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01:13:56

알렉스 비야레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6099e6,#6099e6><tablebgcolor=#6099e6,#6099e6> 파일:Movistar KOI 로고 화이트.svgMovistar KOI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6099e6,#6099e6><colcolor=#fff,#fff> 감독 [[토마스 캄펠로스|토마스 캄펠로스
Melzhet
]]
코치 [[퀸틴 비규|퀸틴 비규S
Zeph
]]|[[뵈른베가르 한센|뵈른베가르 한센
Hansen
]]
분석 [[카를로스 쿠엔카|카를로스 쿠엔카
Aagie
]]|크리스티안 비달
Cydonia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스페인 국기.svg [[알렉스 비야레호|알렉스 비야레호
Myrw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crwn.png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프라데스|하비에르 프라데스
Elyoy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셉 준 편|조셉 준 편
Jojopyu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스페인 국기.svg [[다비드 가르시아(프로게이머)|다비드 가르시아
Sup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스페인 국기.svg [[알바로 페르난데스(프로게이머)|알바로 페르난데스
Alvaro
]]
S : 후보 선수 겸임
LEC 참가팀 로스터 }}}}}}}}}
파일:MKOI_Myrwn_2025_Split_3.png
<colbgcolor=#6099e6><colcolor=#fff> Movistar KOI
Myrwn
알렉스 파스토르 비야레호 (Alex Pastor Villarejo)
출생 2003년 6월 13일 ([age(2003-06-13)]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소속 OKGG White
(2019.08.10 ~ 2019.11.06)
FireVoid Gaming
(2019.11.26 ~ 2019.12.26)
Astralis SB
(2020.02.27 ~ 2021.12.20)
BISONS ECLUB
(2021.12.14 ~ 2023.09.20)
Los Heretics
(2023.09.21 ~ 2023.11.15)
Movistar KOI[1]
(2024.01.03 ~ 2026.11.16예정)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수상 경력4. 선수 경력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스페인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ECMovistar KOI 소속 탑 라이너.

2. 플레이 스타일

넓고 기묘한 챔피언 풀로 밴픽을 뒤틀고 판이 깔린다면 높은 캐리력으로 게임을 주도하는 사파형 탑솔러이다. 특히 탑에 원딜 및 AP 메이지를 들고 올 때가 많은데, 대표적인 그의 조커 픽만 해도 아리, 피들스틱, 니달리, 카르마, 룰루, 제리, 바루스, 루시안 등으로 이게 탑이 맞나 싶은 예측불가의 챔피언 풀을 자랑한다.

그러나 이런 사파 라이너들의 고질적인 약점인 부실한 기본기가 아킬레스건이다. 조커 픽 또는 설계를 통해 라인전 구도를 비틀지 않고 정석 구도로 갔을 때는 하부 리그 탑솔러들에게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을 정도로 라인전 소양이 부족하다. 또한 대규모 5:5 한타에서의 집중력 문제도 여러 차례 부각된 바 있다. 그래도 미르윈의 경우 연습량이 많고 연구도 많이 하는 노력형 선수이므로 이는 경력이 쌓이면서 개선될 여지가 남아 있다.

실제로 2025년에 들어서는 기본기가 많이 올라오면서 정석 대 정석 구도에서도 유럽 상위권 수준이라고 말할 정도가 되었고, MKOI의 스플릿 2 우승을 가져오기도 했다.

3. 수상 경력

우승 경력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Spring 2025 우승
Karmine Corp Movistar KOI 미정
준우승 경력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Winter 2024 준우승
Fnatic MAD Lions KOI Fnatic
LEC All-Pro Team 선정
2025 LEC SPRING 2ND TEAM

4. 선수 경력

매드 라이온즈 이적 전까지는 2년간 수페르리가 상위권을 달렸던 BISONS ECLUB의 에이스로 유럽 팬들에게 이름을 떨쳤다. 아무래도 바이슨즈는 항상 정글을 제외하면 준수한 정도의 라인업이었지만 EM은 커녕 LVP 수준에서도 나머지 4포지션에 확실한 캐리력 있는 에이스가 부재했는데, 이를 커버하고도 남을 만큼의 존재감을 보여준 선수가 바로 미르윈이었다.

갱플랭크, 요네 등 단순한 무투파 신인 탑솔러들이 함부로 픽하기 힘든 고난이도 캐리 픽들을 능숙하게 꺼내드는 것은 물론 이를 넘어 탑 카르마, 탑 룰루 등의 소위 탑 혜지 픽으로 밴픽 구도를 비틀고 자신만의 픽인 탑 아리, 탑 피들스틱에 더해 제리와 바루스, 루시안 등 원딜 챔피언을 탑으로 가지고 올라오는 등 큰 경기일수록 도저히 밴픽을 예측할 수 없는 신예 탑솔러이다. 조커 픽이라는 분야만 따지면 1부와 2부를 직접 비교하는 시도 자체가 미르윈을 억지로 띄워주는 감이 없진 않지만, 어쨌든 이 분야의 유럽 권위자인 브위포, 비지챠치, 소아즈, 카보차드를 전부 섞어야 간신히 미르윈이 나올 정도로 그 성향이 창의적이면서도 다채롭다.

문제는 미르윈이 이런 엄청난 캐리력과 창의력의 소유자임에도 같은 나라 동갑내기 라이벌 오스카리닌과 정반대로 기본기가 전혀 탄탄하지 못하다는 데에 있다. 조커 픽이나 설계로 구도를 비틀지 못했을 때의 탑 라인전은 LEC보다도 선수들 사이에 편차가 더 큰 EM에서 상위권은 커녕 중위권 탑솔러들에게도 밀릴 수 있을 정도로 소양이 너무 부족하다. 그래서 LVP에서는 망해버린 2023 스프링을 제외하면 3개 시즌에 준우승 - 3위 - 준우승이라는 호성적을 냈지만 정작 EM에서는 그룹 스테이지 광탈 - 플레이-인 광탈 - 그룹 스테이지 광탈이라는 LVP의 LFL과의 머니게임 후 EM에서의 약세를 감안해도 영 충격적인 성적을 냈다.

이는 무장점 정글러였던 2022년의 알비(알비트레이버)나 역시나 EM만 나가면 귀신에 홀린 듯 같이 못해지는 랜덤의 책임도 있지만, 에이스인 미르윈부터가 EM에 나가면 힘을 못 쓰는 사실 자체도 도저히 무시할 수가 없다. 약팀의 약한 탑솔러를 상대로 가볍게 캐리를 하고 LVP의 강팀을 상대로는 특이한 픽을 통해 자신의 약한 기본기를 가리지만, 전반적인 팀 수준이 LVP 중~하위권보다는 높은데 매 경기마다 조커 픽을 꺼내들 수도 없고 상대에 대한 분석도 미진한 EM에서는 미르윈부터가 지역 리그에서의 에이스 역할을 그대로 수행을 못하는 것이다. 분명 EM에서도 고군분투하고 번뜩이는 플레이는 여전하지만 그냥 캐리를 못한다.

그래서 팀 동료 수파보다도 꼭 3살 어린 나이가 아니더라도 그 잠재력은 훨씬 더 호의적인 평가를 받지만, 당장 2024 윈터 시즌에는 어떻게든 엘요야를 믿고 무지성으로 사리는 시도라도 혹시 가능할 수파보다 더 불안 요소로 우려를 낳고 있다. 미르윈의 장점을 살리려면 어떻게든 팀이 미르윈을 억지로라도 키워줘야 하는데, 2부 리그에서도 리턴이 높지만 투자값을 팀원들이 못 채우는 경우가 종종 보이던 선수를 아무리 정글이 엘요야라고는 해도 과연 LEC에서 매번 살려낼 수 있을지 걱정의 시선을 보내는 팬들이 많다. 극단적으로 초반 라인전은 수파가, 교전은 미르윈이 강점을 보이면서 톱니바퀴처럼 맞물린 팀이 탄생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메타와 타 팀들의 대처에 따라 라인전에서는 미르윈이 역으로 스노우볼을 굴리고 교전에서는 수파가 거침없이 게임을 집어던지면 MAD의 팀 성향은 대체 어디까지 바닥을 찍을 수 있을지 상상하기가 무서울 정도다.

물론 3년 연속 캐리력 없고 라인전 수행 안되는 탑솔러들의 부진으로 월즈 성적이 꾸준히 하향세를 탄 LEC 입장에서 엄청난 메카닉과 캐리력을 가진 유망주인 미르윈의 존재는 군침을 흘리게 한다. 물론 G2의 BB를 넘어 링크를 건 누구처럼 5년간 라인전이 늘지 않으면 국물도 없다. 환경이 더 좋고 차근차근 성장할 수 있었다면 훨씬 팬들과 관계자들에게 큰 기대를 받았을 유망주이나 콜업 타이밍도 애매하고 팀원들도 애매한 모양새가 아쉽다.

윈터시즌 팀이 1페이즈 5승 4패라는 믿을 수 없는 호성적을 기록했고 미르윈 본인도 EM에선 본인이 바라보지도 못할 위치였던 카보차드 면전에서 아칼리 하드캐리를 하거나 팀이 슬슬 한계를 드러내는 듯했던 3주차 프나틱전에서 특유의 탑 바루스로 놀라운 위치선정과 딜링 능력을 보여주며 하드캐리, 비록 패배했지만 다음날 GX전에서도 탑 피들스틱으로 소수교전에서 킬을 쓸어담으며 유럽 최고 럼블 장인 오도암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당장 미르윈에 대한 평가는 그렇다고 아주 높진 않은 편인데 특이한 픽을 꺼내지 못하고 정석 구도로 갔을때 우려대로 무색무취 그 자체면서 신인스런 미숙함까지 동반되기 때문이다. 라인전은 유럽 탑솔풀이 다시 엉망이 돼서 일각에서 걱정했던 만큼 아예 터져나가진 않았는데 일단 못하는건 확실하고, 허무하게 끊어먹히거나 교전으로 넘어가서도 많은 팬들에게 미르윈을 노답으로 각인시킨 바론한타 케넨 블루투스 궁극기(...) 등 총체적으로 장점을 보여줄 여지가 없었다. 정석 6경기만 보면 미드의 프레스코위보다 팀내 기여도가 낮고 더 많이 해가 되었다는 악평도 있다.

어쨌든 윈나우와 미래의 가능성을 어정쩡하게 섞고도 윈나우에 성공하다시피 한 MAD 로스터인만큼, 여기서 도로 추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미르윈의 정석 기본기 확립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플레이오프 특히 패자조부터 팀이 실시간 성장을 이루며 미라클런 준우승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성장을 보여준 선수는 바로 미르윈이었다. 원딜의 수파가 개막전부터 결승까지 장단점이 뚜렷하고 비교적 장기적 관점에서는 꾸준한 모습을 보였고 가장 기대치가 낮았던 미드의 프레스코위가 미르윈과 마찬가지로 성장했지만 팀빨에 대한 의구심을 완전히 벗어던지지 못했다면, 미르윈은 1페이즈 3주간 본인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요소 중 일부를 명확하게 고쳐낸 모습으로 팀의 클래스를 플레이오프에서 한 단계 끌어올렸다. 본인의 장점이던 바루스, 아칼리와 같은 조커픽 캐리픽의 변수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정석 챔피언을 가져갔을 때의 저조한 라인전과 의아한 데스 누적 문제를 완화하면서 팀의 소위 체급 약세도 정규시즌 패배한 경기들보다는 최소한 덜 부각되었다.

물론 결승전에서는 다른 8개 팀들과 아예 차원이 다른 경기력의 G2를 상대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문제들이 대부분 다시 드러나게 되었고 결국 패배에 상당한 지분을 차지하였지만, 매드 라이온스에 대한 부정적 전망에 있어서 장기적으로는 수파와 프레스코위가 문제라면 단기적으로는 미르윈과 프레스코위가 문제라는 의견이 주류였고 단기적으로 기대치를 한참 초과한 원인은 팀 외적으로는 다른 팀들의 부진에서 찾는다면 팀 내적으로는 알바로의 유체폿 등극과 더불어 라이너들 특히 미르윈의 선전에서 찾을 수 있다.

여전히 동양 팀들을 상대하려면 그 동양 탑솔러들에게 자주 무너지는 BB에게 완벽하게 서열정리를 당한 시점에서 배워야 할 지식과 쌓아야 할 경험이 한 트럭이지만, 미르윈에 대한 비관론이 그런 수준이 아니라 LEC 내부에서도 딱히 ERL 대비 경기력 하락폭이 크지 않아도 망할 것이라는 우려에 가까웠음을 감안하면 잠재력이 높은 유망주 미르윈의 데뷔시즌은 기대치를 한참 초과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다른 팀들이 스프링과 서머를 거치며 팀 단위 본헤드 플레이를 줄일 경우 자신의 윈터 퍼포먼스가 팀빨과 플루크가 아니었음을 증명해내야 하는 과제를 떠안았지만 윈터 개막 전에 비하면 어째 짐이 상당히 가벼워졌다.

그러나 이후로 롤드컵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0승 3패로 초고속 마드리드행 비행기 티켓을 끊을 때까지 그 가벼운 짐을 전혀 짊어지지 못하고 압사당하는 놀라운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그사이 마이너 최강 탑솔 키아야는 그렇다 쳐도 PSG의 아지보다도 더 못해서 이 미르윈을 롤드컵으로 보내준 다른 LEC 탑솔러들에 대한 성토의 장 또한 필요해보인다.

탈락 이후 프레스코위 사전 접촉 허가 보도 후 본인 SNS에 REROLL이라는 gif를 올리며 미드로 전향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돌았지만 선수 개인의 장난에 가까웠고 이후 이바이의 개인방송에서 2025 매드는 미드만 바뀐다고 공언하며 다음 시즌에도 매드 라이온스 코이의 탑 라이너를 맡게 됐다.

2025 윈터 시즌 기준으로는 MKOI의 최대 구멍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팀의 진짜 구멍 조조편을 틀어막는 뉴 에이스 소리를 들을 정도로 평가가 상승했다. 시즌 초의 라인 스왑빨이라는 예상이 무색하게 라인전 폼도 올라왔고, 무엇보다 사파 픽으로만 보여주던 특유의 클러치와 고점을 정석 챔피언들로도 찍어내면서 1년간 못한 성장을 진짜로 해낸 듯하다. 리그 전체로 봐도 BB-칸나 양대 유관 탑을 제외하면 최강자로 꼽히며, 라이벌 오스카리닌을 한순간에 제껴버리고 2001년생 이하 탑솔러들 중 선두 주자로 올라섰다. 이를 두고 미르윈이 이전부터 기본기는 부족해도 워크에식이 좋고, 연습량이 많은 점을 보아[2] 월즈에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약점을 확실히 자각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잘 갈고 닦은 것 아닌가 하는 추측도 나오는 중이다.

스프링에서도 꾸준히 발전을 이어나가 정파 픽을 사파 픽으로 틀어막던 기존의 라인전은 생각도 안 날 정도로 라인전 능력이 강해져서 상대 선수들이 제이스, 암베사 등 정석 픽을 잡은 미르윈을 상대로 어떻게든 버티려고 워윅, 말파이트 등 라인전 안정성에 치중된 사파 픽을 깎아올 정도였다. 입단 동기인 수파도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으나 팀은 조조편의 미진한 폼에 휩쓸려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 그래도 조조편까지 점차 정신을 차리자 어쨌든 결승에서 G2를 꺾고 드디어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는데, 엘요야의 뒤에 감춰진 미르윈의 예측할 수 없는 넓은 챔피언 폭과 피어리스 드래프트의 이점이 결합하여 빛을 보게 되었다.

5. 여담

듬직한 생김새 덕에 03년생이 아니라 93년생이라고 해도 믿을 거 같다는 농담이 많다. 나이에 비해 꽤나 어른스러워 보이는 외모를 가졌다.노안을 돌려서 말하는 거다. 게다가 2024 월드 챔피언십에 나올 때는 머리를 다 밀어버렸는지 아예 민머리로 나왔다.

이름 때문인지 한국 팬들에게 미룬이라고 불린다.

6. 둘러보기

알렉스 비야레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파일:LEC.png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2013 스프링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sOAZ · Cyanide · xPeke · YellOwStaR · nRated
서머 sOAZ · Cyanide · xPeke · Puszu · YellOwStaR
2014 스프링 sOAZ · Cyanide · xPeke · Rekkles · YellOwStaR
서머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00px-Alliance2016.png Wickd · Shook · Froggen · Tabzz · Nyph
2015 스프링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Huni · Reignover · Febiven · Steeelback · YellOwStaR
서머 Huni · Reignover · Febiven · Rekkles · Steeelback · YellOwStaR
2016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version=e9f291665a9d54c734eb89e4255cdf46.png Kikis · Trick · Perkz · Emperor · Hybrid
서머 Expect · Trick · Perkz · Zven · Mithy
2017 스프링
서머
2018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Fnaticlogo.png sOAZ · Bwipo · Broxah · Caps · Rekkles · Hylissang · Jesiz
서머 sOAZ · Bwipo · Expect · Broxah · Caps · Rekkles · Hylissang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2019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Wunder · Jankos · Caps · Perkz · Mikyx · promisq
서머
2020 스프링 Wunder · Jankos · Caps · Perkz · P1noy · Mikyx
서머
2021 스프링 파일:MAD_Lions_no_text.png Armut · Elyoya · Humanoid · Carzzy · Kaiser
서머
2022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BrokenBlade · Jankos · caPs · Flakked · Targamas
서머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Odoamne · Malrang · Larssen · Comp · Trymbi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2023 시즌 파이널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BrokenBlade · Yike · Caps · Hans Sama · Mikyx
2024 시즌 파이널
2025 윈터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Canna · Yike · Vladi · Caliste · Targamas
스프링 파일:Movistar KOI 로고.svg Myrwn · Elyoya · Jojopyun · Supa · Alvaro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파일:LEC.png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All-Pro {{{#c0c0c0 2nd}}} Team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시즌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2015 서머 파일:Gambit_Gaming_Logo.webp ⁠⁠Cabochard 파일:Origen_lightmode.png파일:Origen_darkmode.png Amazing 파일:Origen_lightmode.png파일:Origen_darkmode.png xPeke 파일:Origen_lightmode.png파일:Origen_darkmode.png Niels 파일:H2k_old_logo_2016_spring.png kaSing
2016 스프링 파일:H2k_old_logo_2016_spring.png Odoamne 파일:H2k_old_logo_2016_spring.png Jankos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Team_Vitalitylogo_square.pngNukeduck 파일:H2k_old_logo_2016_spring.png FORG1VEN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Hybrid
2016 서머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Vizicsacsi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Splyce_logo.png Trashy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Perkz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Splyce_logo.png Kobbe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Splyce_logo.png Mikyx
2017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Odoamne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Jankos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Febiven 파일:Fnatic_only_logo.png Rekkles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Mithy
2017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Odoamne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Jankos 파일:Fnatic_only_logo.png Caps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Zven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Chei
2018 스프링 파일:Fnatic_only_logo.png sOAZ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Jankos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Perkz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Kobbe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kaSing
2018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Team_Vitalitylogo_square.png ⁠⁠Cabochard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Team_Vitalitylogo_square.pngKikis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Perkz 파일:Fnatic_only_logo.png Bwipo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Team_Vitalitylogo_square.pngJactroll
2019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Wunder 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Selfmade 파일:origin only logo.png파일:Origin white.png Nukeduck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Upset 파일:Fnatic_only_logo.png Hylissang
2019 서머 파일:origin only logo.png파일:Origin white.png Alphari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Xerxe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Humanoid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Upset 파일:Fnatic_only_logo.png Hylissang
2020 스프링 파일:Fnatic 로고.svg Bwipo 파일:Fnatic 로고.svg Selfmade 파일:Fnatic 로고.svg Nemesis 파일:origin only logo.png파일:Origin white.png Upset 파일:Fnatic 로고.svg Hylissang
2020 서머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Wunder 파일:Rogue_notext.png Inspired 파일:Rogue_notext.png Larssen 파일:Rogue_notext.png Hans sama 파일:Rogue_notext.png Vander
2021 스프링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Odoamne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Inspired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Larssen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Hans sama 파일:Fnatic 로고.svg Hylissang
2021 서머 파일:Fnatic 로고.svg Adam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Jankos 파일:MAD_Lions_no_text.pngHumanoid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Hans sama 파일:Fnatic 로고.svg Hylissang
2022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BrokenBlade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Jankos 파일:Fnatic 로고.svg Humanoid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Comp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Trymbi
2022 서머 파일:Team_Vitality_2021.png Alphari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Jankos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caPs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Comp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Targamas
2023 윈터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BrokenBlade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Yike 파일:MAD_Lions_square.pngNisqy 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Exakick 파일:MAD_Lions_square.pngHylissang
2023 스프링 파일:Team BDS 아이콘.svg Adam 파일:Team BDS 아이콘.svg Sheo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Caps 파일:MAD_Lions_square.pngCarzzy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Mikyx
2023 서머 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 Odoamne 파일:Fnatic 로고.svg Razork 파일:Fnatic 로고.svg Humanoid 파일:Fnatic 로고.svg Noah 파일:Fnatic 로고.svg Trymbi
2025 스프링 파일:Movistar KOI 로고.svg Myrwn 파일:Fnatic 로고.svg Razork 파일:Movistar KOI 로고.svg Jojopyun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Caliste 파일:Movistar KOI 로고.svg Alvaro
2021 시즌은 관계자들만의 투표가 아닌, 일반인들의 투표로 정해진 것이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3E54><tablebgcolor=#133E54> 파일:Iberian_Cup_darkmode.pngIberian Cup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연도 우승팀 선수
2018 파일:MAD_Lions_E.C_Logo.png Werlyb · Selfmade · Nemesis · Crownshot · Falco · Kanani
2019 Yoppa · Shlatan · PrettyGRE · Freeze · Prime
2020 파일:Giants 로고.svg파일:Giants 로고 white.svg Th3Antonio · Eckas · PrettyGRE · Attila · Erdote
2021 Th3Antonio · 113 · Miniduke · Attila · Kasing
2022 파일:359px-UCAM_Esports_Club_allmode.png Doxy · Thayger · Hatrixx · ZAMULEK · DuaLL
2023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Myrwn · bluerzor · Zwyroo · Jackspektra · marlon
2024 파일:GIANTX 로고 심플.svg Slayer · Time · Feisty · Aetinoth · Lospa · Cayetano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0060><tablebgcolor=#FF0060> 파일:LVP_SL_logo.pngLVP Superliga
정규시즌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8 Spring 2018 Summer 2019 Spring 2019 Summer 2020 Spring
Nemesis
팀 리포프섹

MAD | MID
Hatrixx
요르겐 엘고엔
MRS | MID
Zanzarah
니콜라이 아카토프

OGB | JGL
Th3Antonio
안토니오 에스피노사

VGIA | TOP
Attila
아마데우 카르발류

VGIA | BOT
2020 Summer 2021 Spring 2021 Summer 2022 Spring 2022 Summer
Elyoya
하비에르 프라데스

MRS | JGL
Th3Antonio
안토니오 에스피노사

VGIA | TOP
Maxlore
누바르 사라피안

MRS | JGL
Oscarinin
오스카르 무뇨즈

FNTQ | TOP,
Jiizuke
다니엘레 디 마우로

GIA | MID
2023 Spring 2023 Summer 2024 Spring 2024 Summer 2025 Spring
Flakked
빅토르 리롤라

MADM | BOT
Myrwn
알렉스 비야레호

BSO | TOP
Zwyroo
아르투르 트로얀

HRTS | MID
Jackspektra
야콥 케플

HRTS | BOT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0060><tablebgcolor=#FF0060> 파일:LVP_SL_logo.pngLVP Superliga
Outstanding Rooki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8 Spring 2018 Summer 2019 Spring 2019 Summer 2020 Spring
Crownshot
유시 마루시치

MAD | BOT
Orome
안드레이 포파
KIYF | TOP
Milica
알리오사 코반지치
VGIA | MID
Truklax
알렉상드르 로드리게스
두 나시멘토
PGM | TOP
Elyoya
하비에르 프라데스

MRS | JGL
2020 Summer 2021 Spring 2021 Summer 2022 Spring 2022 Summer
Kaylem
멜릭 에르도안
MADM | TOP
Lebron
디미타르
코스타디노프
BTS | JGL
Random
아담 그레플
S2V | MID
Myrwn
알렉스 비야레호

BSO | TOP
Alvaro
알바로 페르난데스

G2AR | SPT
2023 Spring 2023 Summer 2024 Spring 2024 Summer 2025 Spring
Obstinatus
길레르메 호세
페르난데스 모라이스
RBLS | SPT
NoName
윌리엄 존스
BSO | JGL
Carlsen
칼 칼센

HRTS | TOP
Rin
칼릴 사흐라위
RBT | BOT
}}}}}}}}} ||

[1] 팀명 변경: MAD Lions KOI → Movistar KOI, 2024년 12월 6일[2] 당장 탑 피들스틱을 하고 싶어서 동료들을 PPT를 만들어가며 설득했다는 일화도 있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