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0 00:35:22

김진현(프로게이머)

김진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펜타킬 달성 선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c192b><colcolor=#fff> 2012 시즌 Hiro 이우석 1호 · Locodoco 최윤섭 2호 · Hermes 김강환 3호 · Imp 구승빈 4호
2013 시즌 Ambition 강찬용 5호 · Riris 백승민 6호 · PraY 김종인 7호
2014 시즌 Imp 구승빈 8호 · Emperor 김진현 9호 · Bang 배준식 10호
2015 시즌 Faker 이상혁 11호 · Rain 박단원 12호 · Smeb 송경호 13호 · Arrow 노동현 14·16호☆ · Nagne 김상문 15호 · Bang 배준식 17호 · Pilot 나우형 18호 · Ssumday 김찬호 19호
2016 시즌 Stitch 이승주 20호 · Pilot 나우형 21호 · Crown 이민호 22호 · Bang 배준식 23호 · Sangyoon 권상윤 24호
2017 시즌 Tempt 강명구 25호 · Kramer 하종훈 26호 · ikssu 전익수 27호 · Crown 이민호 28호
2018 시즌 Lava 김태훈 29호 · Khan 김동하 30호 · Teddy 박진성 31·33호☆ · Pilot 나우형 32호 · Ruler 박재혁 34호
2019 시즌 Viper 박도현 35호 · SSUN 김태양 36호 · ShowMaker 허수 37호
2020 시즌 Mystic 진성준 38·46호☆ · Ruler 박재혁 39·40·50호★ · Aiming 김하람 41호·49호☆ · HyBriD 이우진 42·43·45호★ · SoHwan 김준영 44호 · ShowMaker 허수 47호 · Canyon 김건부 48호
2021 시즌 Gumayusi 이민형 51호 · Ghost 장용준 52·53호☆ · Ruler 박재혁 54호 · Pyosik 홍창현 55호 · Lava 김태훈 56호 · Chovy 정지훈 57호
2022 시즌 deokdam 서대길 58호 · Ghost 장용준 59호 · Aiming 김하람 60호 · Bdd 곽보성 61호 · Gumayusi 이민형 62호 · Ruler 박재혁 63호 · Prince 이채환 64호
2023 시즌 Taeyoon 김태윤 65호 · Gumayusi 이민형 66호 · Peyz 김수환 67호·70호·71호★ · Viper 박도현 68호 · ShowMaker 허수 69호
2024 시즌 Aiming 김하람 72호·81호☆ · ShowMaker 허수 73호·76호☆ · Peyz 김수환 74호·78호☆ · Deft 김혁규 75호 · Pyosik 홍창현 77호 · Leaper 최기명 79호 · BuLLDoG 이태영 80호 · Bdd 곽보성 82호 · FATE 유수혁 83호 · Zeus 최우제 84호
※ 국내 대회이나 LCK가 아닌 대회는 제외 (LoL 마스터즈, 예선, 프리시즌, 챌린저스, 승강전, 케스파컵 등)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파일:LEC.png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2013 스프링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sOAZ · Cyanide · xPeke · YellOwStaR · nRated
서머 sOAZ · Cyanide · xPeke · Puszu · YellOwStaR
2014 스프링 sOAZ · Cyanide · xPeke · Rekkles · YellOwStaR
서머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00px-Alliance2016.png Wickd · Shook · Froggen · Tabzz · Nyph
2015 스프링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Huni · Reignover · Febiven · Steeelback · YellOwStaR
서머 Huni · Reignover · Febiven · Rekkles · Steeelback ·
YellOwStaR
2016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version=e9f291665a9d54c734eb89e4255cdf46.png Kikis · Trick · Perkz · Emperor · Hybrid
서머 Expect · Trick · Perkz · Zven · Mithy
2017 스프링
서머
2018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Fnaticlogo.png sOAZ · Bwipo · Broxah · Caps · Rekkles · Hylissang · Jesiz
서머 sOAZ · Bwipo · Expect · Broxah · Caps · Rekkles ·
Hylissang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2019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Wunder · Jankos · Caps · Perkz · Mikyx · promisq
서머
2020 스프링 Wunder · Jankos · Caps · Perkz · P1noy · Mikyx
서머
2021 스프링 파일:MAD_Lions_no_text.png Armut · Elyoya · Humanoid · Carzzy · Kaiser
서머
2022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BrokenBlade · Jankos · caPs · Flakked · Targamas
서머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Odoamne · Malrang · Larssen · Comp · Trymbi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2023 윈터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BrokenBlade · Yike · Caps · Hans Sama · Mikyx
스프링 파일:MAD_Lions_square.png Chasy · Elyoya · Nisqy · Carzzy · Hylissang
서머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BrokenBlade · Yike · Caps · Hans Sama · Mikyx
시즌 파이널
2024 윈터
스프링
서머
시즌 파이널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파일:LEC.png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All-Pro {{{#bd9424 3rd}}} Team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시즌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2015 서머 파일:Origen_lightmode.png파일:Origen_darkmode.png sOAZ 파일:Team_ROCCATlogo_square.webp Jankos 파일:H2k_old_logo_2016_spring.png Ryu 파일:H2k_old_logo_2016_spring.png Hjarnan 파일:Origen_lightmode.png파일:Origen_darkmode.png Mithy
2016 스프링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Vizicsacsi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Team_Vitalitylogo_square.pngShook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Fox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Emperor 파일:H2k_old_logo_2016_spring.png Vander
2016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Giants_Gaminglogo_square.png Smittyj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Jankos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Splyce_logo.png Sencux 파일:Fnatic_only_logo.png Rekkles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Vander
2017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Expect 파일:misfits-logo.png KaKAO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Exileh 파일:misfits-logo.png Hans sama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Hylissang
2017 서머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Vizicsacsi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Trick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 Perkz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 Samux 파일:Fnatic_only_logo.png Jesiz
2018 스프링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Odoamne 파일:Fnatic_only_logo.png Broxah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Team_Vitalitylogo_square.pngJiizuke 파일:misfits-logo.png Hans sama 파일:misfits-logo.png Mikyx
2018 서머 파일:Fnatic_only_logo.png sOAZ 파일:misfits-logo.png Maxlore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Nukeduck 파일:misfits-logo.png Hans sama 파일:misfits-logo.png Mikyx
2019 스프링 파일:origin only logo.png파일:Origin white.png Alphari 파일:Fnatic_only_logo.png Broxah 파일:Vitality color.pngJiizuke 파일:Fnatic_only_logo.png Rekkles 파일:origin only logo.png파일:Origin white.png Mithy
2019 서머 파일:Fnatic_only_logo.png Bwipo 파일:Fnatic_only_logo.png Broxah 파일:Fnatic_only_logo.png Nemesis 파일:Fnatic_only_logo.png Rekkles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IgNar
2020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Wunder 파일:origin only logo.png파일:Origin white.png Xerxe 파일:misfits-logo.png Febiven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Caps 파일:MAD_Lions_no_text.pngKaiser
2020 서머 파일:MAD_Lions_no_text.png Orome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Gilius 파일:MAD_Lions_no_text.pngHumanoid 파일:Fnatic 로고.svg Rekkles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Mikyx
2021 스프링 파일:Fnatic 로고.svg Bwipo 파일:MAD_Lions_no_text.pngElyoya 파일:MAD_Lions_no_text.pngHumanoid 파일:Fnatic 로고.svg Upset 파일:MAD_Lions_no_text.pngKaiser
2021 서머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Wunder 파일:Fnatic 로고.svg Bwipo 파일:Fnatic 로고.svg Nisqy 파일:Fnatic 로고.svg Upset 파일:MAD_Lions_no_text.pngKaiser
2022 스프링 파일:Fnatic 로고.svg Wunder 파일:MAD_Lions_no_text.png Elyoya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Larssen 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 Patrik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Targamas
2022 서머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Odoamne 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 Markoon 파일:misfits-logo.png Vetheo 파일:misfits-logo.png Neon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Trymbi
2023 윈터 파일:MAD_Lions_square.pngChasy 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Markoon 파일:KOI_logo.png Larssen 파일:KOI_logo.png Comp 파일:KOI_logo.png Trymbi
2023 스프링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Photon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Yike 파일:Team BDS 아이콘.svg nuc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Hans Sama 파일:Team BDS 아이콘.svg Labrov
2023 서머 파일:Fnatic 로고.svg Oscarinin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Jankos 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 Abbedagge 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 Patrik 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svg파일:엑셀 이스포츠 로고 화이트.svg LIMIT
2021 시즌은 관계자들만의 투표가 아닌, 일반인들의 투표로 정해진 것이다.
2024 시즌은 공식적으로는 퍼스트 팀만 '팀 오브 더 스플릿'으로 수상하였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c1c><tablebgcolor=#1c1c1c> 파일:nlb_logo.png NiceGameTV
League of Legends Battle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c1c1c>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2012 스프링 거품게임단 LongPanda · inSec · Mima · Pecko · Kish
서머 파일:MVP(프로게임단) 로고.svg Homme · DanDy · Mima · imp · SmallBrain
2013 윈터 GSG Cheonju · Solo · Easy · Clear · ManDu
스프링 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Chop · Watch · SSONG · PraY · Cain
서머 파일:external/i1.wp.com/Najin_Black_Sword_logo.png Expession · Watch · SSONG · Nagne · PraY · Cain
2014 윈터 파일:CJ Entus BLAZE.png Flame · DayDream · Ambition · BaeMe · Emperor · Cpt Jack · Lustboy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CJ_Entus_Frostlogo_square.png Shy · Swift · CoCo · Space · MadLife
서머 파일:attachment/Sktt1_k.png 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231f20> 파일:World Cyber Games (2017) 로고.png World Cyber Games
League of Legends 부문

금메달리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연도 대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colbgcolor=#231f20> 2010 그랜드 파이널 파일:CLG Blue Logo.png 파일:캐나다 국기.svg
HotshotGG
파일:캐나다 국기.svg
bigfatlp
파일:미국 국기.svg
Kobe
파일:미국 국기.svg
Chauster
파일:캐나다 국기.svg
Elementz
2011 그랜드 파이널 Chicks Dig Elo 파일:미국 국기.svg
Dyrus
파일:미국 국기.svg
Saintvicious
파일:미국 국기.svg
Reginald
파일:미국 국기.svg
Chauster
파일:미국 국기.svg
Xpecial
2013 그랜드 파이널 파일:CJ Entus BLAZE.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a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ayDre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mbiti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mper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ustboy
}}}}}}}}} ||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Emperor52.jpg
<colbgcolor=#808080><colcolor=#fff> Emperor
김진현 (Kim Jin-hyun)
출생 1993년 6월 7일 ([age(1993-06-07)]세)
부산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D Owned u #
포지션 바텀(원거리 딜러)
소속 CJ Entus Blaze
(2013.11.13 ~ 2014.11.03)

Keyd Stars
(2014.12.11 ~ 2015.04.26)
Team Dragon Knights
(2015.05.19 ~ 2015.09.23)
G2 Esports
(2015.12.31 ~ 2016.05.17)

Longzhu Gaming
(2016.05.18 ~ 2016.12.01)
SEA Serpents
(2017.05.23 ~ 2017.12.01)
Hanwha Life Esports 코치
(2017.12.28 ~ 2018.11.20)[1]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수상 경력4. 경력
4.1. 선수4.2. 코치
5.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G2_Emperor_2016_EULCS.jpg
<colbgcolor=#808080><colcolor=#fff> Kim "Emperor" Jin-hyun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및 코치.

2. 플레이 스타일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코르키이즈리얼. 코르키는 아마추어 시절에 장인 수준으로 팠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물론 프로답게 선호와 무관하게 어떤 챔피언을 잡아도 제 값을 해주는 편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삼위일체를 올리는 스킬 딜러 및 중반에 강력한 챔프를 선호하며, 이를 통한 공격적인 스노우볼링과 탑미드 캐리를 보조하는 플레이에 능하다. 삼위일체 안 올리는 챔프로 바뀐 루시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주력 챔프다. 하지만 의외로 블레이즈 시절 플레임과 앰비션이 봉쇄당했을 때 베인이나 드레이븐 등 평타딜러로 하드캐리하는 모습도 보여준 만능형 원딜러이다. 더불어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 오더 능력이 뛰어난 원딜러에 속한다.[2] 실제로 G2는 2부 리그에서 굉장히 안 좋은 운영을 보여줬으나 1부 리그에서 바이탈리티와 운영 투탑으로 자리잡으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데 그 중심이 엠퍼러라는 것이다.

단점은 의외로 공격성이다. 플레임과 앰비션이라는 오더도 잘하고 캐리력도 높은 플레이어들이 있던 블레이즈에서는 경력이 짧다 보니 이들을 보좌하기 위해 안정 지향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해외 경력을 살펴보면 오히려 어떤 의미로는 안정감이 떨어진다. 대치전에서 메카닉을 과신하거나 오더를 내리다 짤리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이며, 팀원들을 믿지 못하는 경우 한타에서도 공격적인 포지션을 잡다 던지는 경우가 있는 편이다. 이 정도면 메타가 바뀌었을 때 하드캐리형 평타 딜러를 맡기기에는 팀 입장에서 고민이 좀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블레이즈 시절 캡틴잭을 능가하는 안정감을 가졌다는 평가를 감안하면 해외 팀을 돌아다니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이나 팀원 불신으로 인해 기량이 저하된 것처럼 보이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 그런데 막상 한국 돌아와보니 의사소통은 되는데도 북미 유럽 시절보다 더 던지기 시작했다.

코칭스탭으로서의 그의 면모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코칭스탭판 미키. 어쩔 때는 kt같은 강팀도 쓰러뜨리고 킹존도 몰아붙일 정도로 날카로운 밴픽을 구사하는가 하면, 어쩔 때는 칼리스타-스카너같은 함정카드 위주의 꼴밴픽을 구사하는 등 미키에게 주사위를 물려받았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밴픽 전략 구사의 기복이 심하다.

3. 수상 경력

우승 기록
WCG 2013 금메달
CDE(2011) CJ Entus Blaze 이후 대회 미개최
ZOTAC NLB Winter 2013-2014 우승
Najin Black Sword CJ Entus Blaze CJ Entus Frost
LCS EU 스프링 2016 우승
Fnatic G2 Esports G2 Esports

4. 경력

4.1. 선수

프로게이머로서 엠퍼러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은 기복이 매우 적다는 것이다. 보통 신인 선수는 후보 선수로 오랜 기간 담금질을 거치다가 컨디션과 기량이 검증되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입단하자마자 거의 낙하산마냥 주전 자리를 꿰차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눈에 띄는 실수 없이 안정적인 기량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안정적인 플레이를 바탕으로 과거 심각한 기복을 보여주던 캡틴잭을 대신하여 CJ Blaze의 봇라인에 무게감을 실어줬고, 이는 러스트보이가 안정적으로 기량을 발휘하는 계기를 마련해줬다. 여기에 안정적인 정글러 데이드림이 영입되고, 기존에도 잘해주던 플레임, 앰비션이 굳건히 자리를 지켜주면서 프리시즌 CJ Blaze가 다시금 강팀으로 거듭날 초석을 다졌다고 평할 수 있다.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8강에서 비록 경기는 kt에게 졌지만 라인전과 한타를 굉장히 안정적으로 수행하며 커뮤니티 사이에서는 특급 신인으로 분류되고 있다. 벌써 캡틴잭의 완벽한 상위호환이라는 이야기도 나오는 중이다. 특히 루시안 플레이는 루시안 장인으로 알려진 데프트 이상의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데프트 역시 나이스게임TV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루시안을 제일 잘쓰는 플레이어 같다고 평가했다.

HOT6 Champions Spring 2014에 접어들어서는 러스트보이가 부진하면서 본인도 크게 좋은 모습을 보이지는 못 하고 있다. 8강에서 비록 펜타킬을 하기는 했지만 경기에서는 전체적으로 존재감이 별로였다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러보가 차츰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자신도 어느정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그래도 분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즌 초반 베인으로 거하게 망하며 캐리력이 없는 것 아니냐고 비난받았던 것에 비하면 이후 펜타킬을 기록하고 4강에도 진출하는 등 시작에 비하면 끝이 나아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후 3,4위 결정전에서는 블레이즈가 이긴 1,4세트에서 모두 MVP를 획득하며 팀을 캐리했다. 특히 4세트의 드레이븐은 그야말로 경기를 혼자서 폭파시킨 수준이었다.

이후 롤 마스터즈 나진전과 삼성전에서도 물이 오른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나진전은 상대가 리빌딩 직후의 어수선한 상태여서 어떻게 보면 당연히 이겼어야 하는 게임이었는데도 혼합팀에게 패배하는 등 본인 팀이 오히려 더 불안했고, 삼성전에서도 결국 팀이 1승도 따내지 못하고 패배한지라 빛이 바랬다. 그래도 패배한 경기들에서도 엠퍼러는 제 역할 이상을 했다는 평가가 대다수로, 블레이즈에 이때까지 없었던 '원딜 캐리'를 가능케 할 만큼의 역량이 있다는 사실은 입증했다는 평가이다.

데이드림과 함께 건너간 브라질 리그에서 Keyd Stars를 결승으로 이끌었으나 팀원들의 피딩으로 MSI 진출에 실패했고 팀을 나왔다.[3] 그리고 김동우 감독이 지휘하는 북미의 TDK 소속으로 세라프 신우영과 함께 북미 LCS에서 뛰게 되었다. 절친 피글렛과의 재회는 덤이다. 브라질 팀 관련으로 레딧의 브라질 리그를 보던 사람들과 관계자들에 의하면 데이드림과 엠페러가 경기를 패배할때마다 굉장히 짜증을 내면서 팀원들에게 부담을 줬다고 한다.

북미 개막전에 출전하지 못해 피글렛과의 절친 더비가 불발되었다. 아무래도 관광비자를 받은듯 싶다. 그래도 5주차 2경기에 출전해서 승리했지만 그 후 6주차에는 패배하였다. 라인전등은 잘하는 편이지만 포지셔닝이 이상해서 그 부분에 관해서 많은 문제를 받고 있다. 첫 날은 무난히 캐리했다고 평가받았으나 이후 연패를 행진을 보여주었다. 그나마 마지막 주 C9의 상승세를 루시안으로 잠재웠으나 이미 버스는 떠났고 결국 TDK를 떠났다.

서구권에서는 엠퍼러의 평가가 생각보다 안좋은 편인데, 그 이유는 Keyd와 TDK에서 전부 기대 이하의 퍼포먼스를 보였기 때문이다. Keyd는 코리안 듀오 외에도 롤드컵에서 유명해진 브체탑 마일론과 메카닉 및 공격성만으로는 카미를 앞선다는 미드라이너 타케시, Keyd INTZ paiN 3대 인기팀에서 다 뛰어본 브라질 올스타 서포터 Loop까지 개인기량으로는 브라질 최강이었다. 그러나 오더의 부재와 팀 케미스트리의 문제로 인해 수노-윙드 듀오 시절보다 오히려 아쉬운 경기력을 보였고 엠퍼러의 워크에식과 위험한 플레이가 도마에 올랐었다. TDK에서도 세라프와 닌자가 크랙이 아니었고 비자 문제로 호흡이 맞지 않았기 때문에 마지막 주 전까지는 위험한 플레이를 연발하며 북미 팬들에게 저평가를 당해야 했다. 덕분에 서양에서는 G2에 대한 기대치도 약간 낮은 편인데, 사실 한국에서 러보의 아쉬운 기량과 블레이즈 특유의 경직된 운영에도 불구하고 엠퍼러가 안정적인 플레이와 뛰어난 캐리력을 보여준 것을 아는 한국 팬이라면 기대치를 좀 올려도 될 것이다.

2016년 시즌은 G2 Esports트릭 선수와 함께 영입되어 유럽 LCS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개막 1일차에 본인의 상징인 루시안으로 지나친 공격적인 플레이를 하다 몇 번 물려서 서양 팬들이 우려하는 모습을 그대로 보였으나, 2일차에 칼리스타로 완벽한 노데스 캐리를 선보였다. CJ에서 엠퍼러가 보여주던 바로 그 모습으로 안정적이면서도 풀딜을 때려넣었기에 서양 팬들의 여론을 한방에 돌려세우는데 성공한 상황이다. 다만 이후로는 쓰로잉을 다시 좀 보여줘서 포기븐, 즈벤 등 현지 원딜러들에 비해 저평가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래도 엠퍼러가 Keyd와 TDK에서 제 기량을 보여주지 못했지만 현재 그 진가가 드러나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7주차 2연 루시안으로 짤리긴 했지만 엄청난 카이팅과 캐리력을 보여주며 마침내 주간 MVP를 수상했다. 8주 1일차에도 루시안으로 무리하다가 나서스에게 솔킬을 따였지만 이후 무서운 속도전을 주도하며 공동 1위 바이탈리티를 폭파, 여전히 기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리고 결국 팀이 H2k와 VIT를 제치고 정규시즌 1위가 되었다. 특히 팀의 1위를 확정짓는 마지막날 UoL전에서 평소에 팀을 캐리하던 위쪽이 말렸지만 결국 퍽즈와 하이브리드가 풀어내고 엠퍼러가 뛰어난 캐리력으로 경기를 뒤집어내며 활약했다.

한국에 복귀한 데이드림의 인터뷰에 의하면 브라질에서의 상대적인 부진[4]은 언어장벽 및 호흡과 제일 큰 임금체불에 의한 것이며 화를 냈다는 것은 잘못된 루머로 당시 동료인 마일론, 타케시, 룹 등과는 지금도 연락을 할 정도로 사이가 좋다고 한다. 다만 Keyd가 계약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쌈바 통수를 후려갈겨서 급히 팀을 떠났고 이 과정에서 팬과 동료들에게 잠깐 오해를 샀던 적이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TDK야 말할 것도 없으니 결국 서양 팬들의 엠퍼러에 대한 저평가는 오해에서 비롯된 셈이다.

정규시즌 마감 투표에서 원딜 올스타 3위에 선정되었다. 다만 1위가 엠퍼러에게 맞대결에서 두 번이나 참교육당한 스틸백인 점을 감안하면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는 투표다. 그만큼 현지에서도 엠퍼러의 강함을 충분히 인정하고 있다는 의미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일이다.

포스트시즌 4강에서는 1세트의 칼수은점멸 등 뛰어난 무빙과 스킬사용을 보여주며 상대 원딜러인 레클레스를 능가하는 활약을 했다. 하이브리드가 클라이를 압도해준 것도 크지만 엠퍼러 또한 통계로 설명되지 않는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었고 정규시즌 쓰로잉도 많이 고친 느낌이었다. 다만 결승에서는 2세트에 즈벤에게 라인전을 털리는 등 하이브리드와 더불어 다소 고전했고 게임은 퍽즈와 트릭, 키키스가 주로 캐리했다.

MSI 전부터 불화설에 휩싸였고 MSI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결국 대회 이후 귀국해서 롱주 게이밍에 입단했다. MSI에서 라인전이고 한타고 운영이고 그냥 기본이 안된 모습을 보여줘서 한국에서는 대체 왜 데려왔냐는 이야기가 많은데, MSI 당시가 고의트롤 급이었던 것이고 유럽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에는 약간의 쓰로잉을 지적받은 정도이지 이렇게 못하지 않았다. 이를 감안하면 상반된 스타일인 퓨리와 좋은 경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원딜이 3명이라서 말이 많았으나 캡틴잭이 사실상 해설전향이라 일단 교통정리가 되었다.

그리고 퓨리가 첫 경기에서 루시안으로는 그럭저럭 플레이했지만[5] 이즈리얼로 부진하면서 1주차 2경기인 진에어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하지만 초반에 파일럿의 앞대쉬를 절묘한 스킬 적중으로 커트해서 망할 뻔한 드래곤한타를 살려낸 것을 빼면 전체적으로 침묵했다. 퓨리나 엠퍼러나 별 다를게 없다는 평이다.

그리고 kt전 1세트에서 루시안으로 공격적인 무빙을 보여주며 썸데이의 강속구 연발투척을 받아먹고 캐리했다. 하지만 공성 후에 상대 정글에서 잘린 것은 불필요했다는 평. 그리고 2세트에 진으로 잘 컸는데 앞점멸 쓰로잉을 시전하고 결국 역전패의 원흉이 되었다. 한국에서나 유럽에서나 메카닉 자체는 뛰어나다는 것이 반응속도나 무빙을 통해 증명되어 있지만 커리어 초기에는 아예 하지도 않던 쓰로잉이 가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생일이었던 CJ와의 멸망전 1세트에서 공격적인 포지셔닝으로 초반부터 킬을 먹고 노데스로 잘 크더니 바론 한타에서 이상한 오더로 인해 한 번 희생되어 제압골드를 넘겨줬지만 마지막 한타에서 정확한 앞무빙으로 빅토르를 끊어내며 캐리, MVP에 선정되었다.[6] 하지만 2세트에 생존기 좋은 이즈리얼로 페이스체크를 하다 마오카이에게 짤려죽으면서 불안감을 남기더니[7] 3세트에도 케이틀린으로 바드보다 앞장서서 상대 정글에 들어가다 바루스 궁을 맞고 연계폭딜로 사망, 팬들의 맹비난을 받았다. 이후 대치 상황마다 Bdd의 바루스에게 생일빵포킹을 자석처럼 얻어맞더니[8] 탑 억제기 대치 상황에서는 아예 화살 맞고 사망하며 배드엔딩을 맞았다. 경기 후 팬들이 생일케이크를 준비했지만 엠퍼러는 망연자실한 표정이었다. 분명히 루시안을 잡았을 때는 유럽에서의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캡틴잭이 지적했듯 3세트에는 긴 사거리를 이용해야 하는 케이틀린으로 공격적으로 상대 정글에 진입할 하등의 이유가 없었다.

유럽 친정팀인 G2는 엠퍼러가 떠난 후 운영이 B급에서 F급으로 내려간 것을 보면, 엠퍼러가 오더 능력이 있다는 것은 사실로 보인다.

그렇게 좋지만은 않은 모습을 꾸준히 보여주면서 시즌이 끝나고 팀의 리빌딩 과정에서 결국 팀에서 나가게 되었다. 대체적으로 그의 경쟁자인 퓨리가 워낙에 안좋은 모습을 보여줬기에 엠퍼러가 얼마나 못했으면 퓨리조차 못제치냐는 소리가 돌았지만 딱히 반박이 어려운게 현실이었다. 하지만 롱주 임금체불의 최대 피해자 중 한 명으로 시즌이 끝날 때까지 임금 체불을 당했으니 충분히 게임 내적으로 집중을 못했을 법 하다. G2 시절 가끔 짤려서 까이긴 했지만 전반적으로는 좋은 모습을 보여준 것을 감안하면 이후 행보에 따라 재평가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이후 2017 스프링 한시즌을 통째로 쉬었고 이후 2017년 5월 23일자로 태국 소재의 프로게임단인 SEA serpents에 입단했다. IM, kt출신 픽서와 함께한다. 기가바이트 마린즈가 MSI에서 GPL에게 롤드컵 시드를 하나 추가로 따다가 줬고, 이 수혜가 태국 팀에게 갈 가능성이 매우 크기에 어떻게든 전 방콕 타이탄즈 멤버들이 소속된 어센션 게이밍을 꺾고 태국 리그 우승만 차지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한국인 봇듀오를 지른 듯하다. 그런데 SEA serpents는 방콕타이탄즈와 어센션 게이밍에 밀려 3위 먹고 GPL 시드도 못 먹었고, GPL 태국 시드 먹은 어센션 게이밍도 한 끗차이로 베트남 2위팀에 밀려 롤드컵을 못 갔다.

4.2. 코치

이후 다시 SEA를 나와서 ROX Tigers에 코치로 입단했다. 신혁 코치의 빈 자리를 든든하게 채워줬지만 가끔씩 괴상한 밴픽을 구사해 말아먹는 경기가 있어서 코치로서의 능력은 주사위 굴리는 ROX의 전 미드마냥 오락가락하는 경향이 있다. kt전에서는 상대방의 약점을 제대로 파고들어 찌르는 날카로운 밴픽을 선사해 kt를 3등으로 끌어내리는가 하면, 시즌 막바지 진에어전에서는 이미 고인이 된 칼리스타나 2연 스카너라는 꼴밴픽을 구사해 포스트시즌 티켓을 스스로 날려먹기도 했다.

5. 여담

  • 아마추어 시절엔 토피란 닉네임을 썼다. 아이디 Emperor는 과거 팀 동료였던 헤르메스가 지어줬다고 한다.
  • 아마추어 시절부터 피글렛과 친분이 있었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원래는 SK 텔레콤에 입단 테스트를 치를 생각이었는데 손대영 코치가 테스트를 권해서 CJ의 입단 테스트를 봤는데, 순식간에 합격되고 WCG 주전 멤버 자리에 덜컥 앉게 되었고 프로 데뷔 2개월만에 국가대표가 되어 WCG 금메달까지 목에 걸었다.
  • 커뮤니티 사이에서는 바우와우를 닮았다는 평이 많다. 그 덕에 생긴 별명이 개갓.
  • 목소리가 상당한 중저음이라서 매력적이라는 평이 다수다, 심지어 북미 레딧에선 목소리로 임신했다는 코멘트가 최다 추천 덧글로 올라가기도 했었다. 눈빛만 봐도 임신할 것 같다는 전 팀 동료가 떠오르는건 기분 탓인가
  • 5개지역[9] 리그 진출을 이뤘고 이 부문에서 원조격인 수노와 타이를 이뤘다.


[1] ROX Tigers 시절 포함[2] G2로 같이 이적한 트릭의 인터뷰에서 밝혔다.[3] 시즌내내 임금체불 문제가 있다고 한다.[4] 한국에서보다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인 것, 그리고 한국 시절 상대적으로 이름값이 떨어지던 전임자 수노-윙드보다 정작 좋은 팀 성적을 내지 못한 것.[5] 정확히는 슈퍼플레이를 보여줬지만 후반에 허무하게 잘리기도 했다.[6] 꾸준히 잘해준 엑페의 스웨인이나 뛰어난 이니시를 보여준 코코의 블라디에게 줬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엑페는 엠퍼러만큼 결정적인 장면을 만들지는 못했고, 코코는 좋은 이니시를 보여줬지만 바론 한타에서 최악의 이니시로 역전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었다.[7] 물론 2세트에 이즈리얼 Q로 바론스틸을 해서 게임을 길게 끌고간 것도 엠퍼러지만 이건 하루가 못한 것과 운적인 요소가 크다.[8] 물론 포킹은 최대한 잘 피해야 하는 것도 맞지만 포킹을 길게 당할 상황을 팀적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정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야상황과 포킹각도를 감안하면 엠퍼러의 이날 피격률은 너무하다는 평가.[9] 한국, 브라질, 북미, 유럽, 동남아(태국)