진다.[11] 타카죠 렌타로 사후[12] 해당 싸움은 싸움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한, 대결이 아닌 일방적인 폭력으로 보아도 무방했다. 코쿠쇼도 현 시점에서 보아도 전투 병력으로는 쓸 만한 전력인 것을 감안하면, 아키모토는 각성 이후에 코쿠쇼 정도 되는 강자들은 일방적으로 참패시킬 수준의 전력을 지녔다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13] 하지만 결국 오토바이에 맞고 당한 부상에 한 번 더 카운터 킥을 당해 전세가 기울어졌다. 만약 이 부상이 없었다면 쿠가는 죽을 수도 있었다.[14] 코쿠쇼 히데아키, 쿠가 코테츠[15] 현재 시노노메도 죠가사키의 죽음으로 인한 분노로 거듭된 성장을 하여 전투력을 올리고 있는 묘사가 존재하나, 그러한 시노노메의 증가폭과 비교해도 아키모토의 증가폭이 좀 더 큰 것으로 보인다.[16] 다만 시시오구미 내부항쟁의 경우 아키모토 본인보다는 시노노메의 성장을 입증하기 위한 무대였기에 아키모토의 활약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았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타츠모토와의 짧은 교전을 통해 전투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정도만 비춘 셈.[17] 시부야 다이치, 스나가 히사야와 같은 인물들과 동급으로 평가받는다.[18] 계속해서 성장하며 전투력이 올라가는 성장형 캐릭터인 만큼, 정말로 자신의 은인인 타카죠를 죽인 원수 모리와카 토시로와도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전투력을 지닐 가능성이 높다. 한마디로 성장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캐릭터인 셈. 게다가 현재 본인과 시노노메 류세이를 제외한 레귤러 및 사이드킥들의 전투력에 대한 상향의 묘사가 없기에 아키모토 입장에서는 전투력을 올릴 좋은 기회나 마찬가지다.[19] 다만, 무구루마 켄신의 경우 한동안 스피드에서 밀려 농락 당했으며 순수 전투력은 아소 세나가 위였으나 그놈의 멍청한 판단력과 지능 때문에 패배한 탓도 한 몫 했기에 비교적 신중하고 머리도 잘 돌아가는 아키모토가 이길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20] 다만, 야간전의 마부치라면 아키모토가 밀릴 것이다.[21] 알다시피 시부야와 아키모토 둘 다 민첩캐이며 시부야는 힘도 아키모토보다는 더 강하고 토가리 겐야의 연계를 받으면 자신의 전투력이 더욱 극대화되어 아키모토보다는 좀 더 우위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능 쪽에서는 라이징 내에서도 요직에 오를 정도로 수완이 있는 아키모토가 더 앞설 듯하다. 종합적인 전투력은 서로 비슷할 것이다.[22] 다만, 카미하라 타쿠의 경우 그 모리와카 토시로를 상대로 암기를 사용해 타격을 준 전례가 있어 아주 만만한 상대는 아니다.[23] 이것이 한발한발이 급소를 노린다는 것인지 힘이 본인보다 우위인지를 얘기하는 것인지는 불명이지만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24] 이에 대해선 츠루기 시노부가 그것은 톱클래스 암살자도 하지 못하는 것 이라고 한다.[25] 다만 타카죠 렌타로처럼 최루 스프레이가 아닌 그냥 물이 들어있다.[26] 시노노메와 마찬가지로 조직을 운영하는 역량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시시오구미쿠로사와 코타로와의 협정에서 교섭 능력이 좋은 면모를 보인 것이 그 예시. 현재 쿄라전쟁 이후 죠가사키를 포함한 대부분의 라이징 간부 및 조직원들이 사망함에 따라 시노노메와 함께 각각 수장/부장 자리에 오르게 되면서 부장으로써의 역량도 자연스레 갖춘 것으로 보인다.[27] 이치죠 코메이에게 농락당하고 허벅지에 칼까지 맞아 리타이어되기 직전이었다.[28] 승률은 패는 0%, 무는 50%, 승은 100%로 측정하여 구한 평균값.[29] 그냥 일방적으로 털었다.[30] 쿠가 코테츠의 바이크 기습이 없었다면 아키모토가 이겼을 것이다. 전투 내내 우위였으니.[31] 쿠가 코테츠의 바이크 기습 때문에 늑골이 부러졌으며 그것을 눈치챈 쿠가에게 카운터를 맞은후 급격히 속도가 감소하여 결국엔 패배하였다.[32] 만약 모리와카 토시로가 부상 상태가 아니었다면 역으로 졌을 가능성이 높았다. 부상 상태인데도 대등하게 싸웠기 때문에 오죽했으면 수류탄에 맞으면 보통 죽는다고 했을 정도다.[33] 타카사고 아키오센고쿠 카오루의 난입으로 도주를 택할수 밖에 없었다.[34] 아키모토가 비록 유리에 몸이 날라가 머리에 데미지를 입긴 하였으나 멀쩡하였고 이쥬인 시게오의 정체를 바로 알아차리고 본인의 의뢰인에게 손절을 쳐버렸다. 빠른 민첩성으로 상당히 선전했으나 이쥬인에게 타격을 입히지는 못했다. 그러나, 아키모토도 패배는 했으나 기백은 전혀 죽지 않았고 이 전투로 성장했으니 아키모토로써도 나쁘지 않은 전투다.[35] 아직 전투를 더 지속할 수 있는 상태였긴 하나 승세가 이부 하야토 쪽으로 기울인 상태였기에 부하가 라이징 지원을 부르지 않았더라면 상당히 위험했던 상황이었다.[36] 한대도 못 때렸다.[37] 승률은 패는 0%, 무는 50%, 승은 100%로 측정하여 구한 평균값.[38] 우미세 쇼고 장례식 습격사건은 협공이었다하더라도 쿄고쿠구미라는 벌집을 건드린 것이나 다름없기에 그렇다 치더라도, 명실상부 휴버대 최강자라인에 속하는 이쥬인 시게오, 우류 타츠오미 대결하거나 시시오구미의 최강전력 이부 하야토와 싸우는 등 이후의 대진운이 안 좋다.[39] 키쿠카와 역시 살아있었으나 종전 시점에서도 공기 취급이었다.[40] 시노노메는 죠가사키, 아키모토는 타카죠.[41] 그러나, 모리와카 토시로에게도 아키모토는 코쿠쇼 히데아키를 죽인 원수다.[42] 사실 해당 상황에서는 무구루마 켄신모리와카 토시로, 이누카이 요시로 중 어느 하나 죽이지 못한 상황에서 타카사고 아키오, 센고쿠 카오루가 지원을 들어왔기에 아소 세나가 현명한 판단을 내린 것이 맞다. 만일 후퇴하지 않았다면 3 대 5로 잡졸도 없는 불리한 싸움을 해야했기에 오히려 이 상황에서 더 싸우자고 주장한 아키모토가 복수에 눈이 멀어 어리석은 판단을 한 것이다.[43] 최후를 맞이하게 될 경우 모리와카 토시로와 사생결단을 내려고 하는 것이 목표인 만큼 모리와카에게 최후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44] 다만, 다른 장례식 습격 사건을 저지른 맴버들과 그걸 지시한 아가츠마 쿄야는 그 댓가를 죽음으로 받았는데 아키모토는 아직 받지 않아 추후 그 댓가를 받을 수 있다. 사실 우류 타츠오미, 이쥬인 시게오와 결투로 제대로 당했는데 이정도면 댓가는 착실히 받고 있는 것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